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서(섬)지역 보건지소의 건축적 특성 연구- 신안군 지역을 중심으로 - =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Care Branches in the ‘Islands Area' - Centering on the Sinan-gun Are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03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conduct analysis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general state, and location of health centers in Shinan-gun, Jeolanam-do in Korea. Shinan-gun is an administration district that is only composed of isla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Health centers have been established one each island since the 1970s. They have changed in aspect of their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national economic growth.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ealth centers are generally two-story building with a floor area of 201㎡~300㎡ per story, with a total floor area of 401㎡~500㎡. They also usually have slab roofs or roofs with reinforced concrete.
      Most floors typically had waiting area in corridors with treatments rooms off to the sides. Composition of floor is showed the tendency to layout hall for waiting or corridor in the center and spaces for treatment and care in left and right sides. Space for treatment accounted for 43.9% of floor space, common space had an average of 40.9%, and administration comprised 12.4% of the area. The size of the space for treatment is relatively large due to the increase of medical devices along to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study revisions of related codes applied from early 1990s and multi function of health centers henceforward.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ed to conduct analysis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general state, and location of health centers in Shinan-gun, Jeolanam-do in Korea. Shinan-gun is an administration district that is only composed of islands. The results are...

      This research aimed to conduct analysis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general state, and location of health centers in Shinan-gun, Jeolanam-do in Korea. Shinan-gun is an administration district that is only composed of isla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Health centers have been established one each island since the 1970s. They have changed in aspect of their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national economic growth.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health centers are generally two-story building with a floor area of 201㎡~300㎡ per story, with a total floor area of 401㎡~500㎡. They also usually have slab roofs or roofs with reinforced concrete.
      Most floors typically had waiting area in corridors with treatments rooms off to the sides. Composition of floor is showed the tendency to layout hall for waiting or corridor in the center and spaces for treatment and care in left and right sides. Space for treatment accounted for 43.9% of floor space, common space had an average of 40.9%, and administration comprised 12.4% of the area. The size of the space for treatment is relatively large due to the increase of medical devices along to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study revisions of related codes applied from early 1990s and multi function of health centers henceforwar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행정구역 모두가 도서(섬)로 구성되어진 전라남도 신안군 지역을 조사대상지역으로 한정하여, 보건행정을 합리적으로 조직하여 운영함과 동시에 지역보건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보건소의 하위조직으로 설치된 도서(섬)지역 보건지소의 입지현황과 건축특성을 조사·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구체적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조사대상지역의 보건지소는 1970년대부터 각 섬 단위별 및 읍·면단위별로 1개소가 설치되어 왔으며, 국가경제규모의 성장과 더불어 꾸준히 시설과 환경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으며 다변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섬)지역 보건지소 건축물은 대부분 철근콘크리트 구조형식의 2층 규모로서, 201㎡~300㎡ 건축면적에 401㎡~500㎡ 연면적을 갖고 있고, 슬래브 또는 철근콘트리트 지붕형식을 갖는 건축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면구성은 일반적으로 대기실을 겸하는 복도나 홀이 중앙에 배치되고 좌우로 진료와 처치/치료공간이 배치되는 양상을 보였다.
      공간구성은 크게 진료부가 평균 43.9%, 공용부가 평균 40.9%, 관리부가 평균 12.4% 의 구성비로 대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같이 진료부의 구성비가 비중이 큰 것은 최근의 의학진단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증가한 의료장비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1990년대초부터 현재까지 준용되고 있는 관련 지침의 개정과 보건지소의 기능 복합화를 위한 후속 연구 그리고 도서(섬) 등 심각한 의료취약의료취약지역에 설치되는 보건진료소의 건축특성에 대한 후속 조사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행정구역 모두가 도서(섬)로 구성되어진 전라남도 신안군 지역을 조사대상지역으로 한정하여, 보건행정을 합리적으로 조직하여 운영함과 동시에 지역보건사업을 효율적으로 추...

