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Interacting with Neighbor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interacting with neighbors' of home economics subject. The plan consisting of 3 lessons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Various activity materials (7 student's activity sheets, 3 reading texts, 1 homework sheet, 3 sets of ppt, 6 videos, and 3 teacher's reading texts) as well as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for the 3-session lessons. The plans were implemented by the researcher to 204 freshmen, 8 classes, of C middle school in Seoul during september, 2017.
      The result, of students' lower level of actual participation in interacting with neighbors comparing to their interests in, supported the need of this study.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whole 3-lessons in the aspects such as beneficial usage of the contents in their daily life and in building the sense of community, as well as adequacy of materials and activities. Students also reported that they would highly aware to the importance of interacting with neighbors and to practice the contents learned from the lessons in daily life at community. They ha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e's own attitude to neighbors and recommended to teach it to other schools, to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interacting with neighbors' would raise students' housing values living together and attain the overall objective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home economics middle school curriculu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interacting with neighbors' of home economics subject. The plan consisting of 3 lessons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interacting with neighbors' of home economics subject. The plan consisting of 3 lessons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Various activity materials (7 student's activity sheets, 3 reading texts, 1 homework sheet, 3 sets of ppt, 6 videos, and 3 teacher's reading texts) as well as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for the 3-session lessons. The plans were implemented by the researcher to 204 freshmen, 8 classes, of C middle school in Seoul during september, 2017.
      The result, of students' lower level of actual participation in interacting with neighbors comparing to their interests in, supported the need of this study.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whole 3-lessons in the aspects such as beneficial usage of the contents in their daily life and in building the sense of community, as well as adequacy of materials and activities. Students also reported that they would highly aware to the importance of interacting with neighbors and to practice the contents learned from the lessons in daily life at community. They ha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e's own attitude to neighbors and recommended to teach it to other schools, to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interacting with neighbors' would raise students' housing values living together and attain the overall objective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home economics middle school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주생활 영역‘주거와 거주환경’단원의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개발은 ADDIE단계에 따라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의 주생활 단원을 분석하고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총괄 학습목표와 성취기준, 실천적 문제와 3차시분의 학습주제(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의 중요성, 이웃공동체 활동과 지역사회 공동체,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가치관)를 선정하였다. 차시별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방법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학습 활동지 7개와 읽기 자료 3개, 과제지 1개, 교사용 자료 3개, PPT자료 3세트, 동영상 6개), 설문지를 개발하여, 2017년 9월 한 달 간 서울시 구로구 소재 C중학교 1학년 전체 8학급 남녀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수업에 적용하고, 185명의 학생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대부분 평소 이웃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교류를 이어가고 있었으나 적극적으로 활동을 찾아보려는 노력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전반에 관한 평가에서 수업 활동과 수업 자료들이 수업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으며 수업의 내용이 자신들의 삶과 동네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 응답하였고 다른 학교에서도 이러한 내용의 수업이 이루어지기를 바랐다. 각 차시별 수업 내용은 더불어 살아가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이웃공동체 활동과 지역사회 공동체에 대해 탐색하며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가치관을 함양하는 것으로 평소 이웃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행동을 되돌아보고 자신의 행동이 나와 가족, 이웃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이웃들이 주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도우며 이웃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고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 실천의식을 가지고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가치관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은 총괄 학습목표와 실천적 문제, 각 차시별 학습 주제와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생활 영역 성취기준을 달성하는데 적절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관계형성능력을 함양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주생활 영역‘주거와 거주환경’단원의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는데 ...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주생활 영역‘주거와 거주환경’단원의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개발은 ADDIE단계에 따라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의 주생활 단원을 분석하고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총괄 학습목표와 성취기준, 실천적 문제와 3차시분의 학습주제(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의 중요성, 이웃공동체 활동과 지역사회 공동체,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가치관)를 선정하였다. 차시별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방법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학습 활동지 7개와 읽기 자료 3개, 과제지 1개, 교사용 자료 3개, PPT자료 3세트, 동영상 6개), 설문지를 개발하여, 2017년 9월 한 달 간 서울시 구로구 소재 C중학교 1학년 전체 8학급 남녀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수업에 적용하고, 185명의 학생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대부분 평소 이웃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교류를 이어가고 있었으나 적극적으로 활동을 찾아보려는 노력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전반에 관한 평가에서 수업 활동과 수업 자료들이 수업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으며 수업의 내용이 자신들의 삶과 동네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 응답하였고 다른 학교에서도 이러한 내용의 수업이 이루어지기를 바랐다. 각 차시별 수업 내용은 더불어 살아가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이웃공동체 활동과 지역사회 공동체에 대해 탐색하며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가치관을 함양하는 것으로 평소 이웃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행동을 되돌아보고 자신의 행동이 나와 가족, 이웃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이웃들이 주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도우며 이웃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고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 실천의식을 가지고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가치관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은 총괄 학습목표와 실천적 문제, 각 차시별 학습 주제와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생활 영역 성취기준을 달성하는데 적절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관계형성능력을 함양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은미, "중학생의 주생활 안전의식 함양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9 (29): 15-33, 2017

      2 김경연, "중학교 주생활 영역의 ‘녹색 실내환경 실천하기’ 수업이 녹색생활 의식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69-96, 2012

