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이직률의 관계를 개인 단위가 아닌 조직 단위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이직 관련 지식 확장에 기여하고 사회복지조직 이직률에 관한 인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479683
2015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89-213(25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이직률의 관계를 개인 단위가 아닌 조직 단위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이직 관련 지식 확장에 기여하고 사회복지조직 이직률에 관한 인적...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이직률의 관계를 개인 단위가 아닌 조직 단위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이직 관련 지식 확장에 기여하고 사회복지조직 이직률에 관한 인적자원관리의 방향성을 논의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2012년 사회복지시설평가’ 중 사회복지관 평가자료에 기초해서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사회복지관의 연평균 이직률은 16.7%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균급여 수 준이 높을수록, 수퍼비전의 체계성이 더 높게 갖춰질수록, 그리고 수퍼바이저의 역량이 더 높을수록 이직률은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통제변수로 설정한 외부 취업기회 역시 이직률 에 매우 큰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조직 간 경쟁이 증가되는 상황에서 사회복지 조직의 이직률 관리를 위해 조직차원에서의 적절한 보상체계와 수퍼비전 질 확보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개인단위에 초점을 둔 기존의 이직의도 중심 연구가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조직단 위에서 측정된 실제의 이직행동 관련 실증자료를 토대로 인적자원관리와 이직률 간 관계를 국내 최초로 규명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urnover rat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Korea.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tilizes ‘2012 Central Government Social Welfare Facilities Evaluation(CGSWF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urnover rat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Korea.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tilizes ‘2012 Central Government Social Welfare Facilities Evaluation(CGSWFE)’ data and employ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xamining the research model and questions built on previous studie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nual average turnover rate in social welfare centers in Korea is 16.7%; second, after controlling other organizational factors, average pay, substantial system of supervision, and competence of supervisors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urnover rate in a negative direction; and third, availability of employment alternatives which is one of control variables also has significant and very strong relationship with turnover rate. The findings indicate that suitable compensation and supervision system with high quality would be important factors to decrease turnover rat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acing increased competitions. This study provides new knowledge found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urnover rat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addition, it contributes to advancing new discussions about turnover by analyzing real turnover behavior at organizational level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 focusing on turnover intention at individual level.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정기, "직업재활서비스 이용장애인의 취업에 관한 다층분석-개인특성과 조직특성 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8 (8): 125-165, 2006
2 김상욱,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의 행태학적 결정요인: 전국 패널자료를 사용한 GLM 및 GEE 추정" 한국사회학회 36 (36): 3-29, 2002
3 조세형, "중소기업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구성원의 이직의도 간 관계 -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285-300, 2013
4 김기태, "인적자원관리와 조직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 성과로서 종업원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16 (16): 115-157, 2008
5 송보화, "인적자원관리시스템과 조직성과의 연계에 대한실증적고찰-제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35 (35): 331-363, 2006
6 황성철, "사회복지행정론" 정민사 2014
7 강철희, "사회복지사의 조직공정성인식, 조직신뢰, 조직냉소주의와 조직몰입의 통합적 관계에 관한 연구-일 가치감 효과에 대한 결합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31-52, 2012
8 강제상, "사회복지사의 이직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10 (10): 85-117, 2011
9 김성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3 : 37-78, 1998
10 김선희, "사회복지사의 의사결정참여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6 (16): 1-25, 2014
1 임정기, "직업재활서비스 이용장애인의 취업에 관한 다층분석-개인특성과 조직특성 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8 (8): 125-165, 2006
2 김상욱,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의 행태학적 결정요인: 전국 패널자료를 사용한 GLM 및 GEE 추정" 한국사회학회 36 (36): 3-29, 2002
3 조세형, "중소기업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구성원의 이직의도 간 관계 -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285-300, 2013
4 김기태, "인적자원관리와 조직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 성과로서 종업원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16 (16): 115-157, 2008
5 송보화, "인적자원관리시스템과 조직성과의 연계에 대한실증적고찰-제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35 (35): 331-363, 2006
6 황성철, "사회복지행정론" 정민사 2014
7 강철희, "사회복지사의 조직공정성인식, 조직신뢰, 조직냉소주의와 조직몰입의 통합적 관계에 관한 연구-일 가치감 효과에 대한 결합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31-52, 2012
8 강제상, "사회복지사의 이직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10 (10): 85-117, 2011
9 김성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3 : 37-78, 1998
10 김선희, "사회복지사의 의사결정참여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6 (16): 1-25, 2014
