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을 공동체에 대한 철학적 성찰 =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aeul Community : Toward the Actualization of Maeul Human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00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주제는 마을공동체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다. 달리 말하자면 자본주의적 질서에서 마을 공동체에 대한 구상과 그 실현을 위한 실천이 지니는 철학적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탐구이다. 특히 이 글에서 마을공동체의 의미를 네 가지 측면에서 고찰해 볼 것이다. 첫째로, 마을공동체를 상호부조와 연대의 삶의 공간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 상호부조적인 공동체의 존재 이유를 좀 더 분명하게 설명하면서 마을공동체의 근원적 의미를 성찰해볼 것이다. 둘째로, 다원화된 자치의 공간으로서의 마을공동체의 성격을 분석하면서, 다원화된 마을 공동체가 위기에 처한 한국의 민주주의에 활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셋째로, 사회와 정치의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서의 마을 공동체의 의미에 초점을 두고 마을공동체의 로컬 거버넌스(local Governance)로서의 의미를 해명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안적 경제 질서로서 마을공동체가 지니는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특히 풀뿌리 민주주의와 호혜경제라는 맥락에서 마을공동체의 의미를 설명해볼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의 주제는 마을공동체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다. 달리 말하자면 자본주의적 질서에서 마을 공동체에 대한 구상과 그 실현을 위한 실천이 지니는 철학적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탐구이...

      이 글의 주제는 마을공동체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다. 달리 말하자면 자본주의적 질서에서 마을 공동체에 대한 구상과 그 실현을 위한 실천이 지니는 철학적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탐구이다. 특히 이 글에서 마을공동체의 의미를 네 가지 측면에서 고찰해 볼 것이다. 첫째로, 마을공동체를 상호부조와 연대의 삶의 공간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 상호부조적인 공동체의 존재 이유를 좀 더 분명하게 설명하면서 마을공동체의 근원적 의미를 성찰해볼 것이다. 둘째로, 다원화된 자치의 공간으로서의 마을공동체의 성격을 분석하면서, 다원화된 마을 공동체가 위기에 처한 한국의 민주주의에 활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셋째로, 사회와 정치의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서의 마을 공동체의 의미에 초점을 두고 마을공동체의 로컬 거버넌스(local Governance)로서의 의미를 해명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안적 경제 질서로서 마을공동체가 지니는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특히 풀뿌리 민주주의와 호혜경제라는 맥락에서 마을공동체의 의미를 설명해볼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aeul Community”. That is, the thesis looks into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planning a maeul community and taking steps to actualize it. This thesis will elaborate on the meaning of maeul community in four aspects. First, maeul community is a space of mutual aid and solidarity. The thesis will clarify the reason why such mutual aid communities exist, and reflect on the fundamental meaning of maeul community. Second, the thesis will analyze maeul community as a space of pluralistic local self-rule and emphasize that maeul community can revitalize Korea"s endangered democracy. Third, the thesis will focus on how maeul community links society with politics, and explain its local governance. Lastly, the thesis will highlight maeul community"s significance as an alternative economic order. The thesis will elaborate on this point from the perspective of grassroots democracy and mutual aid economy.
      번역하기

      This thesis is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aeul Community”. That is, the thesis looks into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planning a maeul community and taking steps to actualize it. This thesis will elaborate on the meaning of maeul community i...

      This thesis is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aeul Community”. That is, the thesis looks into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planning a maeul community and taking steps to actualize it. This thesis will elaborate on the meaning of maeul community in four aspects. First, maeul community is a space of mutual aid and solidarity. The thesis will clarify the reason why such mutual aid communities exist, and reflect on the fundamental meaning of maeul community. Second, the thesis will analyze maeul community as a space of pluralistic local self-rule and emphasize that maeul community can revitalize Korea"s endangered democracy. Third, the thesis will focus on how maeul community links society with politics, and explain its local governance. Lastly, the thesis will highlight maeul community"s significance as an alternative economic order. The thesis will elaborate on this point from the perspective of grassroots democracy and mutual aid econom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들어가는 말
      • 1. 상호부조와 연대적 삶의 공간으로서의 마을 공동체
      • 2. 다원화된/분권화된 자치의 공간으로서의 마을공동체
      • 3. 사회와 정치의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서의 마을 공동체
      • 논문개요
      • 들어가는 말
      • 1. 상호부조와 연대적 삶의 공간으로서의 마을 공동체
      • 2. 다원화된/분권화된 자치의 공간으로서의 마을공동체
      • 3. 사회와 정치의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공간으로서의 마을 공동체
      • 4. 대안적 경제 질서로서의 마을공동체
      •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