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CIE

      PDGF-BB를 처리한 hTERT 간성상세포주의 유전자 발현 양상과 Wnt 신호 활성 양상 분석 = Transcriptional profiling and Wnt signaling activation in proliferation of human hepatic stellate cells induced by PDGF-B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908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간 성상세포의 증식은 간 섬유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는 매우 강력한 간성상세포 증식 촉진 물질이다. 사람의 간성상세포의 활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 양상과 Wnt신호 활성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PDGF-BB로 증식이 유도된 인체간성상세포에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유전자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에서는 Telomerase 역전사 효소가 첨가된 불사멸화된 사람의 간성상세포주 (hTERT HSC)가 사용되었다. PDGF-BB의 세포증식 촉진 효과는 WST-1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PDGF-BB를 처리한 hTERT HSC의 전체적인 유전자 발현 정도를 보기 위해 1만 9천개의 사람 유전자가 포함된 칩을 사용하여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마이크로어레이를 수행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는 실시간의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검증하였다. Wnt 신호 활성화는 웨스턴블롯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PDGF-BB는 hTERT HSC의 증식을 강력하게 유도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에서 PDGF-BB를 처리한 hTERT HSC의 경우 243개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265개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무보정의 수직적인 군 분류 결과 PDGF-BB 처리군과 대조군은 유의하게 분리되었다.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에서 대조군 대비 차이가 가장 큰 유전자들 중 glypican3(GPC3), BH3 interacting domain death agonist(BID) mRNA 실시간 PCR에서의 발현 양상은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와 통계적으로 상응하였다. Wnt 신호 전달계 중 frizzled10 (FZD10),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alpha (CAMK2A)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고 FZD10 단백질 발현 증가는 웨스턴블롯에서도 확인되었다. 결론: PDGF-BB로 활성화된 인체 간성상세포의 전반적인 유전자 발현 및 Wnt 신호 전달계의 활성 양상은 간성상세포 활성 조절 유전자들을 찾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결과들은 활성화된 간성상세포에 의한 초기 간섬유화의 기전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줄 것이다.
      번역하기

      목적: 간 성상세포의 증식은 간 섬유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는 매우 강력한 간성상세포 증식 촉진 물질이다. 사람의 간성상세포의 활성에 관여하는 유...

      목적: 간 성상세포의 증식은 간 섬유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는 매우 강력한 간성상세포 증식 촉진 물질이다. 사람의 간성상세포의 활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 양상과 Wnt신호 활성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PDGF-BB로 증식이 유도된 인체간성상세포에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유전자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에서는 Telomerase 역전사 효소가 첨가된 불사멸화된 사람의 간성상세포주 (hTERT HSC)가 사용되었다. PDGF-BB의 세포증식 촉진 효과는 WST-1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PDGF-BB를 처리한 hTERT HSC의 전체적인 유전자 발현 정도를 보기 위해 1만 9천개의 사람 유전자가 포함된 칩을 사용하여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마이크로어레이를 수행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는 실시간의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검증하였다. Wnt 신호 활성화는 웨스턴블롯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PDGF-BB는 hTERT HSC의 증식을 강력하게 유도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에서 PDGF-BB를 처리한 hTERT HSC의 경우 243개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265개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무보정의 수직적인 군 분류 결과 PDGF-BB 처리군과 대조군은 유의하게 분리되었다.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에서 대조군 대비 차이가 가장 큰 유전자들 중 glypican3(GPC3), BH3 interacting domain death agonist(BID) mRNA 실시간 PCR에서의 발현 양상은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와 통계적으로 상응하였다. Wnt 신호 전달계 중 frizzled10 (FZD10),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II alpha (CAMK2A)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고 FZD10 단백질 발현 증가는 웨스턴블롯에서도 확인되었다. 결론: PDGF-BB로 활성화된 인체 간성상세포의 전반적인 유전자 발현 및 Wnt 신호 전달계의 활성 양상은 간성상세포 활성 조절 유전자들을 찾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결과들은 활성화된 간성상세포에 의한 초기 간섬유화의 기전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This study aimed to better understand gene expression profiles of human hepatic stellate cell (HSC) ac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Wnt signaling pathway. Methods: The global transcript levels in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BB (PDGF-BB)-stimulated hTERT HSCs were analyzed using oligonucleotide microarrays. Oligonucleotide microarrays with 19K human oligo chips were performed to obtain gene expression profiles associated with proliferation in human hTERT HSCs. The microarray data was verified by real time quantitative PCR and expression of the components of Wnt signaling was analyzed by Western blot. Results: Microarray data showed 243 up-regulated and 265 down-regulated genes in PDGF-BB-treated HSCs. The changes in expression of glypican3 and BH3 interacting domain death agonist (BID) mRNA in real time quantitative PCR, especially among the highly up- or down-regulated genes, were statistically consistent with the microarray data. The Wnt signaling pathway components, frizzled10 (FZD10) and calcium/calmodulin- dependent protein kinase II alpha (CAMK2A), showed increased expression in the short time course microarray and the up-regulation of FZD10 also occurred at the protein level. Our data showed various gene expression profiles during activation of human HSC. Conclusions: The up-regulated expression of FZD10 and CAMK2A suggests that the Wnt/Ca2+ signaling pathway is active in hTERT HSCs and may participate in HSC activation and proliferation. (Korean J Hepatol 2009;15:486-495)
      번역하기

      Background/Aims: This study aimed to better understand gene expression profiles of human hepatic stellate cell (HSC) ac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Wnt signaling pathway. Methods: The global transcript levels in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

