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다문화가정의 의사소통 문제해결에 가족미술치료가 미치는 효과 연구 = A Study of the Effects of Family Art Therapy on the Communication Improvement in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044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in assisting of the Korean multicultural policiesby analysing the effects of family art therapy on improving the communication in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a Filipino mother, her two sons and a daughter residing in City A.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art therapy on this family's communication, 22 sessions of Family Art Therapy has been programmed and conducted. Communication Type Test, Kinetic Family Drawing (KFD) and results of before & after Family System's Diagnostic Procedure (FSDP)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out these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Family Art Therapy Program does create a distinc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in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First, while the preceding studies target only part of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e Family Art Therapy Program, this study had the whole family for the subject, thereby suggesting the conflict factor and its solutions at large.
      Second, the number of conducted sessions was in total 22, exceeding the preceding studies and this enables maximum effect.
      Third, this study suggests the political implications that can resolve social problems that follows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population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in assisting of the Korean multicultural policiesby analysing the effects of family art therapy on improving the communication in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a Filipino mother, her two son...

      The aim of this study is in assisting of the Korean multicultural policiesby analysing the effects of family art therapy on improving the communication in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a Filipino mother, her two sons and a daughter residing in City A.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art therapy on this family's communication, 22 sessions of Family Art Therapy has been programmed and conducted. Communication Type Test, Kinetic Family Drawing (KFD) and results of before & after Family System's Diagnostic Procedure (FSDP)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out these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Family Art Therapy Program does create a distinc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in Korean multicultural famil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First, while the preceding studies target only part of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e Family Art Therapy Program, this study had the whole family for the subject, thereby suggesting the conflict factor and its solutions at large.
      Second, the number of conducted sessions was in total 22, exceeding the preceding studies and this enables maximum effect.
      Third, this study suggests the political implications that can resolve social problems that follows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popul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다문화가정의 의사소통 향상에 가족미술치료가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다문화정책에 일조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시에 살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가족구성원인 필리핀 어머니, 두 아들과 딸이다. 이들 가족의 의사소통향상에 미친 가족미술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22회기의 가족미술치료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하였고, 의사소통유형검사와 동적가족화(KFD)및 가족체계진단(FSDP)의 사전, 사후 검사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한국 다문화가정의 의사소통의 향상에 뚜렷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미술치료프로그램을 다문화가족 구성원 중에서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전체적인 갈등요인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의 미술치료프로그램의 총 시행 횟수가 22회기로 기존의 선행연구들에 비해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만큼 많다는 점이다.
      셋째,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나타나는 사회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다문화가정의 의사소통 향상에 가족미술치료가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다문화정책에 일조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시에 살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가족구성...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다문화가정의 의사소통 향상에 가족미술치료가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다문화정책에 일조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시에 살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가족구성원인 필리핀 어머니, 두 아들과 딸이다. 이들 가족의 의사소통향상에 미친 가족미술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22회기의 가족미술치료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하였고, 의사소통유형검사와 동적가족화(KFD)및 가족체계진단(FSDP)의 사전, 사후 검사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한국 다문화가정의 의사소통의 향상에 뚜렷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미술치료프로그램을 다문화가족 구성원 중에서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전체적인 갈등요인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의 미술치료프로그램의 총 시행 횟수가 22회기로 기존의 선행연구들에 비해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만큼 많다는 점이다.
      셋째,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나타나는 사회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혼인통계 결과"

      2 서정희,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배재대학교 행정심리대학원 2009

      3 이승미, "점토를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족 아동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7

      4 유철인, "어쩔 수 없이 미군과 결혼하게 되었다" 한국문화인류학회 397-420, 1996

      5 이상순, "심리경향에 따른 의사소통유형 분석 : Jung과 Satir의 이론을 중심으로"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8

      6 이가순, "새티어 이론을 통해 살펴 본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의 의사소통과 부부관계 증진에 대한 연구"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0

      7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아문화사 2000

      8 이미옥, "마음을 나누는 미술치료" 학지사 2006

      9 김범수, "다문화사회복지론" 양서원 2007

      10 최옥순, "다문화가족 아동의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8

      1 통계청, "혼인통계 결과"

      2 서정희,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배재대학교 행정심리대학원 2009

      3 이승미, "점토를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족 아동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7

      4 유철인, "어쩔 수 없이 미군과 결혼하게 되었다" 한국문화인류학회 397-420, 1996

      5 이상순, "심리경향에 따른 의사소통유형 분석 : Jung과 Satir의 이론을 중심으로"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8

      6 이가순, "새티어 이론을 통해 살펴 본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의 의사소통과 부부관계 증진에 대한 연구"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0

      7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아문화사 2000

      8 이미옥, "마음을 나누는 미술치료" 학지사 2006

      9 김범수, "다문화사회복지론" 양서원 2007

      10 최옥순, "다문화가족 아동의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8

      11 이근매, "다문화가족 미술치료" 양서원 2007

      12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가정 자녀지원대책" 2006

      13 박수정,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14 김혜진,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15 이정선,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경험과 시사점: 국제결혼 가정을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12 (12): 217-237, 2007

      16 이순비,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17 이지애,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비교연구 :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18 윤선금, "다문화 가정의 가족기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1

      19 양순미,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 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 중심" 한국농촌사회학회 16 (16): 151-182, 2006

      20 법무부, "결혼이민자 체류현황" 25-, 2012

      21 정문자, "가족치료의 이해" 학지사 2007

      22 김효숙, "가족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및 가족관계 개선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8

      23 석천원, "가족미술치료의 기법과 사례" 1 : 1994

      24 장세혁, "가족미술치료기법을 적용한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의 위축, 고립 행동에 관한 사례 연구" 특수교육총연합회 1-37, 1994

      25 구미례, "가족미술치료가 가족구성원 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존중 및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07

      26 권기덕, "가족미술치료" 동아문화사 2000

      27 류애란, "가족 의사소통 및 가족기능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2003

      28 송성자, "Satir 모델의 가치체계와 치료적 개입" 1 : 67-88, 1993

      29 Minuchin, S., "Psychosomatic Families: Anorexia Nervosa in context"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30 Satir, V., "Peoplemaking" Science and Behavior Books 1972

      31 Burns, R., "Kinetic Family Drawings(KFD): An Introduction to understanding Children through Kinetic Drawings" Brunner/Mazel 1970

      32 Goldenberg, H., "Family Therapy: An overview" Thomson Books/Cole 2008

      33 Galvin, K., "Family Communication-Cohesion and Change(2nded)" Scott, Foresman and Company 1986

      34 Landgarten, H. B., "Family Art Psychotherapy" Brunner/Mazel 1987

      35 Satir, V., "Conjonit family therapy" Science and Behavior Books 1983

      36 Wadeson, H., "Art Psychotherapy" John Wiley & Sons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1-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KCI등재
      2013-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0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