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양만 임해 매립지 느티나무 식재지 토양의 수직적 특성 변화 = Property Changes of Vertical Soil Layers Planted with Zelkova serrata(Thunberg) Makino on the Reclaimed Land from the Sea in the Gwangyang Bay,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3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vertical characteristics of soil properties at six planted sites of land reclaimed from the sea, in Gwangyang Bay, Jeollanam-do Province, Korea. Based on the types of planting site, the chemical properties 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vertical characteristics of soil properties at six planted sites of land reclaimed from the sea, in Gwangyang Bay, Jeollanam-do Province, Korea. Based on the types of planting site,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vertical soil layers varied. The vertical variation was great in the planting sites $Z_1\;and\;Z_2$, but less varied in the mounded planting sites $Z_3,\;Z_5,\;and\;Z_6$. Major reasons for the vertical variation in soil chemical properties included differences in the accumulation of organic matter, soil disturbance by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nd heterogeneity of soil properties between soil horizons. As soil depths increased, soil salts vari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Ce) increased in the lower areas of planting sites $Z_1\;and\;Z_2$, and the disturbed, saline planting site $Z_3$, but decreased in the lower areas of $Z_3,\;Z_5,\;and\;Z_6$. These tendencies did not coincided with exchange cation concentrations $(Na^+,\;K^+,\;Mg^{++},\;Ca^{++})$. Both total carbon (T-C) and total nitrogen (T-N) accumulated more in the lower areas of planting sites than in the higher areas, and levels were higher closer to the surface than in the soil depths. It is supposed that these tendencies are related to the accumulation of fallen leaves or other organic matter at the soil surface, and the soil chemicals then slowly move downward from the surface. Impediments to tree growth included soil hardiness, high soil salinity and exchangeable cation concentration, low soil moisture content, acidic or alkaline soil, low organic matter, heterogeneity of soil texture and establishment of soil stratifi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성간척지 토양층위별 성분분석 연구-습답과 건답을 중심으로" 1977

      2 "토양화학분석법" 농어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1988

      3 "토양입자의 크기가 보수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10 (10): 1-8, 1967

      4 "조경설계기준" 문운당 1999

      5 "임해매립지의 조경수목 생장특성-광양만의 곰솔과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2000

      6 "임해매립지의 생태계 복구를 위한 토양 중 염류의 활성도 분석" 32 (32): 147-154, 1999

      7 "임해매립지에서 식재기반 조성을 위한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13 (13): 89-95, 1999

      8 "임해매립지에서 복토 높이가 수목의 고사율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55-58, 2000

      9 "임해매립지에 있어서 조경수 적합성 연구-광양 제철소 낙엽교목을 대상으로" 2002

      10 "인천시 해안매립지 녹지조성기법개발 연구" 인천시발전연구원 보고서 2000

      1 "해성간척지 토양층위별 성분분석 연구-습답과 건답을 중심으로" 1977

      2 "토양화학분석법" 농어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1988

      3 "토양입자의 크기가 보수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10 (10): 1-8, 1967

      4 "조경설계기준" 문운당 1999

      5 "임해매립지의 조경수목 생장특성-광양만의 곰솔과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2000

      6 "임해매립지의 생태계 복구를 위한 토양 중 염류의 활성도 분석" 32 (32): 147-154, 1999

      7 "임해매립지에서 식재기반 조성을 위한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13 (13): 89-95, 1999

      8 "임해매립지에서 복토 높이가 수목의 고사율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55-58, 2000

      9 "임해매립지에 있어서 조경수 적합성 연구-광양 제철소 낙엽교목을 대상으로" 2002

      10 "인천시 해안매립지 녹지조성기법개발 연구" 인천시발전연구원 보고서 2000

      11 "인천시 임해매립지 식재 개선방안 연구" 2001

      12 "우리나라 간척지 특성과 간척 후 토양의 특성에 대한 연구" 1990

      13 "영일만에서 광양만까지-포항제철 25년사"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1993

      14 "시설재배지 염류집적 토양에서의 토양수분과 음이온의 이동특성" 1998

      15 "시설재배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염류의 이동" 1997

      16 "수목의 가뭄극복을 위한 식재지 관리방안-광양지역을 중심으로" 18 (18): 8-13, 1999

      17 "서해안 임해매립지 녹지공간 토양성분들의 상관성 및 경시적 변화 특성" 27 (27): 161-169, 2000

      18 "생육환경 특성을 고려한 아파트 단지내 조경수목 선정 및 식재방안 연구" 1995

      19 "삼정 토양학" 항문사 1998

      20 "비닐하우스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29 (29): 166-171, 1987

      21 "광양만 임해매립지 곰솔 식재지역 토양환경의 수직적 특성" 15 (15): 186-192, 2001

      22 "광양만 바다 준설 매립지의 느티나무 생장특성 -식재지반별 토양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31 (31): 85-94, 2004

      23 "간척지의 농업개발을 위한 종합연구 Ⅲ 계화간척지에 있어서 내염성 적수의 선발에 관하여" 전북대학교 농대농문집 15 41-47, 1984

      24 "간척지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 -김포지구 간척지를 사례로" 1994

      25 "간척연대별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 연구" 20-27, 1986

      26 "간척년수에 따른 토성 및 작토층위별 수종 화학성분 변화 차이에 관한 연구" 20 (20): 23-28, 1987

      27 "The composition of soluble salt-affected soils of the Panjap State International Symposium on Salt-Affected Soils" 7-19, 198018-21

      28 "Physical process determining water loss from soil" 310-314, 1956

      29 "Illustrations of Tree Roots" 鹿島出版社 1976

      30 "Desalinization characteristics after declamation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275-20 283,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