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서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한 4차 산업 핵심기술 활용방안 연구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Strategies Used from 4th Industrial Core Technology for Activating Culture in the ‘Island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 Big dat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03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specially on how to revitalize the cultures of 'islands area'.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influence our lives at different levels and it is obvious that it alters our environment decisively. As far as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resolve the information gap, we should expect that it can change in innovative ways in different fields within the 'islands area' cultures. However, some experts warn that they could also deepen the information gap between areas and social classes. Korea is also representative of the 'islands area' cultures phenomenon and is a land with cultural and information blind spots. Fortunately, the ICT development can reduce the information gap between the mainland and the islands even though digitalization and capitalism carry a high possibility of exclusion.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islands area' cultures include artificial intelligence, IoT and Bigdata as well as the emergence of mobile devices, all of which have been design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a global village with ICT network. Paradoxically, these changes can resolve the imbalance of regional development for the areas that lag behind. According to our decisions, this research aims at stressing solutions for developing culture and art in the 'islands area' including using Bigdata, artificial intelligence, Drone, AR, VR and other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could all be operated within the ISIQISA (Improvement System in life’s Quality of Island Area). This system would be activat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data, would share human resources and contribute to solve the lack of human labor and the aging of population. Furthermore, we can expect the chances for integrating the local youth to be beneficial as the culture is developed on the islands. Ultimately, clouding social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ICT will maximize the revitalization of 'islands area' cultures by carrying out measures that design a platform for boosting cultural marketing, museums of 'islands area' cultures, games and tours.
      번역하기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specially on how to revitalize the cultures of 'islands area'.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influence our lives at different levels an...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specially on how to revitalize the cultures of 'islands area'.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influence our lives at different levels and it is obvious that it alters our environment decisively. As far as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resolve the information gap, we should expect that it can change in innovative ways in different fields within the 'islands area' cultures. However, some experts warn that they could also deepen the information gap between areas and social classes. Korea is also representative of the 'islands area' cultures phenomenon and is a land with cultural and information blind spots. Fortunately, the ICT development can reduce the information gap between the mainland and the islands even though digitalization and capitalism carry a high possibility of exclusion.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islands area' cultures include artificial intelligence, IoT and Bigdata as well as the emergence of mobile devices, all of which have been design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a global village with ICT network. Paradoxically, these changes can resolve the imbalance of regional development for the areas that lag behind. According to our decisions, this research aims at stressing solutions for developing culture and art in the 'islands area' including using Bigdata, artificial intelligence, Drone, AR, VR and other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could all be operated within the ISIQISA (Improvement System in life’s Quality of Island Area). This system would be activat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data, would share human resources and contribute to solve the lack of human labor and the aging of population. Furthermore, we can expect the chances for integrating the local youth to be beneficial as the culture is developed on the islands. Ultimately, clouding social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ICT will maximize the revitalization of 'islands area' cultures by carrying out measures that design a platform for boosting cultural marketing, museums of 'islands area' cultures, games and tou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활용하여 소외된 도서(섬) 지역의 문화활성화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이 우리의 삶을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시킬 지를 속단할 수는 없지만 많은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은 분명해 보인다. 특히 문화 소외지역에서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정보 격차를 해소하는 것만이 아니라 낙후된 도서(섬) 지역의 발전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도서(섬) 지역은 대표적인 소외 지역으로 문화 소외는 물론이고 정보화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다행히도 ICT의 발달로 육지와 도서(섬) 지역의 정보 격차가 줄어들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도서(섬) 지역의 정보화가 늦어지거나 배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관심을 가지고 도서(섬) 지역의 문화 소외를 극복하고 관광활성화를 통한 도서(섬)의 발전과 고유문화를 발굴하기 위한 방안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을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소외된 도서(섬) 지역에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을 활용할 수 있다면 다양한 도서(섬) 지역의 문화를 활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을 비롯한 IoT, Bigdata 등은 모바일 기기의 등장으로 단기간에 지구촌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만들었다. 역설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낙후되어 있는 도서(섬) 지역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판단에서 본 논문은 도서(섬) 지역을 홍보하는데 인공지능을 비롯한 Bigdata, IoT, Drone, AR, VR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활용하고, 도서(섬) 지역을 스마트한 환경으로 만들 수 있는 도서(섬) 지역 삶의 질 향상시스템(ISIQISA, Improvement System in life's Quality of Island Area)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및 빅 데이터 기술의 최적 함수를 적용하여 도서(섬) 지역의 인적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고령화로 인한 인력 부족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청년층이 도서(섬) 지역으로 유입되는 계기가 되어 도서(섬) 지역의 사회문화 발전에 공헌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소셜 데이터와 ICT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도서(섬) 지역의 문화 활성화에 필요한 플랫폼을 만들고 문화마케팅, 게임, 도서(섬) 박물관, 관광 등, 도서(섬) 지역 활성화에 필요한 방안(ISIQISA)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활용하여 소외된 도서(섬) 지역의 문화활성화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이 우리의 삶을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시킬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활용하여 소외된 도서(섬) 지역의 문화활성화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이 우리의 삶을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시킬 지를 속단할 수는 없지만 많은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은 분명해 보인다. 특히 문화 소외지역에서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정보 격차를 해소하는 것만이 아니라 낙후된 도서(섬) 지역의 발전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도서(섬) 지역은 대표적인 소외 지역으로 문화 소외는 물론이고 정보화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다행히도 ICT의 발달로 육지와 도서(섬) 지역의 정보 격차가 줄어들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도서(섬) 지역의 정보화가 늦어지거나 배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관심을 가지고 도서(섬) 지역의 문화 소외를 극복하고 관광활성화를 통한 도서(섬)의 발전과 고유문화를 발굴하기 위한 방안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을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소외된 도서(섬) 지역에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을 활용할 수 있다면 다양한 도서(섬) 지역의 문화를 활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관광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을 비롯한 IoT, Bigdata 등은 모바일 기기의 등장으로 단기간에 지구촌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만들었다. 역설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낙후되어 있는 도서(섬) 지역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판단에서 본 논문은 도서(섬) 지역을 홍보하는데 인공지능을 비롯한 Bigdata, IoT, Drone, AR, VR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활용하고, 도서(섬) 지역을 스마트한 환경으로 만들 수 있는 도서(섬) 지역 삶의 질 향상시스템(ISIQISA, Improvement System in life's Quality of Island Area)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및 빅 데이터 기술의 최적 함수를 적용하여 도서(섬) 지역의 인적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고령화로 인한 인력 부족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청년층이 도서(섬) 지역으로 유입되는 계기가 되어 도서(섬) 지역의 사회문화 발전에 공헌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소셜 데이터와 ICT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도서(섬) 지역의 문화 활성화에 필요한 플랫폼을 만들고 문화마케팅, 게임, 도서(섬) 박물관, 관광 등, 도서(섬) 지역 활성화에 필요한 방안(ISIQISA)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아, "콘텐츠산업부문 빅데이터 특성화 인력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2 "조선일보, 2017년 2월 28일자"

