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여성 리더십의 경험과 역할을 파악하여 여성리더십에 대한 구체적 분석과 적용 가능한 전략과 대안을 모색한다. <‘여성주의 리더십’ 이해를 위한 시론>은 리더십에 대한 관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8633
-
2007년
Korean
개별배려 ; 거래적 리더십 ; 구조주도적 리더십행동 ; 나비효과 ; 낙관적 거래행동 ; 다요인 복합모형 ; 데버러로드(Deborah L. Rhode) ; 리더십 행동의 다차원성 ; 멘토링 ; 문화의 지구화 ; 배려적 리더십 ; 변혁적 리더십 ; 사이공간 ; 생명여성주의 ; 서번트 리더십 ; 섬기는 리더십 ; 성인지적 관점 ; 수평적 리더십 ; 쌍방향적 리더십 ; 아모스(B.V.Amos) ; 여성적 리더십 ; 여성주의 리더십 ; 유목민 리더십 ; 적극적 조치 ; 정착민 리더십 ; 주류화 ; 지구시민 ; 지구시민사회 ; 지구지역화 ; 카리스마 ; 카리스마적 멘토행동 ; 코치형 리더십 ; 폴로워 ; 행위성 ; 현장 ; 협치 ; GAD ; NGO ; NPO ; WID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다양한 여성 리더십의 경험과 역할을 파악하여 여성리더십에 대한 구체적 분석과 적용 가능한 전략과 대안을 모색한다. <‘여성주의 리더십’ 이해를 위한 시론>은 리더십에 대한 관심...
다양한 여성 리더십의 경험과 역할을 파악하여 여성리더십에 대한 구체적 분석과 적용 가능한 전략과 대안을 모색한다.
<‘여성주의 리더십’ 이해를 위한 시론>은 리더십에 대한 관심을 어떻게 사회적 현상으로 설명할지 살펴보고, 여성 리더십 연구의 현황을 소개하는 한편 ‘여성 리더십’을 어떻게 개념적으로 명료화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한다. 이는 ‘여성주의 리더십’의 개념화를 통해 여성주의 리더십 경험 연구의 기본 방향과 연구가 주목해야 할 리더를 어디서 찾을지에 대한 시도이다.
<지구화 시대 여성주의 리더십의 공간과 철학>은 리더들이 미시적으로 자신이 속한 사회적 공간과 지구/지역 공간 사이의 장에서 만드는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행위가 어떤 가치론적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한 물음을 제기한다. 또한 ‘지역’을 맥락적, 행위론적 ‘현장’으로 폭넓게 이해하며 리더들이 활동하고 교류하는 지구/지역/현장들의 비전을 철학적으로 음미하여 리더들이 다른 공간에 있는 여성주의자들과 소통하면서 관계망을 맺어가고 활동하는 공간의 경험 궤적을 추적한다.
<성주류화 정책과 여성 리더십>은 ‘성주류화’의 배경과 제도적 요건, 여성리더십과의 맥락성에 주목한다. 먼저 유엔과 유럽연합의 성주류화 정책의 전개과정을 분석하여 성주류화 정책의 국가 및 국제기구의 연계발전속에서 검토한다. 또한 한국의 성주류화 정책 논의과정과 제도화 과정의 분석 및 성별영향평가, 성인지예산, 성인지교육 등의 제도화 추진의 의미를 살핀다.
<중상위계층 여성 공무원의 리더십 행동 유형: 행위자 관점의 다요인 구조>는 기존의 남성 중심적 리더십 모형을 토대로 남녀비교 연구가 안고 있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중상위계층 여성공무원의 리더십 모형을 다요인적 차원에서 분석하여 여성 고유의 리더십 모형 정립하여 여성 고급인력의 리더십 개발하고자 한다.
<지구화 시대 기업 조직문화의 변화와 여성 리더십의 역할>은 여성 리더십의 특성과 필요성의 구체적인 의미를 조직문화와 리더십의 상호작용관계 속에서 파악한다. 지구화와 기업문화의 변화, 기업조직구조의 제도와 규범, 여성관리자의 리더십 운용, 기업 비공식문화와 네트워크 등의 주요 항목속에서 국내 기업과 한국에 진출한 외국기업에 종사하는 여성리더를 중심으로 지구화 시대의 조직문화의 변화와 여성 리더십의 상호작용관계를 비교,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