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 수발보험에서의 수발수당에 대한 연구-쟁점과 효과평가- = A Study on Pflegegeld in German Pflegeversicherung-issues and effective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24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독일에서는 1970년대 말부터 인구고령화로 인한 장기요양욕구의 증대와 노인의료비용의 증가로 인한 재정압박 그리고 여성취업의 증가로 인한 사적 돌봄의 공백이 이슈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수발보험을 도입하게 되었다. 수발보험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수발보험의 급여 중 하나인 수발수당이 현금급여라는 형태적 특성으로 인해 비공식서비스제공자에 대한 보상, 성역할 고착화, 소비자의 선택권 보장, 서비스의 질, 재정 등에서 다양한 효과를 낳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해 수발수당에 대해 주로 논의되는 쟁점 5가지를 중심으로 하여 그 효과를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수발수당은 비공식수발에 대한 보상의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긍정적이었으나 모순적이게도 성역할의 공고화를 강화하는 영향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수발수당은 서비스 수요자에게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다양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는 강요된 선택에 가깝고, 질 관리가 부족한 문제점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수발재정에 있어서는 수발수당으로 인한 비용절감의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되어 이 점은 장기요양체계의 구성에 있어서 다른 나라에 대한 긍정적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번역하기

      독일에서는 1970년대 말부터 인구고령화로 인한 장기요양욕구의 증대와 노인의료비용의 증가로 인한 재정압박 그리고 여성취업의 증가로 인한 사적 돌봄의 공백이 이슈화되면서 이에 대한 ...

      독일에서는 1970년대 말부터 인구고령화로 인한 장기요양욕구의 증대와 노인의료비용의 증가로 인한 재정압박 그리고 여성취업의 증가로 인한 사적 돌봄의 공백이 이슈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수발보험을 도입하게 되었다. 수발보험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수발보험의 급여 중 하나인 수발수당이 현금급여라는 형태적 특성으로 인해 비공식서비스제공자에 대한 보상, 성역할 고착화, 소비자의 선택권 보장, 서비스의 질, 재정 등에서 다양한 효과를 낳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해 수발수당에 대해 주로 논의되는 쟁점 5가지를 중심으로 하여 그 효과를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수발수당은 비공식수발에 대한 보상의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긍정적이었으나 모순적이게도 성역할의 공고화를 강화하는 영향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수발수당은 서비스 수요자에게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다양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는 강요된 선택에 가깝고, 질 관리가 부족한 문제점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수발재정에 있어서는 수발수당으로 인한 비용절감의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되어 이 점은 장기요양체계의 구성에 있어서 다른 나라에 대한 긍정적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ng-term care has been rising on the policy agenda of many nations. The german government is worried about the increasing burdens of population ageing on health care system. In that context, taking on Pflegeversicherung as a new programme has appeared to be the best or efficient solution to issue of ageing society. Pflegegeld as cash payment has various effects for clients and family care-givers and cost containment of Pflegeversicherung. This paper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flegegeld in 5 perspectives:1) payment for informal care-givers, 2) fixing traditional sex-role, 3) guarantee of service customer’s right of choice, 4) quality of service, 5) cost containment of Pflegeversicherung. Pflegegeld is positive evaluated in perspective of payment for informal care-givers and strength fixing traditional sex-role. Clients are able to choice various services by pflegegeld, but this choice is forcible demand and quality of informal service is lower than quality of formal service. Pflegegeld contributes to cost containment of service.
      번역하기

      Long-term care has been rising on the policy agenda of many nations. The german government is worried about the increasing burdens of population ageing on health care system. In that context, taking on Pflegeversicherung as a new programme has appeare...

      Long-term care has been rising on the policy agenda of many nations. The german government is worried about the increasing burdens of population ageing on health care system. In that context, taking on Pflegeversicherung as a new programme has appeared to be the best or efficient solution to issue of ageing society. Pflegegeld as cash payment has various effects for clients and family care-givers and cost containment of Pflegeversicherung. This paper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flegegeld in 5 perspectives:1) payment for informal care-givers, 2) fixing traditional sex-role, 3) guarantee of service customer’s right of choice, 4) quality of service, 5) cost containment of Pflegeversicherung. Pflegegeld is positive evaluated in perspective of payment for informal care-givers and strength fixing traditional sex-role. Clients are able to choice various services by pflegegeld, but this choice is forcible demand and quality of informal service is lower than quality of formal service. Pflegegeld contributes to cost containment of serv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회 양성평등포럼, "정부 노인수발보험을 위한 현금급여제도 도입에 관한 정책토론회 , 정책토론회 자료집"

