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Don Tapscott(2008)의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의 8가지 특성인 자유, 맞춤제작, 철저한 조사, 성실성, 협업, 엔터테인먼트, 속도, 혁신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여, 한국과 중국의 젊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20470
2010
-
560
학술저널
369-375(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Don Tapscott(2008)의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의 8가지 특성인 자유, 맞춤제작, 철저한 조사, 성실성, 협업, 엔터테인먼트, 속도, 혁신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여, 한국과 중국의 젊은 ...
본 연구는 Don Tapscott(2008)의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의 8가지 특성인 자유, 맞춤제작, 철저한 조사, 성실성, 협업, 엔터테인먼트, 속도, 혁신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여, 한국과 중국의 젊은 세대들을 대상으로 검증해 보았다. 설문은 한국, 중국의 10대~30대, 남녀 506명이 응답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를 통해 디지털 네이티브의 8가지 차원을 확인하였으며,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디지털 네이티브 성향 차이를 살펴보고 IT소비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의 8가지 요인은 IT 소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엔터테인먼트, 자유, 혁신속성에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네이티브 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는 IT 소비면에서 거의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의 새로운 소비특징과 소통 방법을 연구하여 그들에게 맞는 새로운 마케팅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중소기업을 위한 Functional Safety 관점의 Code Inspection 적용 방안에 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