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 후반에 김일성에 의해 기초적 개념이 처음 제기되고, 1980년대에 김정일에 의해 완성된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이데올로기 전파의 직접적 수단이 되는 북한의 신문, 방송 등 언론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10461
2018
Korean
김일성 ; 김정일 ;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 언론 ; 사회관계 ; 유교 ; 주자학 ; 성리학 ; 이데올로기 ; Kim Il-sung ; Kim Jong-il ; socio-political organism ; media ; social relations ; Confucianism ; ideology
KCI등재
학술저널
188-215(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50년대 후반에 김일성에 의해 기초적 개념이 처음 제기되고, 1980년대에 김정일에 의해 완성된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이데올로기 전파의 직접적 수단이 되는 북한의 신문, 방송 등 언론의 ...
1950년대 후반에 김일성에 의해 기초적 개념이 처음 제기되고, 1980년대에 김정일에 의해 완성된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이데올로기 전파의 직접적 수단이 되는 북한의 신문, 방송 등 언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이 이론에서는 혁명적 수령의 역할이 크게 강조되고, 수령, 당, 인민 대중의 관계가 혈연적이라고 규정되는데, 이에 대해 그간 유교와의 공명(共鳴), 특히 주자학적 전통과의 공명이라는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이 글에서는 이 이론에서 혈연적 관계라고 규정되는 수령, 당, 인민대중의 관계가 사실상 의제적(擬制的)이라는 점에 착목하여, 김일성 · 김정일이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의 개념을 직접 제시한 연설 및 담화문을 중심으로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에 나타난 사회관계의 성격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에서 제시되는 사회관계는 북한사회에 고유한 형태로, 이는 변형된 형태의 유교(주자학)와의 공명에 해당하며, 중세 유럽 및 일본사회에서 크게 발달한 초혈연적 · 계약적 사회관계와도 그 성격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결국 북한 사회에서 주요 언론이 전통적 유교, 즉 성리학과는 그 성격이 다른 국가 근간 이데올로기의 보급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ory of socio-political organisms, which was first suggested by Kim Il Sung in 1959 and completed in the 1980s by Kim Jong Il, is said to be playing a role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North Korea’s media groups, such as in newspapers and b...
The theory of socio-political organisms, which was first suggested by Kim Il Sung in 1959 and completed in the 1980s by Kim Jong Il, is said to be playing a role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North Korea’s media groups, such as in newspapers and broadcasting. In this theory, the role of the Suryong (great leader) is highly emphasi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yong, the party, and the public is defined as a relation of blood. It has been considered to be derived from the Confucian tradition. However, based on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yong, the party and the public, which is defined as in terms of blood relations, is actually a pseudo blood relation,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relations presented in the socio-political organism, focusing on the speeches and dialogues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 that directly referred to concepts in socio-political organism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social relations presented in this socio-political organism are unique to North Korean society. This corresponds to elements that echo a distorted form of Confucianism. It also differs from the contractual relationships that developed in medieval European and Japanese societ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ajor media in North Korea are contributing to the spread of national ideology different from traditional Confucianis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장엽, "황장엽 회고록" 시대정신 2006
2 이종석, "현대 북한의 이해 : 사상, 체재, 지도자" 역사비평사 1995
3 이범수, "현대 북한언론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9-22, 1999
4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철학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85
5 북한연구소 편집부, "차례 및 화보(북한 문화재, 민족의 얼, 가족제도 말살)"
6 김정일, "주체철학의 리해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당리론 선전 일군들과 한 담화 (1974년 4월 2일)"
