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과대학생의 창의공학설계능력 교육요구도 분석 = An Analysis on Educational Needs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bility of Engineer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66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by drawing out the educational needs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bility.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creative engineering ability were surveyed and analyzed 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by drawing out the educational needs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bility.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creative engineering ability were surveyed and analyzed by using 29 sub - factors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bility presented by Kim Dae young et al(2006). from 234 engineering students in 6 universities. As a result, students recognized that all items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bility were important, and their level was generally recognized. The educational needs for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high and the educational needs for creative engineering design project was relatively low.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bility by considering learner’s perception and professional and industrial recogni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언, "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대학생, 졸업생, 인사담당자의 인식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 : 공과중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8 (38): 81-107, 2017

      2 장용철, "창의설계입문의 PBL(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충남대학교 환경공학분야 사례" 한국공학교육학회 16 (16): 78-85, 2013

      3 이창훈,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이 공학 입문자의 창의력과 공학 설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4 김태훈, "전문가 인식 조사에 의한 공학 설계 능력의 정의 및 하위 영역과 요소 도출" 한국공학교육학회 18 (18): 24-32, 2015

      5 김오범, "예비교사의 공학설계 활동에서 나타나는 인지적인공물을 바탕으로 한 추론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6 오보영,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 과정을 적용한 고등학교 디자인수업 모형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297-308, 2015

      7 배을규, "기업 교육훈련 이해관계자 집단의 교육훈련 평가요구도 조사: 북미지역 핵발전 기업을 대상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5 (35): 113-133, 2003

      8 엄미리, "국내 교수설계자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12): 1-23, 2009

      9 김대영,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9 (9): 34-51, 2006

      10 배진승, "공학입문설계교과의 통합운영이 신입생의창의적 설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173-179, 2013

      1 김경언, "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대학생, 졸업생, 인사담당자의 인식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 : 공과중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8 (38): 81-107, 2017

      2 장용철, "창의설계입문의 PBL(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충남대학교 환경공학분야 사례" 한국공학교육학회 16 (16): 78-85, 2013

      3 이창훈,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이 공학 입문자의 창의력과 공학 설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4 김태훈, "전문가 인식 조사에 의한 공학 설계 능력의 정의 및 하위 영역과 요소 도출" 한국공학교육학회 18 (18): 24-32, 2015

      5 김오범, "예비교사의 공학설계 활동에서 나타나는 인지적인공물을 바탕으로 한 추론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6 오보영,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 과정을 적용한 고등학교 디자인수업 모형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297-308, 2015

      7 배을규, "기업 교육훈련 이해관계자 집단의 교육훈련 평가요구도 조사: 북미지역 핵발전 기업을 대상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5 (35): 113-133, 2003

      8 엄미리, "국내 교수설계자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12): 1-23, 2009

      9 김대영,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9 (9): 34-51, 2006

      10 배진승, "공학입문설계교과의 통합운영이 신입생의창의적 설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173-179, 2013

      11 한지영, "공학설계교육을 통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4 (14): 67-76, 2011

      12 윤나리, "공학설계 강의에서 활용된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측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3 임경화, "공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질문생성 전략 활용 플립러닝수업 설계"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8 (8): 75-81, 2016

      14 이민하, "공학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융합교육 방안: 미술 기반 융합교양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14 (14): 29-46, 2016

      15 "공학교육인증기준"

      16 고석준, "공학 설계입문 교과목 개선을 위한 국내외 대학 비교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김인숙, "공학 기초설계 교과목에서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수업 결과 분석" 한국공학교육학회 14 (14): 3-9, 2011

      18 권재기,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6 (26): 687-716, 2014

      19 박미정,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및 인식과 요구도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 (20): 131-143, 2008

      20 El-Haik, B., "Service design for six sigma:a roadmap for excellence" John Wiley & Sons 2005

      21 Claire L. Mccullough, "ABET EC2000: How Has It Changed? Has It Accomplished What Was Intended?"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학교육기술학회 -> 한국공학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 Technology Transfer ->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8 1.33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