11 문영주,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다중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493-523, 2011
12 이미선, "사회복지사들의 이직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7 (7): 139-173, 2013
13 이혁준,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장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24 : 153-181, 2010
14 남정민, "다수준 접근을 통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규명 -" 한국노동연구원 12 (12): 57-85, 2012
15 나인강, "기업의 훈련이 근로자의 인적자원성과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7 (17): 39-56, 2010
16 조상미, "기업복지제도의 결정요인 분석 : 사업체 패널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3 (13): 201-230, 2011
17 장윤정, "공공ㆍ민간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결정요인 비교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1) : 361-382, 2011
18 신은종, "고성과작업시스템의 ‘고성과’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번들효과와 핵심 관행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9 (19): 43-69, 2009
19 권동인, "고몰입인적자원관리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있어서 지식경영의 조절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7 (27): 1-31, 2003
20 전순영, "경영자특성과 인적자원관리가 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업경영학회 19 (19): 35-56, 2012
21 Borzaga, C., "Worker motivations, job satisfaction, and loyalty in public and nonprofit social services" 35 (35): 225-248, 2006
22 Levine, D., "What do wages buy?" 38 (38): 462-483, 1993
23 Delery, J., "Unionization, compensation, and voice effects on quits and retention" 39 (39): 625-645, 2000
24 Powell, M., "Turnover in county public welfare agencies" 16 (16): 111-127, 1992
25 Haines, V., "The influe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on employee voluntary turnover rates in the Canadian non governmental sector" 63 (63): 228-246, 2010
26 Bradley, S., "The impac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and pay inequality on workers’job satisfaction" 2004
27 Huselid,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on turnover, productivity,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38 (38): 635-672, 1995
28 Kim, S.,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state government IT employee turnover intentions" 41 (41): 257-279, 2012
29 Gelade, G.,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work climat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56 : 383-404, 2003
30 Kehoe R., "The impact of high-performance human resource practices on employees’attitudes and behavior" 39 (39): 366-391, 2013
31 Maertz, C.,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on employee turnover" 28 (28): 1059-1075, 2007
32 Acker, 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nditions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oci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among social workers in mental health care" 40 (40): 65-73, 2004
33 Mowday, R., "Strategies for adapting to high rates of employee turnover" 23 (23): 365-380, 1984
34 Tai, T., "Review of nursing turnover research, 1977-1996" 47 (47): 1905-1924, 1998
35 Pfeffer, J., "Producing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eople" 9 (9): 55-69, 1995
36 Balfour, L., "Predicting and managing turnover in human service agencies: a case study of an organization in crisis" 22 (22): 473-486, 1993
37 Rhoades, L.,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 review of the literature" 87 (87): 698-714, 2002
38 Ostroff, C., "Multilevel Theory, Research and Methods in Organizations" Jossy-Bass 211-266, 2000
39 Pecora, P., "Managing Human Services Personnel" Sage Publications 1987
40 Fairris, D., "Internal labour markets and worker quits" 43 (43): 573-594, 2004
41 Chew, J., "Human resource practi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stay" 29 (29): 503-522, 2008
42 Youndt, M., "Human resource management, manufacturing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39 (39): 836-866, 1996
43 Noe, R., "Human Resource Management: Gaining a Competitive Advantage" McGraw-Hill 2012
44 Barney, J.,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17 (17): 99-120, 1991
45 Dickinson, N., "Factors influencing the retention of specially educated public child welfare workers" 15 (15): 89-103, 2002
46 Batt, R., "Employee voice, human resource practices, and quit rates" 55 (55): 573-594, 2002
47 Koster, F., "Does perceived support in employee development affect personnel turnover?" 22 (22): 2403-2418, 2011
48 Freund, A.,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s among welfare workers" 29 (29): 5-21, 2005
49 Mor Barak, M., "Antecedents to retention and turnover among child welfare, social work, and other human service employees: What can we learn from past research? A review and metanalysis" 75 (75): 625-661, 2001
50 Guthrie, J., "Alternative pay practices and employee turnover" 25 (25): 419-439, 2000
51 Griffeth, R., "A meta-analysis of antecedents and correlates of employee turnover" 26 (26): 463-488, 2000
52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2년 사회복지관 평가지표 설명회 자료"
53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1년 한국사회복지사 기초통계연감"
자활사업 참여자의 음주문제, 참여기간, 자활의지 간 관계
한국 다문화 중도입국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한국인 부모가정)의 진로정체감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 | 1.87 | 2.088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