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재시제를 통한 과거의 현재화: 영화의 서사구조로 인한 소설의 시각화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문학에는 영화의 영향으로 사물의 외관을 묘사하는 품질형용사와 내면적인 행위보다는 외적 움직임을 나타내는 행동동사가 소설 속에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사용된다. 이 밖에도 문학 속에는 영화의 클로즈업을 방불케 하는 작은 사물에 대한 상세하고도 객관적인 묘사가 빈번하게 등장한다. 작가는 클로즈업 된 사물을 통해서 독자가 어떤 디제시스 요소를 중시해야 하는지 시사한다.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클로즈업 된 묘사를 통해서 독자는 앞으로 벌어질 일을 예측하고, 또 이로 인해 -마치 영화를 보는 관객처럼- 긴장하게 된다. 이렇듯 클로즈업의 사용은 앞서 언급된 다양한 다른 서술적 요소와 함께 소설의 시각화를 한 차원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독자는 –전통 소설을 대할 때와는 달리- 영화의 서사구조로 인해서 소설에 도입되어 소설의 시각화를 심화시키는 영화적 자원을 통하여 영화에 바탕을 둔 새로운 문화적 유희를 체험할 수 있게 된다. 소설의 시각화에 좀더 구체적으로 기여하는 문학 속에 나타난 또 다른 영화적 자원에는, 영화에 대한 직접적이거나 암묵적인 언급이 있다. 작가는 영화 제목을 명시하거나 잘 알려진 영화의 명장면을 묘사하기도 하고,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름이나 배우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기도 한다. 이 같은 언급은 독자로 하여금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나는 인물의 성격을 더 사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소설 속 인물의 외모를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의 외모를 통해서 더 실감나게 연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영화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소설을 읽는 내내 소설 속에 나타나는 모든 상황이 마치 눈앞에서 펼쳐지는 듯한 강한 느낌을 갖게 한다. 뿐만 아니라, 전개 과정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언급된 영화와 소설의 결말이 유사할 수도 있다는 것을 효과적으로 암시하기도 한다. 반면 거짓 힌트를 통해서 전혀 엉뚱한 결말을 예상하게도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영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탁월한 반전의 효과를 낳기도 한다. 이 밖에도 특정 장르의 영화에서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장면, 즉 영화계에서 정형화된 무수한 장면들이 암묵적인 언급을 통해서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나기도 한다. 소설 작품의 테마와 때때로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암묵적인 묘사가 주목을 받는 진정한 이유는 이 같은 묘사를 통해서 작가가 보다 효과적으로 특정 장르가 갖는 영화적 분위기를 탁월하게 문학 작품 속에 재현한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암묵적인 언급을 통한 영화적 분위기는 소설의 시각화에 다른 어떤 영화적 요소보다 크게 기여한다. 대개의 경우 작가가 언급하는 영화의 장르는 작가가 쓴 작품의 장르와 일치하는데, 그렇게 해야 작품 속에 보다 용이하게 영화적 분위기가 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영화에 대한 특수한 지식이 바탕이 되어야만 영화적 특성을 인지할 수 있는 직접적인 언급과는 달리, 암묵적인 언급은 영화를 즐겨 본 일반적인 관객 누구나가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영화를 인식하는 데 있어서 직접적인 언급에 대한 인식은 의식적일 수밖에 없는 반면, 암묵적인 언급에 대한 독자의 인식은 의식적이지 않기 때문에, 작가는 무의식적이라는 보다 자연스러운 의식의 흐름을 통해서 독자로 하여금 작가가 제시하는 문학 세계에 보다 자연스럽게 빠져들게 한다. 그러나 영화에
      번역하기

      20세기 문학에는 영화의 영향으로 사물의 외관을 묘사하는 품질형용사와 내면적인 행위보다는 외적 움직임을 나타내는 행동동사가 소설 속에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사용된다. 이 밖에도 ...

