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상공인 창업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신사업창업사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Plan for Revitalizing Start-up Performance of Micro-enterprise - Focused on ‘New Business Start-up Acade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03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comparisons and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s startup polices between startup for micro-enterprise and technology based startup. In particular, revitalization plans of "New Business Start-up Academy (NBSA)" which is supported by a governmental organization, are proposed. Currently, korean government's startup polices are focusing on more technology based startup than startup for micro-enterprise. In order to overcome this issue, this research examines the current issues of the startup policies for micro-enterprise and the detailed plans for revitalizing micro-enterprises' startups. As detailed research studies, the current program and supporting mechanism of NBSA are analyzed. Then, these are compared with several startup policies of Korea government and the detailed action plans are proposed. The proposed results contributes to the criteria and the references for vitalizing micro-enterprises' startups.
      번역하기

      This research investigates comparisons and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s startup polices between startup for micro-enterprise and technology based startup. In particular, revitalization plans of "New Business Start-up Academy (NBSA)" which is suppor...

      This research investigates comparisons and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s startup polices between startup for micro-enterprise and technology based startup. In particular, revitalization plans of "New Business Start-up Academy (NBSA)" which is supported by a governmental organization, are proposed. Currently, korean government's startup polices are focusing on more technology based startup than startup for micro-enterprise. In order to overcome this issue, this research examines the current issues of the startup policies for micro-enterprise and the detailed plans for revitalizing micro-enterprises' startups. As detailed research studies, the current program and supporting mechanism of NBSA are analyzed. Then, these are compared with several startup policies of Korea government and the detailed action plans are proposed. The proposed results contributes to the criteria and the references for vitalizing micro-enterprises' startu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창업지원정책 중 일반창업을 위한 창업지원정책과 기술창업을 위한 창업지원정책간의 차별점과 특성을 살펴보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소상공인들의 무분별한 창업을 방지하며 신아이디어를 갖춘 업종으로의 창업 기회를 제공하는 기반연구에 있다. 지금까지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은 기술이나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아이디어를 가진 창업기업들에게 지원이 편중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소상공인들을 위한 전반적인 지원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는 측면에서 소상공인 창업지원 사업의 문제점과 창업 활성화 필요성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시행되는 신사업창업사관학교 프로그램 및 지원형태를 먼저 살펴본 후, 정부중앙부처의 창업지원 프로그램 및 지원형태를 비교함으로써 창업활성화 아카데미의 미래 방향과 신사업창업사관학교만의 전략적 포지셔닝을 통한 발전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소상공인 창업 활성화를 위한 요인을 파악하고 관련 프로그램의 향후 기준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창업지원정책 중 일반창업을 위한 창업지원정책과 기술창업을 위한 창업지원정책간의 차별점과 특성을 살펴보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소상공인들의 무분별한 창업...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창업지원정책 중 일반창업을 위한 창업지원정책과 기술창업을 위한 창업지원정책간의 차별점과 특성을 살펴보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소상공인들의 무분별한 창업을 방지하며 신아이디어를 갖춘 업종으로의 창업 기회를 제공하는 기반연구에 있다. 지금까지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은 기술이나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아이디어를 가진 창업기업들에게 지원이 편중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소상공인들을 위한 전반적인 지원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는 측면에서 소상공인 창업지원 사업의 문제점과 창업 활성화 필요성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시행되는 신사업창업사관학교 프로그램 및 지원형태를 먼저 살펴본 후, 정부중앙부처의 창업지원 프로그램 및 지원형태를 비교함으로써 창업활성화 아카데미의 미래 방향과 신사업창업사관학교만의 전략적 포지셔닝을 통한 발전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소상공인 창업 활성화를 위한 요인을 파악하고 관련 프로그램의 향후 기준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인오, "창업지원이 청년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103-114, 2012

      2 설병문, "창업자 특성과 사업기회의 상황 간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8 (8): 19-28, 2013

      3 임헌욱, "창업보육센터의 보육요소 격차 해소를 위한 변인도출 및 컨설팅 고찰" 중소기업융합학회 8 (8): 313-320, 2018

      4 윤종록, "창업가의 역량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차별화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 한국생산성학회 23 (23): 401-427, 2009

      5 이미자, "융합시대 시장상인대학 교육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209-218, 2015

      6 김흥수, "융·복합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79-88, 2015

      7 윤인철,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멘토링과 교육만족,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 8 (8): 265-273, 2017

      8 J. A. Schumpeter.,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s: an inquiry into profits, capital, credit, interest, and the business cyc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1

      9 Hao Zhao,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90 (90): 1265-1272, 2005

      10 Robert Ronstadt, "The Educated Entrepreneurs: A New Era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is Beginning" SAGE Publications 11 (11): 37-54, 2017

      1 전인오, "창업지원이 청년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103-114, 2012

      2 설병문, "창업자 특성과 사업기회의 상황 간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8 (8): 19-28, 2013

      3 임헌욱, "창업보육센터의 보육요소 격차 해소를 위한 변인도출 및 컨설팅 고찰" 중소기업융합학회 8 (8): 313-320, 2018

      4 윤종록, "창업가의 역량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차별화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 한국생산성학회 23 (23): 401-427, 2009

      5 이미자, "융합시대 시장상인대학 교육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209-218, 2015

      6 김흥수, "융·복합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79-88, 2015

      7 윤인철,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멘토링과 교육만족,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 8 (8): 265-273, 2017

      8 J. A. Schumpeter.,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s: an inquiry into profits, capital, credit, interest, and the business cyc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1

      9 Hao Zhao,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90 (90): 1265-1272, 2005

      10 Robert Ronstadt, "The Educated Entrepreneurs: A New Era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is Beginning" SAGE Publications 11 (11): 37-54, 2017

      11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Survey Report of Small Businesses in Korea"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2013

      12 H. B. Yang., "Status of the start-up policy and efficiency plan"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2017

      13 Dawn R. DeTienne, "Opportunity Identification and Its Role in the Entrepreneurial Classroom: A Pedagogical Approach and Empirical Test" Academy of Management 3 (3): 242-257, 2004

      14 K. H. Vesper., "New venture strategies" Prentice-Hall 1990

      15 J. A. Timmons, "New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for the 21st century (Vol. 4)" Irwin 1994

      16 Start-up,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Korean Dictionary"

      17 M. J. Dollinger., "Entrepreneurship : Strategies and resources" Marsh Publications 2008

      18 Norris F. Krueger, "Entrepreneurial Potential and Potential Entrepreneurs" SAGE Publications 18 (18): 91-104, 2017

      19 O. S. Yug, "A Study on the Efficient Improvement Scheme of the Support System for Small Business" 8 : 347-367,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