      2 석재은, "장기요양 현금급여 정책의 국가간 비교 연구" 58 (58): 273-302, 2006

      3 선우덕, "인구고령화의 장기요양보호의 정책방향" 15-45, 2001

      4 임춘식, "외국의 고령화사회 대책 추진체계 및 노인복지정책 분석"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5 김근홍, "수발보험 도입의 전개와 주요제도 내용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독일수발보험의 전반적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18) : 83-104, 2004

      6 닐 길버트, "사회복지정책론-분석틀과 선택의 차원 , 나눔의집 , (2005.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Pearson Education Inc.)"

      7 송근원, "사회복지정책론" 나남출판 1995

      8 정재훈, "사회보험으로서 수발보험 도입 가능성 모색을 위한 연구:독일의 예를 중심으로" 48 (48): 359-402, 2002

      9 조영훈, "사회변동, 복지정치, 복지국가의 변화" (38) : 161-184, 2004

      10 이진숙, "독일 수발보험에서의 현금급여(수발수당)제도:운영현황과 평가 , 정부 노인수발보험을 위한 현금급여제도 도입에 관한 정책토론회 , 국회양성평등포럼 , pp. 7-44"

      1 국회 양성평등포럼, "정부 노인수발보험을 위한 현금급여제도 도입에 관한 정책토론회 , 정책토론회 자료집"

      2 석재은, "장기요양 현금급여 정책의 국가간 비교 연구" 58 (58): 273-302, 2006

      3 선우덕, "인구고령화의 장기요양보호의 정책방향" 15-45, 2001

      4 임춘식, "외국의 고령화사회 대책 추진체계 및 노인복지정책 분석"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5 김근홍, "수발보험 도입의 전개와 주요제도 내용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독일수발보험의 전반적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18) : 83-104, 2004

      6 닐 길버트, "사회복지정책론-분석틀과 선택의 차원 , 나눔의집 , (2005.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Pearson Education Inc.)"

      7 송근원, "사회복지정책론" 나남출판 1995

      8 정재훈, "사회보험으로서 수발보험 도입 가능성 모색을 위한 연구:독일의 예를 중심으로" 48 (48): 359-402, 2002

      9 조영훈, "사회변동, 복지정치, 복지국가의 변화" (38) : 161-184, 2004

      10 이진숙, "독일 수발보험에서의 현금급여(수발수당)제도:운영현황과 평가 , 정부 노인수발보험을 위한 현금급여제도 도입에 관한 정책토론회 , 국회양성평등포럼 , pp. 7-44"

      11 김근홍, "독일 수발보험(Pflegeversicherung)의 정치적 배경" 441-455, 1999

      12 유호선, "노인요양보호제도와 보살핌노동인력 특성-복지 레짐별 비교연구" 29 (29): 217-249, 2007

      13 김찬우, "노인수발보장제도의 쟁점과 문제점에 관한 고찰" (12) : 261-288, 2005

      14 김진수, "노인수발보장제도 도입의 쟁점과 정책과제" (13) : 1-28, 2006

      15 석재은, "노인수발보장의 제도화와 젠더관점 , 여성관점에서 본 장기요양제도토론회 자료집 , 한국여성단체연합 , pp.13-59"

      16 권순만, "노인 장기요양 재원조달체계:제도의 유형과 정책과제" (15) : 9-36, 2006

      17 김근홍, "고령화 사회의 체계적 수발방안-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20 (20): 169-184, 2000

      18 "http://www.labournet.de/diskussion/arbeit/realpolitik/modelle/ruerup/R?up-Kommission zur nachhaltigen Finanzierung der Sozialversicherungssysteme(2002)"

      19 "http://www.destasis.de/basis/d/erwerb/erwerbtab1.htm"

      20 "http://www.bmfsfi. de/Politikbereiche/Aeltere-. 2003. 12. 20"

      21 Bundesministerium f Gesundheit und Soziale Sicherung, "Zweiter Bericht ueber die Entwicklung der Pflegeversicherung"

      22 Dierl,Reinhard., "Zur Pflegesituation in den Familien , pp.115-128 in B. Jans and A. Sering(ed.). Familien im wiedervereinigten Deutschland. Grafschaft"

      23 Bertram, "Zeit, Infrastruktur und Geld, Familienpolitik als Zukunftspolitik" 23 (23): 6-15, 2005

      24 Ungerson,C., "Whose empowerment and independence? a cross-national perspective on ‘cash for care’ schemes" (24) : 189-212, 2004

