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Silver-town Customer's Helpless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9976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실버타운 소비자의 개인요인, 사회적 지지요인, 시설의 사회적 요인이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을 완화할 수 있도록 입소시설과 시설생활을 개선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실버타운 거주 노인의 보다 나은 삶과 복지를 실천하려면, 무력감을 환화할 수 있고 실버타운 시설 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개인요인과 사회적 지지요인 사회적 요인의 규명과 개선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과 관련된 개인요인, 사회적 지지요인, 사회적 요인이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기 위하여 실버타운 소비자 28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한 대면적 면담을 실시하고 결과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인 건강인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1의 검증결과는 기각되었다. 즉 객관적 건강인지수준은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주관적인 건강인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2의 검증결과는 기각되었다. 즉, 주관적인 건강인지수준은 노인의 무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노인에 대한 구조적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3의 검증결과는 채택되었다. 즉, 구조적 지지는 무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에 대한 구조적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노인에 대한 기능적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 4의 검증결과는 채택되었다. 즉, 기능적 지지는 무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에 대한 기능적 지지가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은 낮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실버타운의 시설, 프로그램, 종사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 5의 검증결과는 기각되었다. 즉 실버타운의 시설만족도, 프로그램만족도, 운영자에 만족도는 모두 노인의 무력감인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섯째, 인구통계적 요인에 따라 노인의 무력감 인식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6의 검증결과는 채택되었다. 성별과 입주거주기간에 따라 노인의 무력감인식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연령, 학력, 경제상태에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연령이 많을수록 무력감이 높았으며, 학력이 낮을수록 무력감이 높았으며, 경제적으로 중하층에서 무력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버타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실버타운 운영방식과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적인 평가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의 공개를 통해서 실버타운 운영적 향상을 기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실버타운 소비자의 개인요인, 사회적 지지요인, 시설의 사회적 요인이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을 완화할 ...

      본 연구의 목적은 실버타운 소비자의 개인요인, 사회적 지지요인, 시설의 사회적 요인이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을 완화할 수 있도록 입소시설과 시설생활을 개선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실버타운 거주 노인의 보다 나은 삶과 복지를 실천하려면, 무력감을 환화할 수 있고 실버타운 시설 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개인요인과 사회적 지지요인 사회적 요인의 규명과 개선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과 관련된 개인요인, 사회적 지지요인, 사회적 요인이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기 위하여 실버타운 소비자 28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한 대면적 면담을 실시하고 결과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인 건강인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1의 검증결과는 기각되었다. 즉 객관적 건강인지수준은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주관적인 건강인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2의 검증결과는 기각되었다. 즉, 주관적인 건강인지수준은 노인의 무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노인에 대한 구조적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3의 검증결과는 채택되었다. 즉, 구조적 지지는 무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에 대한 구조적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노인에 대한 기능적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 4의 검증결과는 채택되었다. 즉, 기능적 지지는 무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에 대한 기능적 지지가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은 낮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실버타운의 시설, 프로그램, 종사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 5의 검증결과는 기각되었다. 즉 실버타운의 시설만족도, 프로그램만족도, 운영자에 만족도는 모두 노인의 무력감인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섯째, 인구통계적 요인에 따라 노인의 무력감 인식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6의 검증결과는 채택되었다. 성별과 입주거주기간에 따라 노인의 무력감인식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연령, 학력, 경제상태에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연령이 많을수록 무력감이 높았으며, 학력이 낮을수록 무력감이 높았으며, 경제적으로 중하층에서 무력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버타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실버타운 운영방식과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적인 평가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의 공개를 통해서 실버타운 운영적 향상을 기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bout consumer's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ing factor, social factor of equipment, by grasping the influential power of silver-town consumer's helplessness, for the weakening of silver-town consumer's helplessness, for the sake of seeking for improving social welfare program on the entering facilities and facility life, it is done.
      For the practicing better life and welfare about the dwelling eldest in silver-town, as the weakening helplessness and for the better improving the quality of facility environment, it needs the survey of the cause of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ing factor, social factor and improving program.
      In this study, in the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ing factor, social factor in relation to the silver-town consumer's helplessness, for the examining of influential factors, 288 silver-town consumers are selected and by using composed questionnaire and face to face interview, the results are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summar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1 is rejected : The higher objective health perceived level,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Namely, the objective health perceived level has no influence on the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Second,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2 is rejected : The higher subjective health perceived level,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Namely, the subjective health perceived level has no influence on helplessness of the eldest.
      Third,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3 is supported : The higher composed supporting level of the eldest,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Namely, as composed supporting level has negative influence on helplessness, the higher composed supporting level of the eldest,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Fourth,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4 is supported : The higher functioning supporting level of the eldest,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Namely, as the functional supporting level has negative influence on helplessness, the higher functional supporting level of the eldest, the lower helplessness of the eldest.
      Fifth,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5 is rejected : The higher satisfaction level about silver-town equipment, program, and staffs,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Namely, the satisfaction level about equipment, program, staffs has no influence on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Sixth,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6 is supported :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it appears the differences for the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According to sex and entering dwelling period, it appears no meaningful difference about helplessness perception.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age, education, income, it appears meaningful differences. Namely, the older, the higher helplessness level, the lower education level, the higher helplessness level, in the middle of low income, the higher relatively helplessness.
      Accordingly,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ilver-town, about the management method of silver-town and program, professional evaluation must be done periodically, through this openness, they must do their best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silver-town.
      번역하기

