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에 나타난 성장과 치유: 도널드 위니캇의 이론을 중심으로 = Growth and Healing in the Movie Attila Marcel: Based on the Theory of Donald Woods Winnicot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85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rowth and Healing in the Movie Attila Marcel:Based on the Theory of Donald Woods WinnicottSeongmi Ch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healing process and growth of Paul,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in the mo...

      Growth and Healing in the Movie Attila Marcel:Based on the Theory of Donald Woods WinnicottSeongmi Ch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healing process and growth of Paul,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in the movie Attila Marcel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To explain the process of Paul's inner changes, I used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analyzed the content of the movie based on the object-relations theory of Donald Woods Winnicott. First, I diagnosed the conditions of Paul and identified the causes of his problems focusing on Winnicott’s main concepts. After that, I analyzed his inner growth and healing process step by step. The movie is about “growth and healing” in which Paul overcomes his pain and loss through “transitional object”. Healing is not just a work of comfort, but a work of developing inner strength. Therefore, I found that healing and growth are deeply interrelated.


      Key Words: Donald Woods Winnicott, Transitional Object, Growth and Healing, True Self, Atilla Marc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에 나타난 성장과 치유:도널드 위니캇의 이론을 중심으로조 성 미*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Attila Marcel)』에 나타...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에 나타난 성장과 치유:도널드 위니캇의 이론을 중심으로조 성 미*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Attila Marcel)』에 나타난 주인공(Paul)의 치유과정과 성장의 의미를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 폴의 내면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정신분석학자 도널드 위니캇(Donald Woods Winnicott)의 대상관계이론에 근거하여 영화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먼저 폴의 상태를 진단하고 문제점의 원인을 파악하였다. 그 후, 위니캇의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내면의 성장 및 치유 과정을 단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이 영화는 폴이 ‘중간대상(transitional object)’을 통해 자신의 아픔과 상실을 극복해 나가는 ‘성장과 치유’의 이야기이다. 치유는 단순히 위안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내면의 힘을 길러주는 작업이다. 따라서, 치유와 성장은 깊은 상호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핵심어: 도널드 위니캇, 중간대상, 성장과 치유, 참자기,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

























      □ 접수일: 2022년 11월 9일, 수정일: 2022년 12월 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강원대학교 교육인문협력학과 석사과정(Master’s Course, Kangwon National Univ., Email: jsm2582@naver.co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문미영, "트라우마 극복을 통한 치유와 성장 -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회 118 : 1-22, 2022

      2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민음사 2012

      3 정락길, "인문치료에서의 정서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성찰" 인문과학연구소 (52) : 557-583, 2017

      4 황진희 ; 이승연, "영화 이미지의 의미와 음악과의 상관관계 - 영화<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567-576, 2017

      5 마이클 제이콥스(Michael Jacobs), "아동정신분석의 거장 도널드 위니컷" 학지사 2014

      6 양현정, "실뱅 쇼메의 작품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13

      7 이민용, "스토리텔링 인문치료와 정신분석학 -프로이트의 ‘늑대 인간’ 치료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6) : 631-660, 2013

      8 도널드 위니캇(Donald Winnicott), "소아의학을 거쳐 정신분석학으로"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1

      9 박문희, "모래놀이치료의 상징적 인식방법에 대한 고찰: 선사시대 Bushman족의 암벽화와 모래놀이 개별사례의 개구리 상징을 통하여" (사) 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3 (3): 85-97, 2021

      10 실뱅 쇼매(Sylvain Chomet),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Attila Marcel)"

      1 문미영, "트라우마 극복을 통한 치유와 성장 -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회 118 : 1-22, 2022

      2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민음사 2012

      3 정락길, "인문치료에서의 정서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성찰" 인문과학연구소 (52) : 557-583, 2017

      4 황진희 ; 이승연, "영화 이미지의 의미와 음악과의 상관관계 - 영화<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567-576, 2017

      5 마이클 제이콥스(Michael Jacobs), "아동정신분석의 거장 도널드 위니컷" 학지사 2014

      6 양현정, "실뱅 쇼메의 작품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13

      7 이민용, "스토리텔링 인문치료와 정신분석학 -프로이트의 ‘늑대 인간’ 치료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6) : 631-660, 2013

      8 도널드 위니캇(Donald Winnicott), "소아의학을 거쳐 정신분석학으로"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1

      9 박문희, "모래놀이치료의 상징적 인식방법에 대한 고찰: 선사시대 Bushman족의 암벽화와 모래놀이 개별사례의 개구리 상징을 통하여" (사) 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3 (3): 85-97, 2021

      10 실뱅 쇼매(Sylvain Chomet),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Attila Marcel)"

      11 최영민,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 학지사 2021

      12 도널드 위니캇(Donald Winnicott), "놀이와 현실"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