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영재의 이공계 대학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Educational Factors on Career Choice of Science-gifted Students to Science and Technology Bound Univers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95140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factors on career choice of science-gifted students to science and technology bound universities an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in regards to group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factors on career choice of science-gifted students to science and technology bound universities an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in regards to group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gifted education and critical events in relation to career choice to science and technology bound universities. For the study, 104 university freshmen, 75 males and 29 females, were sampled from UNIST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at many science high school graduates entered this year.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to do with the perceptions concerning career choice and educational factors that cause them to choose such career directions. The educational factors on career choice to science and technology bound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as 3 main categories such as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 (teaching-learning factor), human factor, attitude towards science factor and the subcategories within each category.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he project centered classes`` were highly interrelated with other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such as ``the experiment activity and environment for the activity`` and ``influence of teachers (professors).`` Second, the female students and graduates of the science high school were more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human factors on their decision for career than male students and graduates of the general high school. Third, this research found that historical scientific knowledge, perception of scientists` social status and job applications in the science field gave less influence rather than other factors on their decision for career. As a result of examining critical events for science-gifted education in relation to career choice to science and technology bound universities, numerous students mentioned that the extracurricular science activities such as science camps and field trips gave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career choic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기순,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2006년도 연구물 분석" 한국영재학회 17 (17): 338-364, 2007

      2 서혜애, "초.중등 우수학생 이공계 진출을 위한 과학 교육정책 방안 수립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3 권상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설립추진과정 및 발전방향 연구"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2010

      4 김충기, "미래사회와 진로선택" 한국학술정보 eBook 2004

      5 염승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활동에 대한 대학생이 된 수료생의 평가"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100-110, 2008

      6 양태연,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의 의미" 한국영재학회 17 (17): 463-493, 2007

      7 장경애, "과학자들의 진로선택과정에서 나타난 부각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131-1142, 2004

      8 심재영, "과학영재의 진로의식 변화 연구(1996년-2003년)" 13 (13): 95-112, 2003

      9 한기순, "과학영재교육원 효과성에 관한 진단과 분석" 교육연구소 9 (9): 273-297, 2008

      10 이기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진로발달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48-60, 2011

      1 한기순,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2006년도 연구물 분석" 한국영재학회 17 (17): 338-364, 2007

      2 서혜애, "초.중등 우수학생 이공계 진출을 위한 과학 교육정책 방안 수립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3 권상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설립추진과정 및 발전방향 연구"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2010

      4 김충기, "미래사회와 진로선택" 한국학술정보 eBook 2004

      5 염승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활동에 대한 대학생이 된 수료생의 평가"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100-110, 2008

      6 양태연,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의 의미" 한국영재학회 17 (17): 463-493, 2007

      7 장경애, "과학자들의 진로선택과정에서 나타난 부각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131-1142, 2004

      8 심재영, "과학영재의 진로의식 변화 연구(1996년-2003년)" 13 (13): 95-112, 2003

      9 한기순, "과학영재교육원 효과성에 관한 진단과 분석" 교육연구소 9 (9): 273-297, 2008

      10 이기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진로발달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48-60, 2011

      11 김현정,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영향을 주는 과학 영재 캠프의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268-278, 2006

      12 윤 진,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들의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13 Oliver, W. H., "Three studies of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of blacks and females toward the pursuit of science and science-related careers" 27 : 289-314, 1990

      14 Stake, J. E., "Science enrichment programs for gifted high school girls and boys: Predictors of program impact on science confidence and motivation" 38 : 1065-1088, 2001

      15 김경대,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282-290, 2008

      16 Hertzog, N. B., "Impact of gifted programs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 47 : 131-143, 2003

      17 Woolnough, B. E., "Factors affecting students'choi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16 : 959-676, 1994

      18 Woolnough, B. E., "Factors affecting student choice of career in science and engineering : Parallel studies in Australia, Canada, China, England, Japan, and Portugal" 15 (15): 105-121, 1999

      19 Young, D., "Factors affecting student career choice in science : An Australian study of rural and urban schools" 27 : 195-214, 1997

      20 Wang, J.,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of science education and student career aspiration" 94 : 312-319, 2001

      21 Tolbert, E. L.,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Houghton Mifflin 1980

      22 Barrington, B. L.,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knowledge of intellectually gifted and average students in third, seventh, and eleventh grades" 28 : 679-687,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