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로’의 포괄적 의미 기술 방안 연구 = A Study on broad grammatical description of ‘-lo’ for learners of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247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lement the pre-existing descriptions of the grammatical form ‘lo’ in textbooks and grammar books for learners of Korean by describing it at a general level and provide them with the explicit knowledge. First, it is found that the focus of grammatical description of the meaning of ‘lo’ in those books tends to be placed heavily on the particular meanings at a specific level, the meanings are not described in lucid or orderly manners, and, above all, there are no general description provided. In order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form from a broader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oughts of the Korean linguistic community, i.e. the social context of it, instead of its linguistic context, then examine why or when they use it. Based on the analysis of descriptions of its meaning in the books, I hypothesized that the salient semantic feature of the form is that it presupposes the concept of multiple possibilities. To prove this, I examined some idiomatic expressions, in which ‘lo’ cannot be replaced by any other form. The common factor is that the concept is contained or presupposed as the common background knowledge of the speakers. They share the common belief that there are several possibilities in how or why something occurs, several places to go, several kinds of an object and so on. Therefore, I decided that ‘-lo’ is used when the speaker expresses that its preceding noun is one of several possibilities, without it being stated. In the end, I provided more in-depth grammar information regarding ‘-lo’.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lement the pre-existing descriptions of the grammatical form ‘lo’ in textbooks and grammar books for learners of Korean by describing it at a general level and provide them with the explicit knowledge. First, i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lement the pre-existing descriptions of the grammatical form ‘lo’ in textbooks and grammar books for learners of Korean by describing it at a general level and provide them with the explicit knowledge. First, it is found that the focus of grammatical description of the meaning of ‘lo’ in those books tends to be placed heavily on the particular meanings at a specific level, the meanings are not described in lucid or orderly manners, and, above all, there are no general description provided. In order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form from a broader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oughts of the Korean linguistic community, i.e. the social context of it, instead of its linguistic context, then examine why or when they use it. Based on the analysis of descriptions of its meaning in the books, I hypothesized that the salient semantic feature of the form is that it presupposes the concept of multiple possibilities. To prove this, I examined some idiomatic expressions, in which ‘lo’ cannot be replaced by any other form. The common factor is that the concept is contained or presupposed as the common background knowledge of the speakers. They share the common belief that there are several possibilities in how or why something occurs, several places to go, several kinds of an object and so on. Therefore, I decided that ‘-lo’ is used when the speaker expresses that its preceding noun is one of several possibilities, without it being stated. In the end, I provided more in-depth grammar information regarding ‘-l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명희, "한국어교사를 위한 문법 교육 내용 기술의 원칙" 중앙어문학회 (59) : 407-432, 2014

      2 이해영, "한국어 화용 교육에서의 명시적 교수 가능성과 교실 적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6 (26): 247-266, 2015

      3 박동호, "한국어 문법의 체계와 교육내용 구축 방안" 이중언어학회 (34) : 159-184, 2007

      4 이준호,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화용 정보 기술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회 (61) : 215-240, 2015

      5 박정운, "한국어 도구격 조사의 다의어 체계" 한국언어학회 24 (24): 405-425, 1999

      6 오경숙,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 항목 기술에 대하여" 시학과 언어학회 (13) : 143-165, 2007

      7 이성범, "추론의 화용론" 한국문화사 2001

      8 한상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담화에 나타난 조사 오류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5 (25): 281-310, 2014

      9 이가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으)로'의 의미 기능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10 김현지, "조사 사용의 경향성 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 언어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1 양명희, "한국어교사를 위한 문법 교육 내용 기술의 원칙" 중앙어문학회 (59) : 407-432, 2014

      2 이해영, "한국어 화용 교육에서의 명시적 교수 가능성과 교실 적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6 (26): 247-266, 2015

      3 박동호, "한국어 문법의 체계와 교육내용 구축 방안" 이중언어학회 (34) : 159-184, 2007

      4 이준호,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화용 정보 기술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회 (61) : 215-240, 2015

      5 박정운, "한국어 도구격 조사의 다의어 체계" 한국언어학회 24 (24): 405-425, 1999

      6 오경숙,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 항목 기술에 대하여" 시학과 언어학회 (13) : 143-165, 2007

      7 이성범, "추론의 화용론" 한국문화사 2001

      8 한상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담화에 나타난 조사 오류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5 (25): 281-310, 2014

      9 이가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으)로'의 의미 기능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10 김현지, "조사 사용의 경향성 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 언어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11 이양혜, "조사 ‘-로’의 대치 가능성"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5) : 353-373, 1995

      12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 1-6권" 교보문고

      13 신명선, "인지 의미론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문법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1 : 77-107, 2010

      14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1-6권" Epress

      15 이양혜, "우리말 접사의 기능 변화 연구-‘-에/로’와 ‘니/아(어)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국제교육원 (18) : 57-78, 2003

      16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2"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7 이양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조사 ‘로’ 교육" 이중언어학회 (29) : 269-295, 2005

      18 백봉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도서출판 하우 2006

      19 김희숙, "외국어 습득 원리의 이해" 한국문화사 2011

      20 연세대학교, "연세 한국어 1-6권" 연세대학교대학출판문화원

      21 김종현, "언어의 이해" 태학사 2009

      22 이성범, "언어와 의미" 태학사 1999

      2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1-6권" 문진미디어

      24 허용, "부사격 조사에 대한 한국어 교육학적 접근" 이중언어학회 (19) : 365-390, 2001

      25 임지룡, "문법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태학사 2014

      26 이정애, "국어 화용 표지의 연구" 월인 2002

      27 황화상, "국어 조사의 문법" 지식과 교양 2012

      28 이양혜, "격조사 ‘-로’의 통합격 설정"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5) : 273-298, 1996

      29 권소정, "‘(으)로’ 구성 어휘 결합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5

      30 임홍빈, "{로}와 選擇의 樣態化" 서울대학교 10 (10): 143-159, 1974

      31 Choo, M, "Using Korean-A Guide to Contemporary Us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32 Ihm, H., "Korean Grammar for International Leaners" Yonsei University Press 2001

      33 KLEAR, "Integrated Korean Beginning 1-High Advanced 2" University of Hawaii Press

      34 Thornbury, S., "How to Teach Grammar" Longman 1999

      35 Swan, M., "Grammar, Meaning and Pragmatics: Sorting out the Muddle" 11 (11): 2007

      36 Batstone, R., "Grammar"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7 Ellis, R., "Current Issues in the Teaching of Grammar: An SLA Perspective" TESOL 40 (40): 83-107, 2006

      38 Byon, A. S., "Basic Korean: A grammar and Workbook" Routledge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 1.56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