      20세기 문학에는 영화의 영향으로 사물의 외관을 묘사하는 품질형용사와 내면적인 행위보다는 외적 움직임을 나타내는 행동동사가 소설 속에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사용된다. 이 밖에도 문학 속에는 영화의 클로즈업을 방불케 하는 작은 사물에 대한 상세하고도 객관적인 묘사가 빈번하게 등장한다. 작가는 클로즈업 된 사물을 통해서 독자가 어떤 디제시스 요소를 중시해야 하는지 시사한다.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클로즈업 된 묘사를 통해서 독자는 앞으로 벌어질 일을 예측하고, 또 이로 인해 -마치 영화를 보는 관객처럼- 긴장하게 된다. 이렇듯 클로즈업의 사용은 앞서 언급된 다양한 다른 서술적 요소와 함께 소설의 시각화를 한 차원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독자는 –전통 소설을 대할 때와는 달리- 영화의 서사구조로 인해서 소설에 도입되어 소설의 시각화를 심화시키는 영화적 자원을 통하여 영화에 바탕을 둔 새로운 문화적 유희를 체험할 수 있게 된다. 소설의 시각화에 좀더 구체적으로 기여하는 문학 속에 나타난 또 다른 영화적 자원에는, 영화에 대한 직접적이거나 암묵적인 언급이 있다. 작가는 영화 제목을 명시하거나 잘 알려진 영화의 명장면을 묘사하기도 하고,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름이나 배우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기도 한다. 이 같은 언급은 독자로 하여금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나는 인물의 성격을 더 사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소설 속 인물의 외모를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의 외모를 통해서 더 실감나게 연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영화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소설을 읽는 내내 소설 속에 나타나는 모든 상황이 마치 눈앞에서 펼쳐지는 듯한 강한 느낌을 갖게 한다. 뿐만 아니라, 전개 과정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언급된 영화와 소설의 결말이 유사할 수도 있다는 것을 효과적으로 암시하기도 한다. 반면 거짓 힌트를 통해서 전혀 엉뚱한 결말을 예상하게도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영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탁월한 반전의 효과를 낳기도 한다. 이 밖에도 특정 장르의 영화에서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장면, 즉 영화계에서 정형화된 무수한 장면들이 암묵적인 언급을 통해서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나기도 한다. 소설 작품의 테마와 때때로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암묵적인 묘사가 주목을 받는 진정한 이유는 이 같은 묘사를 통해서 작가가 보다 효과적으로 특정 장르가 갖는 영화적 분위기를 탁월하게 문학 작품 속에 재현한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암묵적인 언급을 통한 영화적 분위기는 소설의 시각화에 다른 어떤 영화적 요소보다 크게 기여한다. 대개의 경우 작가가 언급하는 영화의 장르는 작가가 쓴 작품의 장르와 일치하는데, 그렇게 해야 작품 속에 보다 용이하게 영화적 분위기가 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영화에 대한 특수한 지식이 바탕이 되어야만 영화적 특성을 인지할 수 있는 직접적인 언급과는 달리, 암묵적인 언급은 영화를 즐겨 본 일반적인 관객 누구나가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영화를 인식하는 데 있어서 직접적인 언급에 대한 인식은 의식적일 수밖에 없는 반면, 암묵적인 언급에 대한 독자의 인식은 의식적이지 않기 때문에, 작가는 무의식적이라는 보다 자연스러운 의식의 흐름을 통해서 독자로 하여금 작가가 제시하는 문학 세계에 보다 자연스럽게 빠져들게 한다. 그러나 영화에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 la literature del siglo 20 con frecuencia se observa por la influencia del cine el uso abundante de los adjetivos calificativos y los verbos de movimiento. También se advierten descripciones muy minuciosas de objetos pequeños, así a la manera de close-up cinematográfico. Con esto el novelista señala con eficacia al lector el elemento novelístico al que tiene que prestar mayor atención. Dicha descripción cumple además el papel de adelantar –así como en el cine- lo que a continuación va a suceder. Este uso contribuye a aumentar a un nivel más alto la visualidad de las descripciones novelísticas. El lector que sabe apreciar las referencias explícitas e implícitas del cine, además de las descripciones minuciosas a las que acabamos de mencionar, obtendrá un deleite cultural basado en el séptimo arte. La visualización de las novelas se acentúa en 1895 con el nacimiento del cine. Este hecho permite observar igualmente -y con cierta frecuencia- el uso del presente de indicativo, que tiene por propósito actualizar el pasado y con ello incrementar al máximo la visualidad de la novela. Pero en las obras literarias el uso independiente de este tiempo verbal, o sea, fuera de un determinado contexto, no ayuda a actualizar el