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 미러 운동기기를 활용한 8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 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n 8-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Using a Smart Mirror Device on Health-Related Fitness in El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55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스마트 미러 운동기기(Smart Mirror Device: SMD)를 활용한 8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 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단순 무작위 표집법(simple random sampling)을 통해 지도자의 중재 없이 SMD에 탑재된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직접 수행하는 실험군 8명, 지도자의 중재에 따라 SMD에 탑재된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비교군 8명, 무처치 집단인 통제군 8명 등 총 24명의 연구대상을 모집 하여 충청남도 C시에 소재한 C종합체육관에서 8주간 주 2회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중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MD를 활용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세 집단의 건강 관련 체력 중 WHR,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평형성, 협응력이 사후검사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MD를 활용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세 집단의 건강 관련 체력 중 실험군은 WHR, 근지구력, 평형성이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군은 BMI, WHR,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평형성, 협응력이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마트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고 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스마트 미러 운동기기(Smart Mirror Device: SMD)를 활용한 8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 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단순 무작위 표집법(simple random ...

      이 연구는 스마트 미러 운동기기(Smart Mirror Device: SMD)를 활용한 8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 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단순 무작위 표집법(simple random sampling)을 통해 지도자의 중재 없이 SMD에 탑재된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직접 수행하는 실험군 8명, 지도자의 중재에 따라 SMD에 탑재된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비교군 8명, 무처치 집단인 통제군 8명 등 총 24명의 연구대상을 모집 하여 충청남도 C시에 소재한 C종합체육관에서 8주간 주 2회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중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MD를 활용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세 집단의 건강 관련 체력 중 WHR,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평형성, 협응력이 사후검사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MD를 활용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세 집단의 건강 관련 체력 중 실험군은 WHR, 근지구력, 평형성이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군은 BMI, WHR,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평형성, 협응력이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마트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고 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원상 ; 문황운 ; 박훈영, "활동적인 비만 노인 남성의 12주간 복합운동참여가 신체구성 및 일상생활체력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26 (26): 297-304, 2018

      2 최해선, "헬스케어를 위한 스마트 트레이너 시스템 구현" 11 : 661-664, 2021

      3 공현중 ; 김정은 ; 황은진 ; 홍지영 ; 김석화, "헬스케어 스마트홈 운동프로그램이 비만 여성 노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회 34 (34): 103-114, 2014

      4 고병구 ; 성봉주 ; 조은형 ; 이종백, "한국 노인 연령별 건강체력요인 추출"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2 (22): 69-82, 2020

      5 김경태 ; 조지훈, "탄성밴드운동 및 유산소성 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체력, 혈중지질 및 혈관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5 (15): 105-114, 2013

      6 김용진, "중소도시 노인들의 24주간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성인병 질환자 및 정상인의 신체구성, 혈액성분,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31-439, 2013

      7 강선영, "장애인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운동중재에 관한 연구: 융합형 디바이스 활용 관점에서" 한국융합보안학회 19 (19): 85-90, 2019

      8 오지원 ; 윤명숙 ; 여영훈, "장애가 있는 전기 노인의 COVID-19 시기 디지털 리터러시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애발생시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8 (78): 93-117, 2023

      9 장윤호 ; 신상근, "장기간 저강도 복합운동이 여성 노인의 기능체력, 보행속도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6 (26): 1191-1203, 2017

      10 박세정 ; 고병구 ; 김상훈 ; 정진욱 ; 박수현 ; 이미현 ; 김성호 ; 박채희 ; 최규환, "여성노인의 허약에 대한 체력 분별점 제시: 국민체력100 노인기 체력검사항목을 중심으로"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6 (26): 243-253, 2015

      1 정원상 ; 문황운 ; 박훈영, "활동적인 비만 노인 남성의 12주간 복합운동참여가 신체구성 및 일상생활체력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26 (26): 297-304, 2018

      2 최해선, "헬스케어를 위한 스마트 트레이너 시스템 구현" 11 : 661-664, 2021

      3 공현중 ; 김정은 ; 황은진 ; 홍지영 ; 김석화, "헬스케어 스마트홈 운동프로그램이 비만 여성 노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회 34 (34): 103-114, 2014

      4 고병구 ; 성봉주 ; 조은형 ; 이종백, "한국 노인 연령별 건강체력요인 추출"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2 (22): 69-82, 2020

      5 김경태 ; 조지훈, "탄성밴드운동 및 유산소성 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체력, 혈중지질 및 혈관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5 (15): 105-114, 2013

      6 김용진, "중소도시 노인들의 24주간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성인병 질환자 및 정상인의 신체구성, 혈액성분,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31-439, 2013

