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남 고흥 거금도 식충식물 서식지의 분포식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lants Distributed over Carnivorous Plants Habitats on the Geogeum-do Island of Goheung county, Jeollanam-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03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distributed in the carnivorous plants habitats on the Geogeum-do Island in Goheung-gun, Jeollanam-do in September and October 2017, May 2018, and July 2018. Habitats of the carnivorous plants are wetlands which were formed by the groundwater flowing down from springs (source of streams) on summits and the ridges of the mountainous areas to the aforementioned wetlands and their moorland soil layer. It identified a total of 82 vascular plants with 38 families, 63 genera, 70 species, 11 varieties, and 1 formas.
      There are 72 species in habitat I, 60 species in habitat II, and 33 species in habitat III.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pecies were influenced by the size of wetlands and the progress of wetland desiccation.
      Among the major species distributed in the habitats, Utricularia yakusimensis, Utricularia bifida, Drosera rotundifolia Eriocaulon hondoense, Rhynchospora fujiiana, Rhynchospora fauriei and Scirpus juncoides are dignostic species in wetland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found to include 15 taxa; that is, class V species (4 taxon) containing Drosera rotundifolia, Amsonia elliptica, Utricularia yakusimensis and tricularia bifida; class IV species were not found; class III species (5 taxon) were contained in the area. Other noteworthy findings were the recording of Raphiolepis umbellate, Daphniphyllum macropodum, lex crenata,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and Mitchella undulata, class II species (1 taxon) Senecio pseudo-sonchus, and class V species (5 taxon) Quercus variabilis, Sanguisorba tenuifolia var. alba, urya japonica, Ardisia japonica, and Ligustrum japonicum.
      번역하기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distributed in the carnivorous plants habitats on the Geogeum-do Island in Goheung-gun, Jeollanam-do in September and October 2017, May 2018, and July 2018. Habitats of the carnivor...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distributed in the carnivorous plants habitats on the Geogeum-do Island in Goheung-gun, Jeollanam-do in September and October 2017, May 2018, and July 2018. Habitats of the carnivorous plants are wetlands which were formed by the groundwater flowing down from springs (source of streams) on summits and the ridges of the mountainous areas to the aforementioned wetlands and their moorland soil layer. It identified a total of 82 vascular plants with 38 families, 63 genera, 70 species, 11 varieties, and 1 formas.
      There are 72 species in habitat I, 60 species in habitat II, and 33 species in habitat III.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pecies were influenced by the size of wetlands and the progress of wetland desiccation.
      Among the major species distributed in the habitats, Utricularia yakusimensis, Utricularia bifida, Drosera rotundifolia Eriocaulon hondoense, Rhynchospora fujiiana, Rhynchospora fauriei and Scirpus juncoides are dignostic species in wetland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found to include 15 taxa; that is, class V species (4 taxon) containing Drosera rotundifolia, Amsonia elliptica, Utricularia yakusimensis and tricularia bifida; class IV species were not found; class III species (5 taxon) were contained in the area. Other noteworthy findings were the recording of Raphiolepis umbellate, Daphniphyllum macropodum, lex crenata,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and Mitchella undulata, class II species (1 taxon) Senecio pseudo-sonchus, and class V species (5 taxon) Quercus variabilis, Sanguisorba tenuifolia var. alba, urya japonica, Ardisia japonica, and Ligustrum japonic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식충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약 400 여종이 있으며 한반도의 식충식물은 통발과의 통발, 들통발, 개통발, 이삭귀개, 땅귀개, 자주땅귀개, 벌레잡이제비꽃, 털잡이제비꽃의 8종류가 있으며, 끈끈이주걱과에는 끈끈이주걱, 끈끈이귀개, 긴잎끈끈이주걱, 벌레먹이말의 4종류가 있다. 이들 중 벌레먹이말은 현재 멸종된 것으로 보이며, 벌레잡이제비꽃, 털잡이제비꽃, 긴잎끈끈이주걱은 북부지방에만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흥군 거금도 소재 식충식물(땅귀개, 자주땅귀개, 끈끈이주걱)이 서식하는 서식지(습지) 3곳의 분포식물의 식물상,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의 분포현황, 그리고 주요 분포식물의 식생학적 진단을 통해 습지 식생 식물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장 조사는 2017년 9월과 10월, 2018년 5월, 2018년 7월에 실시하였다.
      식충식물의 서식지는 산지습원으로서 습지가 위치한 산의 정상부와 능선에서 발원하는 계류수가 토양층에 복류하여 습지 내로 흘러 들어가는 지하수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이러한 고흥 거금도 식충식물 서식지 습지는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식충식물의 서식지 환경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3개 서식지 전체 식물분류계급은 38과 63속 70종 11변종 1품종으로 총 82종류가 서식하였다. 이들 중 서식지Ⅰ에서는 72종류, 서식지Ⅱ에서 60종류, 서식지Ⅲ에서는 33종류가 조사되었으며, 조사된 식물 종류수의 차이는 습지 면적과 습지 육화의 진행정도가 큰 영향을 미쳤다.
      주요 분포식물 중 자주땅귀개, 땅귀개, 끈끈이주걱. 큰개수염, 좀괭이수염, 큰고양이수염, 올챙이고랭이 등은 저산대 산지습원 식생을 대표하는 종들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5종류가 조사되었으며, Ⅴ등급에 끈끈이주걱, 정향풀, 자주땅귀개, 땅귀개 4분류군, Ⅳ등급은 조사되지 않았으며, Ⅲ등급에는 다정큼나무, 굴거리, 꽝꽝나무, 산철쭉, 호자덩굴 5분류군, Ⅱ등급에는 물솜방망이 1분류군, Ⅰ등급은 굴참나무, 가는오이풀, 사스레피나무, 자금우, 광나무 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번역하기