      In this study, about consumer's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ing factor, social factor of equipment, by grasping the influential power of silver-town consumer's helplessness, for the weakening of silver-town consumer's helplessness, for the sake of ...

      In this study, about consumer's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ing factor, social factor of equipment, by grasping the influential power of silver-town consumer's helplessness, for the weakening of silver-town consumer's helplessness, for the sake of seeking for improving social welfare program on the entering facilities and facility life, it is done.
      For the practicing better life and welfare about the dwelling eldest in silver-town, as the weakening helplessness and for the better improving the quality of facility environment, it needs the survey of the cause of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ing factor, social factor and improving program.
      In this study, in the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ing factor, social factor in relation to the silver-town consumer's helplessness, for the examining of influential factors, 288 silver-town consumers are selected and by using composed questionnaire and face to face interview, the results are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summar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1 is rejected : The higher objective health perceived level,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Namely, the objective health perceived level has no influence on the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Second,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2 is rejected : The higher subjective health perceived level,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Namely, the subjective health perceived level has no influence on helplessness of the eldest.
      Third,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3 is supported : The higher composed supporting level of the eldest,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Namely, as composed supporting level has negative influence on helplessness, the higher composed supporting level of the eldest,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Fourth,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4 is supported : The higher functioning supporting level of the eldest,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Namely, as the functional supporting level has negative influence on helplessness, the higher functional supporting level of the eldest, the lower helplessness of the eldest.
      Fifth,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5 is rejected : The higher satisfaction level about silver-town equipment, program, and staffs,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Namely, the satisfaction level about equipment, program, staffs has no influence on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Sixth,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6 is supported :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it appears the differences for the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According to sex and entering dwelling period, it appears no meaningful difference about helplessness perception.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age, education, income, it appears meaningful differences. Namely, the older, the higher helplessness level, the lower education level, the higher helplessness level, in the middle of low income, the higher relatively helplessness.
      Accordingly,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ilver-town, about the management method of silver-town and program, professional evaluation must be done periodically, through this openness, they must do their best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silver-tow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제1장 서 론 =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 제2장 이론적 배경 = 5
      • 국문요약
      • 제1장 서 론 =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 제2장 이론적 배경 = 5
      • 제1절 무력감 = 5
      • 1. 노인과 노화의 개념 = 5
      • 2. 노인의 심리적 특성 = 6
      • 3. 노화와 무력감 = 7
      • 제2절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에 대한 선행연구 = 10
      • 제3절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 = 12
      • 제4절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3
      • 1. 실버타운 소비자의 개인요인 = 14
      • 2. 실버타운의 사회적 지지요인 = 15
      • 3. 실버타운의 사회적 요인 = 17
      • 제3장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 20
      • 제1절 연구모형 설정 = 20
      • 제2절 가설의 설정 = 21
      • 1. 실버타운 소비자의 개인요인이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 = 21
      • 2. 실버타운 소비자의 사회적 지지요인이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 = 22
      • 3. 실버타운 소비자의 사회적 요인이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 = 22
      •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 24
      • 1. 종속변수 = 24
      • 2. 독립변수 = 25
      • 제4절 분석방법 = 26
      • 제4장 실증분석 = 28
      • 제1절 표본특성 = 28
      • 제2절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 29
      • 1. 신뢰도 분석 = 29
      • 2. 타당성 분석 = 30
      • 제3절 상관관계분석 = 31
      • 제4절 가설검증 = 32
      • 1. 가설 1의 검증 = 33
      • 2. 가설 2의 검증 = 34
      • 3. 가설 3의 검증 = 35
      • 4. 가설 4의 검증 = 35
      • 5. 가설 5의 검증 = 36
      • 6. 가설 6의 검증 = 36
      • 7. 인구통계적 변수에 따른 각 요인의 차이 분석 = 37
      • 제5장 결 론 = 46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 46
      • 제2절 논의와 제언 = 47
      • 제3절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 48
      • 참고문헌 = 50
      • 부록 = 55
      • ABSTRACT =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