      25 Lister,Ruth, "Towards a citizen’s welfare state-The 3+2 ‘R’s of welfare reform" 2 (2): 91-111, 2000

      26 Bartholomeyzik, "Time distribution of selected care activities in home care in Germany" (13) : 97-104, 2004

      27 Statistisches Bundesamt, "Statistisches Jahrbuch fu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Wiesbaden"

      28 이연, "Pflegeversicherung과 관련된 논의의 발전 방향:수발보험 용어를 중심으로" (6) : 327-342, 2002

      29 김철주, "OECD국가 노인장기요양보호 체계 개혁방향-비공식적 장기요양보호에 대한 보상 및 지원 제도화를 중심으로-" (35) : 231-251, 2007

      30 Stone,Robyn I., "Linking Services to Housing:Who will provide the care , Generations Winter 2005-2006:44-51"

      31 Sawatzky, J. E., "Impact of caregiving:listening to the voice of informal caregivers" (10) : 277-286, 2003

      32 Geraedts, "Germany’s Long-Term- Care Insurance:Putting a Social Insurance Model into Practice" 78 (78): 375-401, 2000

      33 Sainsbury,D., "Gendering Welfare States" Sage Publications 1994

      34 Orloff,A.S., "Gender and the Social Rights of Citizenship:the Comparative Analysis of Gender Relations and Welfare States" (58) : 303-328, 1993

      35 Lewycka,M., "Finding and Paying for Residential and Nursing Home Care(2nd edn)" Age Concern 1998

      36 Neyer,Gerda, "Family Policies and Low Fertility in Western Europe. Max-Planck-Institut fuer demographische Forschung"

      37 Buckwalter, K.C., "Families of the instituionalised older adult:a neglected resource In : Ageing and Health and Family:Long-Term Care" Sage 176-196, 1987

      38 Lee,Jin-Sook, "Familie und staatliche Familienpolitik in Deutschland:Im lichte der sozialwissenschaftlichen Diskussion.Ergon:Wurzburg"

      39 Opielka,Michael, "Familie und Beruf. Eine deutsche Geschichte, Aus Politik und Zeitgeschichte 22-23 (http://www.bpb.de/publikationen/98DK3M,0,Familie_und_Beruf_Eine_deutsche_Geschichte.html)"

      40 Bundesministerium f Familie, Senioren, Frauen und Jugend, "F.fter Bericht zur Lage der aelteren Generation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41 Runde,B.,R.Giese,P.Kerschke-Risch,U.Scholz,and D.Wiegel, "Einstellungen und Verhalten zur Pflegeversicherung und zur Haeuslichen Pflege , Forschungsbericht 271- Sozialforschung. Bonn:Bundesministerium fuer Arbeit und Sozialordnung"

      42 Streeck, Wolfgang, "Economic Reform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German Welfare State" 14 (14): 174-195, 2005

      43 Bundesministerium f Gesundheit und Soziale Sicherung, "Dritter Bericht ueber die Entwicklung der Pflegeversicherung"

      44 Nam,Hyun-joo, "Comparative Studies on the Long-Term Care Policies of Beveridge and Bismarck Oriented Welfare States-Focused on the Choices in the Provision of Long-Term Care in Europe" (30) : 329-353, 2006

      45 Ikegami, Naoki, "Choices, Policy Logics and Problems in the Design of Long-term Care Systems" 36 (36): 719-734, 2002

      46 Gustafsson,S., "Childcare Subsidies and Labor Supply in Sweden" 27 (27): 204-230, 1992

      47 Dellasega,C., "Caregiving stress among community caregivers for the elderly:does institutionalization make a difference?" (8) : 197-205, 1991

      48 Jensen, J., "Care allowances for the Frail Elderly and their Impact on Women Caregivers" OECD 41-, 2000

      49 "BKK. 2005. Faktenspiegel. Juli 2005. BKK:Berlin"

      50 Ross-Strajhar,Gisela., "Altenpflege in Deutschland. Bestandaufnahme und Perspektiven. Bonn:InformationsZentrum Sozialwissenschaften"

      51 Riggs,Judith A., "A Family Caregiver Policy Agenda for the Twenty-first Century , Caregiver Policy Agenda for the Twenty-first Century”. Generations Winter 2003-2004:68-73"

      52 Seeleib-Kaiser,Martin., "A Dual Transformation of the German Welfare State" 25 (25): 25-48, 2002

      53 정경희,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시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2 1.61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