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음악내적인 부분과 기술적 부분에만 치중하기 쉬운 음악의 해석과 교수법에 보다 표현적인 내용들을 풍부하게 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최근 들어 음악 작품의 표현적 해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06120
2015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9-113(25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음악내적인 부분과 기술적 부분에만 치중하기 쉬운 음악의 해석과 교수법에 보다 표현적인 내용들을 풍부하게 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최근 들어 음악 작품의 표현적 해석...
본 연구는 음악내적인 부분과 기술적 부분에만 치중하기 쉬운 음악의 해석과 교수법에 보다 표현적인 내용들을 풍부하게 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최근 들어 음악 작품의 표현적 해석을 위한 도구로서의 음악적 토픽 이론을 탐구하고자 한다. 래트너의 80년대 저작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그 후배들에 의해 더욱 발전된 토픽들은 음악 외적 의미 탐구를 위한 주된 원천으로 간주되었다. 그들에 의해 18세기-19세기의 음악 토픽들이 탐색되었고 최근의 새로운 경향인 내러티브적 분석에 있어 상징으로서의 의미를 제공해주고 있다. 토픽은 음악 역사 동안 관습적으로 통용되어온 음악 어휘라 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지식은 오늘날 음악을 공부하는 이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의 결과를 통해 음악 렛슨에 보다 생생한 상상의 공간을 제시함으로써 음악에 대해 숙고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ources of the expressive way of interpretation and pedadogy. For this goal, the theory of musical topic is explored. Musical topic has emerged in recent decades as a powerful tool for the analysis of music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ources of the expressive way of interpretation and pedadogy. For this goal, the theory of musical topic is explored. Musical topic has emerged in recent decades as a powerful tool for the analysis of musical expression within tonal repertories. Largely originating in Leonard Ratner’s treatise Classic Music from 1980, it has since been considerably developed and extended by his successors. They find it a major resource for the investigation of extra-musical referentiality and meaning. Ratner provided a succinct lexicon of common eighteenth-century topics, and while various authors have added nineteenth century topics to his list. The use of topical analysis can help us discern much in a musical work with live imagination and provides also a kind of ‘plaisir’ of explore musical conventions in music histor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argued that topics can be used as a medium for instructing the students who have limited imaginations within musical space.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송택, "모차르트 피아노협주곡 G장조 K. 453" 음악세계 2010
2 박유미, "내러티브의 단초로서의 음악적 제스처" 서양음악연구소 23 : 142-177, 2014
3 이지연, "기호로서의 음악: 토픽 이론의 개념, 적용 그리고 비판" 음악연구소 13 (13): 37-66, 2009
4 Dickensheets, J, "The Topical Vocabulary of the Nineteenth Century" 31 : 97-137, 2012
5 Monelle, R, "The Sense of Music : Semiotic Essays" Princetone University Press 2000
6 Tchaikovsky, P.I, "Tchaikovsky: Complete Collected Works, vol.52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Muzgiz 1948
7 Haydn, J, "Sonaten von Joseph Haydn, neu revidirte Ausgabe" C.F. Peters 3-16,
8 Beethoven, L. v, "Sonaten für Klavier zu zwei Händen" C.F. Peters 144-161, 1920
9 Beethoven, L. v, "Sonaten für Klavier zu zwei Händen" C.F. Peters 579-598, 1920
10 Beethoven, L. v, "Sonaten für Klavier zu zwei Händen" C.F. Peters 561-578, 1920
1 권송택, "모차르트 피아노협주곡 G장조 K. 453" 음악세계 2010
2 박유미, "내러티브의 단초로서의 음악적 제스처" 서양음악연구소 23 : 142-177, 2014
3 이지연, "기호로서의 음악: 토픽 이론의 개념, 적용 그리고 비판" 음악연구소 13 (13): 37-66, 2009
4 Dickensheets, J, "The Topical Vocabulary of the Nineteenth Century" 31 : 97-137, 2012
5 Monelle, R, "The Sense of Music : Semiotic Essays" Princetone University Press 2000
6 Tchaikovsky, P.I, "Tchaikovsky: Complete Collected Works, vol.52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Muzgiz 1948
7 Haydn, J, "Sonaten von Joseph Haydn, neu revidirte Ausgabe" C.F. Peters 3-16,
8 Beethoven, L. v, "Sonaten für Klavier zu zwei Händen" C.F. Peters 144-161, 1920
9 Beethoven, L. v, "Sonaten für Klavier zu zwei Händen" C.F. Peters 579-598, 1920
10 Beethoven, L. v, "Sonaten für Klavier zu zwei Händen" C.F. Peters 561-578, 1920
11 Beethoven, L. v, "Sonaten für Klavier zu zwei Händen" C.F. Peters 262-284, 1920
12 Mozart, W. A, "Sonaten für Klavier zu zwei Händen" C.F. Peters 1938
13 Allanbrook, Wye, "Rhythmic Gesture in Mozar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14 Chaffin, R, "Practicing Perfection: Memory and Piano Performance" Psychology Press 2012
15 Agawu, K, "Playing with signs : A Semiotic Interpretation of Classical Music" Princetone University Press 1991
16 Stefanovic, A, "Once More on Musical Topics and Style Analysis" 7 (7): 311-325, 2010
17 Caplin, W. E, "On the Relation of Musical Topoi to Formal Function" 2 (2): 113-124, 2005
18 Hatten, R. S, "Musical Meaning in Beethoven: Markedness, Correlation, and Interpret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19 Agawu, K, "Music as discour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0 Rosen, C, "Music and sentiment" Yale University Press 2010
21 Grieg, E, "Lyric Suite. Op. 65. Edvard Grieg: Klavierwerke, Band I: Lyrische Stücke" C.F. Peters 142-171, 1902
22 Hatten, R. S, "Interpreting Musical Gestures, Topics, and Trope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0
23 Grieg, E, "Edvard Grieg: Klavierwerke" C.F. Peters 64-80, 1907
24 Ratner, L. G, "Classic Music: Expression, Form, and Style" Shirmer Books 1980
초등학교 음악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학습요소 분석
베베른의 ‘피아노 변주곡 Op. 27’과 메시앙의 ‘음가와 강세의 모드’에 나타난 음렬기법과 총렬기법 연구 및 연주를 위한 제안
피아노 교육에 있어서 피아노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도구 사용과 인식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