      식충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약 400 여종이 있으며 한반도의 식충식물은 통발과의 통발, 들통발, 개통발, 이삭귀개, 땅귀개, 자주땅귀개, 벌레잡이제비꽃, 털잡이제비꽃의 8종류가 있으며, 끈끈...

      식충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약 400 여종이 있으며 한반도의 식충식물은 통발과의 통발, 들통발, 개통발, 이삭귀개, 땅귀개, 자주땅귀개, 벌레잡이제비꽃, 털잡이제비꽃의 8종류가 있으며, 끈끈이주걱과에는 끈끈이주걱, 끈끈이귀개, 긴잎끈끈이주걱, 벌레먹이말의 4종류가 있다. 이들 중 벌레먹이말은 현재 멸종된 것으로 보이며, 벌레잡이제비꽃, 털잡이제비꽃, 긴잎끈끈이주걱은 북부지방에만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흥군 거금도 소재 식충식물(땅귀개, 자주땅귀개, 끈끈이주걱)이 서식하는 서식지(습지) 3곳의 분포식물의 식물상,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의 분포현황, 그리고 주요 분포식물의 식생학적 진단을 통해 습지 식생 식물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장 조사는 2017년 9월과 10월, 2018년 5월, 2018년 7월에 실시하였다.
      식충식물의 서식지는 산지습원으로서 습지가 위치한 산의 정상부와 능선에서 발원하는 계류수가 토양층에 복류하여 습지 내로 흘러 들어가는 지하수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이러한 고흥 거금도 식충식물 서식지 습지는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식충식물의 서식지 환경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3개 서식지 전체 식물분류계급은 38과 63속 70종 11변종 1품종으로 총 82종류가 서식하였다. 이들 중 서식지Ⅰ에서는 72종류, 서식지Ⅱ에서 60종류, 서식지Ⅲ에서는 33종류가 조사되었으며, 조사된 식물 종류수의 차이는 습지 면적과 습지 육화의 진행정도가 큰 영향을 미쳤다.
      주요 분포식물 중 자주땅귀개, 땅귀개, 끈끈이주걱. 큰개수염, 좀괭이수염, 큰고양이수염, 올챙이고랭이 등은 저산대 산지습원 식생을 대표하는 종들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5종류가 조사되었으며, Ⅴ등급에 끈끈이주걱, 정향풀, 자주땅귀개, 땅귀개 4분류군, Ⅳ등급은 조사되지 않았으며, Ⅲ등급에는 다정큼나무, 굴거리, 꽝꽝나무, 산철쭉, 호자덩굴 5분류군, Ⅱ등급에는 물솜방망이 1분류군, Ⅰ등급은 굴참나무, 가는오이풀, 사스레피나무, 자금우, 광나무 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노,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239-, 1996