      본 연구는 행정구역 모두가 도서(섬)로 구성되어진 전라남도 신안군 지역을 조사대상지역으로 한정하여, 보건행정을 합리적으로 조직하여 운영함과 동시에 지역보건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보건소의 하위조직으로 설치된 도서(섬)지역 보건지소의 입지현황과 건축특성을 조사·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구체적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조사대상지역의 보건지소는 1970년대부터 각 섬 단위별 및 읍·면단위별로 1개소가 설치되어 왔으며, 국가경제규모의 성장과 더불어 꾸준히 시설과 환경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으며 다변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섬)지역 보건지소 건축물은 대부분 철근콘크리트 구조형식의 2층 규모로서, 201㎡~300㎡ 건축면적에 401㎡~500㎡ 연면적을 갖고 있고, 슬래브 또는 철근콘트리트 지붕형식을 갖는 건축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면구성은 일반적으로 대기실을 겸하는 복도나 홀이 중앙에 배치되고 좌우로 진료와 처치/치료공간이 배치되는 양상을 보였다.
      공간구성은 크게 진료부가 평균 43.9%, 공용부가 평균 40.9%, 관리부가 평균 12.4% 의 구성비로 대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같이 진료부의 구성비가 비중이 큰 것은 최근의 의학진단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증가한 의료장비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1990년대초부터 현재까지 준용되고 있는 관련 지침의 개정과 보건지소의 기능 복합화를 위한 후속 연구 그리고 도서(섬) 등 심각한 의료취약의료취약지역에 설치되는 보건진료소의 건축특성에 대한 후속 조사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형원, "지역보건의료 활성화를 위한 법제" 한국법정책학회 (1(4)) : 167-183, 2004

      2 김행열, "주민유형에 따른 보건의료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14 (14): 327-350, 2007

      3 "정보공개청구자료"

      4 조유향, "신안군 섬지역의 보건지소와 보건진료소 진료실적 및 이용자 특성 분석" 한국도서(섬)학회 26 (26): 165-179, 2014

      5 지영주, "보건지소ㆍ보건진료소 통합 운영과 보건지소의 기능 확장에 따른 보건지소 최적모형 개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159-168, 2016

      6 보건복지부, "보건소중심 농어촌 보건의료개선사업"

      7 보건복지부, "보건소·보건지소·보건진료수 수"

      8 박재산, "보건소 이용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147-160, 2005

      9 이동숙, "농촌지역 보건지소 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익산시 보건소 관할 지소를 중심으로 -" 한국농촌건축학회 19 (19): 9-16, 2017

      10 박선희, "농어촌 보건소 시설 개선사업의 정책영향 평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1-76, 2006

      1 조형원, "지역보건의료 활성화를 위한 법제" 한국법정책학회 (1(4)) : 167-183, 2004

      2 김행열, "주민유형에 따른 보건의료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14 (14): 327-350, 2007

      3 "정보공개청구자료"

      4 조유향, "신안군 섬지역의 보건지소와 보건진료소 진료실적 및 이용자 특성 분석" 한국도서(섬)학회 26 (26): 165-179, 2014

      5 지영주, "보건지소ㆍ보건진료소 통합 운영과 보건지소의 기능 확장에 따른 보건지소 최적모형 개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159-168, 2016

      6 보건복지부, "보건소중심 농어촌 보건의료개선사업"

      7 보건복지부, "보건소·보건지소·보건진료수 수"

      8 박재산, "보건소 이용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147-160, 2005

      9 이동숙, "농촌지역 보건지소 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익산시 보건소 관할 지소를 중심으로 -" 한국농촌건축학회 19 (19): 9-16, 2017

      10 박선희, "농어촌 보건소 시설 개선사업의 정책영향 평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1-76, 2006

      11 보건복지부, "농어촌 공공보건의료기관 표준설계도집1"

      12 보건복지부, "2019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 안내서"

      13 보건복지부, "2015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 안내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