      3 최석만, "전자입찰에 있어서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통계적 알고리즘 연구" 사)한국경영컨설팅학회 292-305, 2016

      4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딥러닝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5 김영렬, "인공지능개론" 내하출판사 13-, 1997

      6 김효중, "순차적으로 선택된 특성과 유전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결정 나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7 이성훈, "빅데이터의 국내・외 활용 고찰 및 시사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29-233, 2013

      8 홍장원, "빅데이터, 게이머 머릿속을 읽다"

      9 정용찬, "빅데이터 혁명과 미디어 정책 이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 2012

      10 박현아, "빅데이터 시장 박현아, 현황과 콘텐츠산업 분야에 대한 시사점" (11) : 4-, 2014

      1 이선아, "콘텐츠산업부문 빅데이터 특성화 인력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2 "조선일보, 2017년 2월 28일자"

      3 최석만, "전자입찰에 있어서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통계적 알고리즘 연구" 사)한국경영컨설팅학회 292-305, 2016

      4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딥러닝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5 김영렬, "인공지능개론" 내하출판사 13-, 1997

      6 김효중, "순차적으로 선택된 특성과 유전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결정 나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7 이성훈, "빅데이터의 국내・외 활용 고찰 및 시사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29-233, 2013

      8 홍장원, "빅데이터, 게이머 머릿속을 읽다"

      9 정용찬, "빅데이터 혁명과 미디어 정책 이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 2012

      10 박현아, "빅데이터 시장 박현아, 현황과 콘텐츠산업 분야에 대한 시사점" (11) : 4-, 2014

      11 정광렬, "문화예술 분야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40-, 2016

      12 홍장원, "도서관광육성정책과 활성화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 (2): 80-91, 2012

      13 하혜영, "도서(섬)지역의 관리 현황과 향후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1-, 2016

      14 강희석, "남해안의 해양관광 개발 정책 방향을 위한 전략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293-312, 2017

      15 이동훈, "강화 학습 알고리즘 기반의 보드게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13-14, 2005

      16 이동훈, "강화 학습 알고리즘 기반의 보드 게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6

      17 문화체육관광부(관광산업국), "가고싶은섬 사업 평가⋅조정 방안" 2-3, 2010

      18 李哲源, "人工神經網 模型에서 連結除去 理論과 實證分析"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6

      19 K-F.Lee, "The Development at a World Class Othello Program" 43 : 21-36, 1990

      20 Imran Ghory, "Reinforcement learning in Board Games"

      21 "NVIDIA"

      22 D. B. D'Ambrasio, "Generative encoding for multiagent learning" ACM(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819-826, 2008

      23 "Gartner"

      24 J. Clune, "Evolving coordinated quadnuped Baits with the HyperNeat Generative Encodding" IEEE Press 1514-1520, 2009

      25 R. Miikkulainen, "Evolving Neural Networks through Augmenting Topologies" 10 (10): 99-127, 2002

      26 Kenneth O., "Evolving Neural Networks through Augmenting Topologies" 10 (10): 99-127, 2002

      27 D.Moriarty, "Evloving Complex Othello Strategies Using Marker-Based Genetic Encoding of Neural Networks" 193-206, 1993

      28 Amari,S., "Commant on "Neural Networks : a Review from a Statistical Perspective" by Cheng and Titterington" 9 : 31-32, 1994

      29 Nilsson, Nils J., "Artificial Intelligence: A New Synthesis" Morgan Kaufmann 45-49, 1998

      30 IDC,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and Business Management"

      31 Steven Rabin, "AI Game Programming Wisdom" Charles River Media, INC 105-109, 2002

      32 전라남도 전남테크노파크, "2017년도 지역산업진흥계획" 21-25,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