대법원 2010. 3. 18. 선고 2007다77781 전원합의체 판결은 한정승인자의 고유채권자가 자신의 채무를 담보할 목적으로 상속재산에 담보권을 설정한 경우 상속인의 담보물권자가 상속채권자에 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대법원 2010. 3. 18. 선고 2007다77781 전원합의체 판결은 한정승인자의 고유채권자가 자신의 채무를 담보할 목적으로 상속재산에 담보권을 설정한 경우 상속인의 담보물권자가 상속채권자에 우...
대법원 2010. 3. 18. 선고 2007다77781 전원합의체 판결은 한정승인자의 고유채권자가 자신의 채무를 담보할 목적으로 상속재산에 담보권을 설정한 경우 상속인의 담보물권자가 상속채권자에 우선하여 상속재산으로부터 배당변제를 받을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한정승인의 효과로서 상속재산과 고유재산의 분리를 인정한다면, 상속채권자와 고유채권자가 서로 다른 청산절차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므로, 동일 집행절차를 전제로 한 물권과 채권 사이의 우열에 관한 일반원칙은 적용될 여지가 없다.
한정승인은 상속인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상속재산의 합리적인 청산을 목적으로 한다. 상속재산의 합리적인 청산은 피상속인의 법률관계가 상속재산으로, 상속인 고유의 법률관계가 고유재산으로 청산될 때 실현되며, 이러한 청산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상속인의 이익도 보호된다. 상속인이 한정승인을 하면 재산분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속재산과 고유재산이 분리되고, 상속인은 피상속인 승계인으로서의 법적 지위와 고유한 법적 지위를 겸유한다. 한정승인을 한 상속인은 피상속인의 법률관계 청산에 위해 소모될 예정된 상속재산을 자신의 고유한 법률관계를 위해 처분하여서는 안 된다. 만약 한정승인을 한 상속인이 고유한 지위에서 상속재산을 처분한다면, 재산분리의 예에 따라 그 처분은 무효로 보아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속인의 행위는 상속재산의 은닉 또는 부정소비에 해당하므로, 민법 제1026조 제3호에 따라 한정승인의 효과를 되돌려야 한다. 다만 위 규정은 상속인 제재가 목적이므로, 한정승인의 효과 가운데 실효되는 범위는 한정승인자의 채무와 책임이 분리되는 부분으로 축소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해석에 따르면 한정승인을 한 상속인은 여전히 상속재산을 관리할 의무를 지며, 자신의 고유한 법률관계를 위해 상속재산을 처분할 수 없다. 또한 상속재산의 청산에서는 상속채권자의 우선변제권이, 고유재산의 청산에서는 고유채권자의 우선변제권이 인정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legal effects of qualified acceptance (hanjeong seung-in) by comparing them to the system of property separation,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upreme Court’s en banc decision rendered on March 18, 2010 (2007...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legal effects of qualified acceptance (hanjeong seung-in) by comparing them to the system of property separation,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upreme Court’s en banc decision rendered on March 18, 2010 (2007Da77781). The ruling held that when a qualified heir grants a security interest in inherited property to a personal creditor, the secured creditor takes precedence over estate creditors in receiving distributions from the inherited property. However, if the legal effect of qualified acceptance is to recognize the separation between inherited and personal property, then estate creditors and personal creditors must be regarded as engaging in distinct liquidation process. Accordingly, the general principle that secured claims take priority over unsecured claims within a single enforcement process cannot apply. Qualified acceptance, like property separation and estate bankruptcy, ultimately aims at the fair and efficient liquidation of the decedent’s estate, and the protection of heirs and other stakeholders is achieved incidentally through that process. In this respect, qualified acceptance must be regarded as fundamentally analogous to the property separation regime. Consequently, where a qualified heir disposes of inherited property for personal interests, such disposition should be considered void, as in cases of property separation. Furthermore, the heir should be subject to the sanction of deemed unconditional acceptance under Article 1026(3) of the Civil Code. In such cases, the scope of deemed unconditional acceptance must be narrowly interpreted to affect only the aspect of personal liability, preserving the remaining legal effects of qualified acceptance. Under this interpretation, the qualified heir continues to bear the duty to manage the inherited estate, may not dispose of it for personal purposes, and the rule of priority dictates that estate creditors take precedence with respect to inherited property, while personal creditors hold priority over the heir’s own property.
금융회사의 컴플라이언스와 이사의 내부통제 관리의무에 관한 검토
상관의 위법한 명령에 불복할 수명자의 권리에 대한 헌법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