      Background/Aims: This study aimed to better understand gene expression profiles of human hepatic stellate cell (HSC) ac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Wnt signaling pathway. Methods: The global transcript levels in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BB (PDGF-BB)-stimulated hTERT HSCs were analyzed using oligonucleotide microarrays. Oligonucleotide microarrays with 19K human oligo chips were performed to obtain gene expression profiles associated with proliferation in human hTERT HSCs. The microarray data was verified by real time quantitative PCR and expression of the components of Wnt signaling was analyzed by Western blot. Results: Microarray data showed 243 up-regulated and 265 down-regulated genes in PDGF-BB-treated HSCs. The changes in expression of glypican3 and BH3 interacting domain death agonist (BID) mRNA in real time quantitative PCR, especially among the highly up- or down-regulated genes, were statistically consistent with the microarray data. The Wnt signaling pathway components, frizzled10 (FZD10) and calcium/calmodulin- dependent protein kinase II alpha (CAMK2A), showed increased expression in the short time course microarray and the up-regulation of FZD10 also occurred at the protein level. Our data showed various gene expression profiles during activation of human HSC. Conclusions: The up-regulated expression of FZD10 and CAMK2A suggests that the Wnt/Ca2+ signaling pathway is active in hTERT HSCs and may participate in HSC activation and proliferation. (Korean J Hepatol 2009;15:486-49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oyzis RK, "highly conserved repetitive DNA sequence, (TTAGGG)n, present at the telomeres of human chromosomes" 85 : 6622-6626, 1998

      2 Myung SJ, "Wnt signaling enhances the activation and survival of human hepatic stellate cells" 581 : 2954-2958, 2007

      3 Wells RG, "The role of matrix stiffness in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and liver fibrosis" 39 (39): S158-S161, 2005

      4 Arias IM, "The liver: biology and pathology. 3rd ed" Raven 1994

      5 Logan CY, "The Wnt signaling pathway in development and disease" 20 : 781-810, 2004

      6 Allsopp RC, "Telomere length predicts replicative capacity of human fibroblasts" 89 : 10114-10118, 1992

      7 Schnabl B, "Replicative senescence of activated human hepatic stellate cells is accompanied by a pronounced inflammatory but less fibrogenic phenotype" 37 : 653-664, 2003

      8 Mancini R, "Quantitative analysis of proliferating sinusoidal cells in dimethylnitrosamine-induced cirrhosis.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15 : 361-366, 1992

      9 Oh SH,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hepatoblastoma cells by tetrandrine via caspase-dependent Bid cleavage and cytochrome c release" 66 : 725-731, 2003

      10 Cassiman D, "Hepatic stellate cell/myofibroblast subpopulations in fibrotic human and rat livers" 36 : 200-209, 2002

      1 Moyzis RK, "highly conserved repetitive DNA sequence, (TTAGGG)n, present at the telomeres of human chromosomes" 85 : 6622-6626, 1998

      2 Myung SJ, "Wnt signaling enhances the activation and survival of human hepatic stellate cells" 581 : 2954-2958, 2007

      3 Wells RG, "The role of matrix stiffness in hep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and liver fibrosis" 39 (39): S158-S161, 2005

      4 Arias IM, "The liver: biology and pathology. 3rd ed" Raven 1994

      5 Logan CY, "The Wnt signaling pathway in development and disease" 20 : 781-810, 2004

      6 Allsopp RC, "Telomere length predicts replicative capacity of human fibroblasts" 89 : 10114-10118, 1992

      7 Schnabl B, "Replicative senescence of activated human hepatic stellate cells is accompanied by a pronounced inflammatory but less fibrogenic phenotype" 37 : 653-664, 2003

      8 Mancini R, "Quantitative analysis of proliferating sinusoidal cells in dimethylnitrosamine-induced cirrhosis.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15 : 361-366, 1992

      9 Oh SH,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hepatoblastoma cells by tetrandrine via caspase-dependent Bid cleavage and cytochrome c release" 66 : 725-731, 2003

      10 Cassiman D, "Hepatic stellate cell/myofibroblast subpopulations in fibrotic human and rat livers" 36 : 200-209, 2002

      11 Capurro MI, "Glypican-3 promotes the growth of hepatocellular carcinoma by stimulating canonical Wnt signaling" 65 : 6245-6254, 2005

      12 Jiang F, "Gene expression profile of quiescent and activated rat hepatic stellate cells implicates Wnt signaling pathway in activation" 45 : 401-409, 2006

      13 Bodnar AG, "Extension of life-span by introduction of telomerase into normal human cells" 279 : 349-352, 1998

      14 Breitkopf K, "Expression patterns of PDGF-A, -B, -C, -D and the PDGF-receptors alpha and beta in activated rat hepatic stellate cells (HSC)" 31 : 349-357, 2005

      15 Rawal N, "Dynamic temporal and cell type-specific expression of Wnt signaling components in the developing midbrain" 321 : 1626-1636, 2006

      16 Tafani M, "Cytochrome c release upon Fas receptor activation depends on translocation of full-length bid and the induction of the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277 : 10073-10082, 2002

      17 Hsu HC, "Cloning and expression of a developmentally regulated transcript MXR7 in hepatocellular carcinoma: biological significance and temporospatial distribution" 57 : 5179-5184, 1997

      18 Yin XM, "Bid, a BH3-only multi-functional molecule, is at the cross road of life and death" 369 : 7-19, 2006

      19 Reeves HL, "Activation of hepatic stellate cells at different stages of liver fibrosis in rats" 7 : d808-d826, 2001

      20 Dignam JD, "Accurate transcription initiation by RNA polymerase II in a soluble extract from isolated mammalian nuclei" 11 : 1475-1489, 1983

      21 Greider CW, "A telomeric sequence in the RNA of tetrahymena telomerase required for telomere repeat synthesis" 337 : 331-337,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2-06-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KCI등재
      2011-01-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간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1 0.11 0.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42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