      2 최영은, "제주도 안덕계곡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30 (30): 141-164, 2018

      3 최영은, "제주도 도순천·악근천 하구해안의 식생과 멸종위기종 II급 솔잎란 (Psilotum nudum) 서식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6 (16): 129-149, 2012

      4 최영은, "전라북도 부안군‧고창군 무인도서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9 (29): 245-261, 2017

      5 김영중, "자생 끈끈이주걱의 생육에 토양, 차광, 관수, 액비의 영향" 한국원예학회 92-92, 2003

      6 이철희, "자생 끈끈이주걱(Drosera rotundifolia)의 기내배양에서 식물체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화훼학회 13 (13): 308-312, 2005

      7 조주성, "자생 끈끈이주걱(Drosera rotundifolia L.) 종자의 휴면과 발아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9 (29): 564-573, 2016

      8 이우철,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 1996

      9 새만금지방환경청, "운곡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95-, 2012

      10 김종원, "양산 산불산의 습원 식생" 한국생태학회 28 (28): 85-92, 2005

      1 이영노,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239-, 1996

      2 최영은, "제주도 안덕계곡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30 (30): 141-164, 2018

      3 최영은, "제주도 도순천·악근천 하구해안의 식생과 멸종위기종 II급 솔잎란 (Psilotum nudum) 서식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6 (16): 129-149, 2012

      4 최영은, "전라북도 부안군‧고창군 무인도서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9 (29): 245-261, 2017

      5 김영중, "자생 끈끈이주걱의 생육에 토양, 차광, 관수, 액비의 영향" 한국원예학회 92-92, 2003

      6 이철희, "자생 끈끈이주걱(Drosera rotundifolia)의 기내배양에서 식물체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화훼학회 13 (13): 308-312, 2005

      7 조주성, "자생 끈끈이주걱(Drosera rotundifolia L.) 종자의 휴면과 발아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9 (29): 564-573, 2016

      8 이우철,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 1996

      9 새만금지방환경청, "운곡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95-, 2012

      10 김종원, "양산 산불산의 습원 식생" 한국생태학회 28 (28): 85-92, 2005

      11 김창환, "순천시 신평천 인공습지 조성 후 3년간 식생 및 생활형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5 (25): 57-64, 2011

      12 김창환, "서해안 간척지 식물상 및 생활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5 (25): 213-226, 2013

      13 박성준, "무제치늪 식물상의 다양성"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370-382, 2011

      14 백원기, "무의도(인천시)의 습지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 23 (23): 197-205, 2010

      15 김철수, "무등산의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 16 (16): 93-114, 1993

      16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 2003

      17 矢野悟道, "日本の植生図鑑, <Ⅱ> 人里·草原" HOIKUSHA 86-104, 1983

      18 Juniper, B. E., "The Carnivorous Plants" Academic Press 1-343, 1989

      19 Hill, E. P., "Litter Size in Alabama Cottontails as Influenced by Soil Fertility" 36 : 1199-1209, 1972

      20 Ri, C.U, "Community Composition and Adapted Environment of Sundew(Drosera rotundifolia) in Koppler Moor, Austria" 10 : 169-176, 2000

      21 Jang, K. W., "Carnivorous Plants Cultivation" Sanbo Publishing Co 1-48, 2002

      22 이종운, "Austria Koppler Moor에 서식하는 끈끈이주걱(Drosera rotundifolia)의 군락형성과 적응환경" 한국생명과학회 10 (10): 169-176,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