      7 강선영, "장애인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운동중재에 관한 연구: 융합형 디바이스 활용 관점에서" 한국융합보안학회 19 (19): 85-90, 2019

      8 오지원 ; 윤명숙 ; 여영훈, "장애가 있는 전기 노인의 COVID-19 시기 디지털 리터러시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애발생시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8 (78): 93-117, 2023

      9 장윤호 ; 신상근, "장기간 저강도 복합운동이 여성 노인의 기능체력, 보행속도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6 (26): 1191-1203, 2017

      10 박세정 ; 고병구 ; 김상훈 ; 정진욱 ; 박수현 ; 이미현 ; 김성호 ; 박채희 ; 최규환, "여성노인의 허약에 대한 체력 분별점 제시: 국민체력100 노인기 체력검사항목을 중심으로"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6 (26): 243-253, 2015

      11 양대중 ; 박희석, "야외운동기구를 이용한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체력과 혈당 및 말초동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7 (27): 979-991, 2018

      12 서재식 ; 신민호 ; 문미경, "스마트 거울을 활용한 실시간 자세교정 피트니스 시스템" 한국전기전자학회 23 (23): 74-79, 2019

      13 김준웅 ; 권훈겸, "불안정한 지면에서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낙상관련체력 및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 25 (25): 52-61, 2018

      14 이진 ; 고성식 ; 정제순,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기능적 체력과 노화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육발달학회 20 (20): 287-293, 2012

      15 김환 ; 김지태 ; 김욱, "노인의 헬스케어 디바이스에 대한 범이론적 모델 기반의 행동변화 요구도와 선호도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17 (17): 137-142, 2022

      16 권수정, "노인들의 근력운동 프로그램이 건강관련 체력 및 대사증후군 요인에 미치는 영향" 90-96, 2018

      17 박재용 ; 송영주, "근감소증 노인여성들의 15주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신체구성, IGF-1 및 고관절 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8 (18): 621-633, 2020

      18 "국민체력100"

      19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주요통계"

      20 오해석, "u-헬스케어 기술 및 표준화동향" 112 : 100-105, 2007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lobal report on falls prevention in older ag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22 진우강 ; 이성원, "UTAUT 모델에 기초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수용 의도에 관한 연구-스마트 의류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21 (21): 311-327, 2020

      23 Chaparro, J. D., "The shapes smart mirror approach for independent living, healthy and active ageing" 21 (21): 7938-, 2021

      24 Toraman, A., "The falling risk and physical fitness in older people" 51 (51): 222-226, 2010

      25 Irez, G. B., "The effects of different exercises on balance, fear and risk of falling among adults aged 65 and over" 18 (18): 129-134, 2014

      26 Zhuang, J., "The effectiveness of a combined exercise intervention on physical fitness factors related to falls in communityꠓdwelling older adults" 4 : 131-140, 2014

      27 Cruz-Jentoft, A. J., "Sarcopenia : european consensus on definition and diagnosis : report of the European working group on sarcopenia in older people" 39 (39): 412-423, 2010

      28 Liu-Ambrose, T., "Resistance and agility training reduce fall risk in women aged 75 to 85 with low bone mass : a 6-month randomized, conꠓtrolled trial" 52 (52): 657-665, 2004

      29 우현지 ; 유미 ; 홍철운 ; 권대규, "Kinect Sensor 기반의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시스템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22 (22): 593-605, 2022

      30 주윤용 ; 김동현, "IT기기를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이 노인 비만 여성 신체 조성 및 혈관 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4 (14): 161-170, 2016

      31 Kemmler, W., "Exercise effects on bone mineral density, falls, coronary risk factors, and health care costs in older women : the randomized controlled senior fitness and prevention(SEFIP)study" 170 (170): 179-185, 2010

      32 Mann, S., "Differential effects of aerobic exercise, resistance training and combined exercise modalities on cholesterol and the lipid profile : Review, synthesis and recommendations" 44 : 211-221, 2014

      33 ACSM Personal Trainer Exam Prep Team, "ACSM's certification review" ACSM Personal Trainer Exam Prep Team 2018

      34 김인규 ; 백경완 ; 성창수 ; 유준일 ; 김지석, "8주간의 복합운동이 80세 이상 초고령 여성 노인의 근력 및 신체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운동생리학회 29 (29): 97-105, 2020

      35 이승현, "8주간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운동중재가 신체활동량, 체지방률,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2021

      36 보건복지부,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20

      37 이정필 ; 오재근 ; 조상근 ; 김호성, "12주간의 근력 및 스트레칭 병합운동이 노인여성들의 평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0 (20): 53-64, 2006

      38 홍예주 ; 오덕자 ; 박인영, "12주간 한국무용 참여가 여성노인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회 23 : 199-214,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