pasado de la obra con eficacia; por tanto, tampoco contribuye a aumentar la visudalidad de la obra, tal y como la crítica se ha creído. Es preciso que en el texto literario, en el que se observa el presente de indicativo con el fin de actualizar el pasado, estén presentes a un modo constante elementos fílmicos a los que más arriba mencionamos. La razón de ello, es que a través del pretérito imperfecto se consigue igualmente una descripción vívida que contribuye a la visualización de la literatratura. Por otra lado, es porque el lector a la hora de realizar su lectura no se detiene para darse cuenta del tiempo verbal. El lector se da cuenta de la visualidad de lo leído tan sólo a través de las descripciones expresivas que ayuden a ver lo que están leyendo. De modo que si se quiere conseguir una escritura visual a través del uso del presente de indicativo se debe construir de antemano un ambiente profundamente cinematográfico, con los recursos procedentes del séptimo arte. De lo contrario, no se obtendra el efecto esperado.
      번역하기

      En la literature del siglo 20 con frecuencia se observa por la influencia del cine el uso abundante de los adjetivos calificativos y los verbos de movimiento. También se advierten descripciones muy minuciosas de objetos pequeños, as&iacu...

      En la literature del siglo 20 con frecuencia se observa por la influencia del cine el uso abundante de los adjetivos calificativos y los verbos de movimiento. También se advierten descripciones muy minuciosas de objetos pequeños, así a la manera de close-up cinematográfico. Con esto el novelista señala con eficacia al lector el elemento novelístico al que tiene que prestar mayor atención. Dicha descripción cumple además el papel de adelantar –así como en el cine- lo que a continuación va a suceder. Este uso contribuye a aumentar a un nivel más alto la visualidad de las descripciones novelísticas. El lector que sabe apreciar las referencias explícitas e implícitas del cine, además de las descripciones minuciosas a las que acabamos de mencionar, obtendrá un deleite cultural basado en el séptimo arte. La visualización de las novelas se acentúa en 1895 con el nacimiento del cine. Este hecho permite observar igualmente -y con cierta frecuencia- el uso del presente de indicativo, que tiene por propósito actualizar el pasado y con ello incrementar al máximo la visualidad de la novela. Pero en las obras literarias el uso independiente de este tiempo verbal, o sea, fuera de un determinado contexto, no ayuda a actualizar el pasado de la obra con eficacia; por tanto, tampoco contribuye a aumentar la visudalidad de la obra, tal y como la crítica se ha creído. Es preciso que en el texto literario, en el que se observa el presente de indicativo con el fin de actualizar el pasado, estén presentes a un modo constante elementos fílmicos a los que más arriba mencionamos. La razón de ello, es que a través del pretérito imperfecto se consigue igualmente una descripción vívida que contribuye a la visualización de la literatratura. Por otra lado, es porque el lector a la hora de realizar su lectura no se detiene para darse cuenta del tiempo verbal. El lector se da cuenta de la visualidad de lo leído tan sólo a través de las descripciones expresivas que ayuden a ver lo que están leyendo. De modo que si se quiere conseguir una escritura visual a través del uso del presente de indicativo se debe construir de antemano un ambiente profundamente cinematográfico, con los recursos procedentes del séptimo arte. De lo contrario, no se obtendra el efecto esperado.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