7 김정일, "주체의 혁명관을 튼튼히 세울 데 대하여: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꾼들과 한 담화 1987년 10월 10일"
8 박승덕, "주체의 혁명관은 수령관, 조직관, 군중관, 도덕관으로 이루어진 전일적인 혁명관"
9 백범수, "주체위업을 실현하는 길에서 이룩된 수령, 당, 대중의 혈연적인 통일단결"
10 안찬일, "주체사상의 종언: 전통사상의 수용을 중심으로" 을유문화사 1997
1 황장엽, "황장엽 회고록" 시대정신 2006
2 이종석, "현대 북한의 이해 : 사상, 체재, 지도자" 역사비평사 1995
3 이범수, "현대 북한언론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9-22, 1999
4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철학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85
5 북한연구소 편집부, "차례 및 화보(북한 문화재, 민족의 얼, 가족제도 말살)"
6 김정일, "주체철학의 리해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당리론 선전 일군들과 한 담화 (1974년 4월 2일)"
7 김정일, "주체의 혁명관을 튼튼히 세울 데 대하여: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꾼들과 한 담화 1987년 10월 10일"
8 박승덕, "주체의 혁명관은 수령관, 조직관, 군중관, 도덕관으로 이루어진 전일적인 혁명관"
9 백범수, "주체위업을 실현하는 길에서 이룩된 수령, 당, 대중의 혈연적인 통일단결"
10 안찬일, "주체사상의 종언: 전통사상의 수용을 중심으로" 을유문화사 1997
11 김동근, "주체사상의 정당화 근거로서의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대한정치학회 14 (14): 405-424, 2006
12 김정일, "주체사상에 대하여: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 탄생 70돐 기념 전국 주체사상 토론회에 보낸 론문(1982년 3월 31일)"
13 김정일, "주체사상 교양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꾼들과 한 담화 1986년 7월 15일"
14 박성규, "주자철학의 귀신론" 한국학술정보(주) 2005
15 김경숙, "조선의 묘지소송" 문학동네 2012
16 이태진, "조선시대정치사의 재조명" 태학사 41-61, 2003
17 전원근, "조선 노동당" 한국학술정보(주) 2007
18 박광호, "전통(傳統) : 북한사회 이해의 열쇠" 한국학술정보(주) 2004
19 금장태, "유학사상과 유교문화" 한국학술정보(주) 2003
20 Todd, E., "유럽의 발견 : 인류학적 유럽사" 까치글방 1997
21 안호용, "유교적 전통사회의 구조와 특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3-110, 1993
22 加地伸行, "유교란 무엇인가" 지영사 1996
23 문성술, "우리 당은 사람들의 사회정치적 생명을 보호하고 빛내여 주는 어머니품"
24 이윤복, "옹정제와 율곡의 붕당론 비교 : 한중 언론문화 차이의 배경에 관한 일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40 (40): 339-366, 2017
25 이종석, "역비한국학연구총서-현대 편(전자자료)" 역사비평사 2008
26 김학봉, "수령, 당, 대중은 운명을 같이하는 사회정치적 생명체"
27 곽태환, "북한자료집 : 김정일 저작선"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1
28 유재천, "북한의 언론" 을유문화사 43-84, 1989
29 정성장, "북한의 사상과 역사인식" 한울 25-69, 2006
30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북한의 사상과 역사인식" 한울 2006
31 김영주, "북한언론의 이론과 실천:원전을 통해 본 그 이론. 역사. 매체. 정책.사상" 나남 15-38, 1991
32 배순재, "북한언론의 이론과 실천: 원전을 통해본 그 이론. 역사. 매체. 정책.사상" 나남 39-121, 1991
33 김영주, "북한신문 편집에 관한 연구" (13) : 57-86, 2008
34 유영옥, "북한론" 홍익재 2005
35 최달곤, "북한가족법 40년과 그 동향" 8 : 95-128, 1990
36 최달곤, "북한 민법의 연구" 세창출판사 1998
37 강현두, "북한 매스 미디어론" 나남출판 1997
38 최경희, "북한 '수령권력'체제의 생성과 메커니즘" 극동문제연구소 32 (32): 133-171, 2016
39 Bloch, M., "봉건사회Ⅰ" 한길사 2002
40 이현덕, "벼꽃" 문예출판사 1986
41 김영주, "김정일시대의 언론이론과 정책: 북한 언론관계 자료집" 한울 1994
42 鐸木昌之, "김정일과 수령제 사회주의" 중앙일보사 1992
43 김병노, "김정일 저작 해제" 양동문화사 1993
44 이주철, "김정은 시대 북한 방송언론의 변화: 조선중앙TV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8 (18): 203-232, 2014
45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9" 조선로동당출판사 467-495, 1981
46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27" 조선로동당출판사 421-451, 1981
47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27" 조선로동당출판사 390-420, 1981
48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27" 조선로동당출판사 23-59, 1981
49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19" 조선로동당출판사 278-329, 1981
50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13" 조선로동당출판사 357-387, 1981
51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김일성 선집 1 (1930.6-1945.12)" 대동 1988
52 石井進, "詳説 日本史" 山川出版社 2003
53 川島武宜, "日本社会の家族的構成" 日本評論社 1959
주문형 비디오(VOD) 이용동기, 이용행위, 만족감 연구
‘타자의 고통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언론의 역할
아이돌의 정동노동(affective labor)과 노동윤리
어린이 ICT 리터러시에 대한 미디어 담론의 비판적 검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3 | 1.53 | 1.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3 | 1.53 | 2.109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