      3 주현정, "중등학교 주생활교육 교수・학습 개발연구 내용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9 (29): 33-48, 2017

      4 나지명,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노인용 코하우징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기술・가정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8 (28): 1-16, 2016

      5 장상옥, "일본 중등학교 가정교과서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155-183, 2010

      6 도봉구, "이제 공구와 캠핑용품도 무료로 빌려 쓸 수 있다"

      7 중앙시사매거진, "월간중앙 201609호"

      8 성동구, "안 쓰는 우리 아이용품, 공유하세요"

      9 채정현,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가정교과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 (19): 65-79, 2007

      10 유태명,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203-215, 2009

      1 송은미, "중학생의 주생활 안전의식 함양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9 (29): 15-33, 2017

      2 김경연, "중학교 주생활 영역의 ‘녹색 실내환경 실천하기’ 수업이 녹색생활 의식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69-96, 2012

      3 주현정, "중등학교 주생활교육 교수・학습 개발연구 내용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9 (29): 33-48, 2017

      4 나지명,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노인용 코하우징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기술・가정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8 (28): 1-16, 2016

      5 장상옥, "일본 중등학교 가정교과서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155-183, 2010

      6 도봉구, "이제 공구와 캠핑용품도 무료로 빌려 쓸 수 있다"

      7 중앙시사매거진, "월간중앙 201609호"

      8 성동구, "안 쓰는 우리 아이용품, 공유하세요"

      9 채정현,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가정교과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 (19): 65-79, 2007

      10 유태명,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203-215, 2009

      11 교육부,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12 교육과학기술부,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13 김은정,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청소년의 자기관리’내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35-53, 2009

      14 마포구, "도심 속 텃밭에 이웃사랑이 주렁주렁"

      15 유지혜, "기술·가정 교과의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의 자기관리’ 단원의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검증: 중학생의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5 (25): 79-98, 2013

      16 서울시, "공동체주택"

      17 김미향, "가정과 주생활 교육을 위한 코하우징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평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55-69, 2011

      18 김은정, "가정과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6 (26): 17-34, 2014

      19 신한 트렌드연구소, "“소유”의 다이어트-가볍고 다양해진 소유"

      20 박미라, "‘이웃과 더불어 만드는 지속가능한 주거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1-18, 2010

      21 Park, H. J.,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hared housing 'Woozoo' in Gangbuk.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22 Kim, J. K., "The purchase cost and the living cost savings in community-housing" University of Seoul 2017

      23 Song, J, 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festival in alternative village community: Focusing on sungmisan village festival" Korea University 2012

      24 Lee, H. M.,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in home economics on high school female students' creativity" Ehwa Women University 1998

      25 Moon, S. H.,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applied to 'Food & Nutrition' units o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morality" 13 (13): 119-130, 2001

      26 Kim, H. A., "The effect of the village community project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intention on sense of community: Focused gangnam-gu rental housing" Catholic University 2015

      27 Choi, Y. M., "The effect of practical reasoning study on problem solving ability in home econom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2

      28 Kim, S. K., "The effect of practical reasoning on the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137-, 2005

      29 Byeon, H. J., "The effect of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in home economics on the critical think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9

      30 Yang, S. Y., "The effect adolescent's internet game addiction reality ego-identity and cyber ego-identity on family relationship and adjustment in school life" Myongji University 2006

      31 Kim, J. H., "The demand characteristics and living intention of share house in Seoul" Dankook University 2015

      32 Kim, H. B., "The case study of changing process and resident's participation structure in apartment village commun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33 Kwak, B. R., "The Analysis on the effect that internet addiction has on the formation of personal relations: Centering around high schools in Anyang areas" Ehwa Women University 2003

      34 Jang, Y. J., "Residents satisfaction on government-initiated community housing of Seoul city government" University of Seoul 2017

      35 Yoo, T. M., "Practical problem based home economics class: Theory and practice" Book Korea 2010

      36 Lee, W. Y., "Impact of community firms on the formation of community spirit: An analysis of community firms in Gyeongbuk provi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6

      37 Kim, J. I., "Impact of Instruction for the learner-involved development of analytical rubrics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middle schoolers: The case of the housing segmen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9

      38 Housing Study Group, "Housing culture seen from inside and outside" Kyomunsa 2014

      39 Lee, J. H., "Effects of practical problem solving study 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ase of a unit 'My Environment-friendly Life' in practic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0

      40 Song, E. S., "Effect of nature dyeing instruction based on practical problem solving on elementary"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7

      41 Lee, J. S., "Community: From utopia to town creation" Bakyoungsa 2015

      42 Lee, M. S., "Common life of housing by the elderly and young student based on case studies of the home share" 37 (37): 73-76, 2017

      43 Cho. S. Y., "Changes in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clothing attitud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via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44 Oh, J.,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demand characteristics of share house in Korea" Konkuk University 2014

      45 Park, D. K., "A study on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 of residence welfare followed by increase in single households" Konkuk University 2015

      46 Han, S. H., "A cross-cultural study on the sungmisan village" Kookmin University 2012

      47 통계청, "2017 장래가구추계"

      48 통계청, "2017 고령자통계"

      49 국토교통부, "2016년 주거실태조사"

      50 주택저널, "2016년 11월호"

      51 한국소비자원, "1인 가구 소비생활실태 보도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37 1.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