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의 특성과 방향 =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Policy on Social Enterpris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21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al enterprises have been introduced as a way to overcome both market failure and state failure. Inheriting the tradition of new public management suggested are the collaboration among nonprofit organizations, business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agencies. While social enterprises in the western countries are built upon the strong legacy of the 3rd sector, ones in Korea have been rapidly developed through public policies.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the social enterprise have heavily criticized by civic groups for its poor performance and ideological tendency.
      This study argues that,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public policie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must understand the three key concepts: the complexity of its goals, sustainability from financial independence, and interaction with the 3rd sector organizations and social enterprises.
      번역하기

      Social enterprises have been introduced as a way to overcome both market failure and state failure. Inheriting the tradition of new public management suggested are the collaboration among nonprofit organizations, business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Social enterprises have been introduced as a way to overcome both market failure and state failure. Inheriting the tradition of new public management suggested are the collaboration among nonprofit organizations, business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agencies. While social enterprises in the western countries are built upon the strong legacy of the 3rd sector, ones in Korea have been rapidly developed through public policies.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the social enterprise have heavily criticized by civic groups for its poor performance and ideological tendency.
      This study argues that,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public policie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must understand the three key concepts: the complexity of its goals, sustainability from financial independence, and interaction with the 3rd sector organizations and social enterpri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석, "협력적 거버넌스와 정부의 역할: 사회적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8 (18): 145-172, 2009

      2 최영출, "커뮤니티재생 거버넌스 지표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2 (12): 185-214, 2008

      3 김윤호,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개념정립에 관한 연구:사회적기업과의 구분을 목적으로" 서울행정학회 21 (21): 275-299, 2010

      4 전천운, "취업원스톱체계의 구축방안 모색: 군산시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11 (11): 119-140, 2007

      5 신윤창, "지역발전이론의 비판적 이해와 지역공동체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4 (14): 217-244, 2010

      6 배용수, "지역 공공거버넌스의 구축과 지방공기업 관리체계의 개선" 한국비교정부학회 14 (14): 237-262, 2010

      7 조승현, "지방자치단체의 기업유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5 (15): 255-274, 2011

      8 김태영, "정책수단으로서의 사회적 기업" 2009

      9 곽선화, "인증 사회적기업의 성과 분석과 과제" 2009

      10 김선엽, "신발전행정을 위한 시민참여의 새로운 접근방법" 한국비교정부학회 11 (11): 121-142, 2007

      1 이명석, "협력적 거버넌스와 정부의 역할: 사회적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8 (18): 145-172, 2009

      2 최영출, "커뮤니티재생 거버넌스 지표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2 (12): 185-214, 2008

      3 김윤호,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개념정립에 관한 연구:사회적기업과의 구분을 목적으로" 서울행정학회 21 (21): 275-299, 2010

      4 전천운, "취업원스톱체계의 구축방안 모색: 군산시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11 (11): 119-140, 2007

      5 신윤창, "지역발전이론의 비판적 이해와 지역공동체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4 (14): 217-244, 2010

      6 배용수, "지역 공공거버넌스의 구축과 지방공기업 관리체계의 개선" 한국비교정부학회 14 (14): 237-262, 2010

      7 조승현, "지방자치단체의 기업유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5 (15): 255-274, 2011

      8 김태영, "정책수단으로서의 사회적 기업" 2009

      9 곽선화, "인증 사회적기업의 성과 분석과 과제" 2009

      10 김선엽, "신발전행정을 위한 시민참여의 새로운 접근방법" 한국비교정부학회 11 (11): 121-142, 2007

      11 김시윤, "신뢰, 지식공유 그리고 경제발전" 한국비교정부학회 13 (13): 227-246, 2009

      12 김홍일, "사회적기업의 제도화와 시민사회 진영의 대응방안" 7 : 40-47, 2007

      13 조영복, "사회적기업을 위해 서둘러야 할 일" 12 : 7-, 2010

      14 라준영, "사회적기업가 정신과 사회혁신엔진" 12 : 8-9, 2010

      15 김성기, "사회적기업 특성에 관한 쟁점과 함의"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139-166, 2009

      16 노동부, "사회적기업 개요집" 노동부 2009

      17 이은선, "사회적 기업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영국, 미국,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7 (47): 363-397, 2009

      18 최영출, "사회적 기업간 네트워크 작동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4 (14): 63-76, 2010

      19 네모토 마사쯔구, "사회적 기업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 충북지역 사회적 기업가 및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14 (14): 281-304, 2010

      20 최영출, "사회적 기업 활동의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4 (14): 245-260, 2010

      21 이용재, "사회적 기업 전환을 위한 욕구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67-374, 2010

      22 이재원, "사회서비스산업과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3 (13): 223-244, 2009

      23 장원봉, "사회서비스 영역에서 사회적 기업의 역할과 과제" 167 : 42-56, 2010

      24 방민석, "미국의 ICT 일자리창출정책의 현황과 시사점" 한국비교정부학회 14 (14): 1-26, 2010

      25 김시윤, "굿 거버넌스의 제도화" 한국비교정부학회 12 (12): 303-322, 2008

      26 김정원, "경계에 선 사회적 기업, 동원 대상인가 대안의 주체인가" 60 : 141-155, 2009

      27 Payne, J, "The Social Economy in Scotland. SPICe Briefing" Scottish Parliament Information Center

      28 Heckl, E, "Study on Practices and Policies in the Social Enterprise Sector in Europe" Austrian Institute for SME Research 2006

      29 Peattie, Ken, "Social Enterprises: Diversity and Dynamics, Contexts and Contributions" ESRC Monograph 2006

      30 Defourny, "Defining Social Enterprise, In Social Enterprise: At the Crossroads of Market, Public Policies and Civil Society" Routledge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1 0.31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