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핸드피스 부문조건에 따른 부유세균 (氣菌) 의 분포 = DISTRIBUTION OF AIRBORNE BACTERIA BY HANDPIECE AEROSOL CON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17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치과계에는 교차감염의 문제가 점차 대두되고 있으며, 그 감염경로에는 혈액이나 구강 분비물을 통한 직접접촉과 진료실 장비 등에 의한 간접접촉이 있다. 또한 병원 등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인원이 수용된 환경에서는 공기 중을 떠다니는 오 염물질에 의한 공기 감염에 보다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치과 진료실에서는 고속회전 핸드피스에서 발생하는 분무에 의한 감염이 가장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치과 진료실 내 핸드피스 분무에 의한 공기 중 세균 감염 위험성을 파악하고 실제 진료 시, 감염 방지 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핸드피스를 사용해 진료한 군 97.4 cfu, 핸드피스를 사용하지 않고 진료한 군 5.6 cfu로 핸드피스를 사용해서 진료한 군에서 박테리아 군집의 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2. 핸드피스 사용 시 러버댐을 같이 사용한 진료는 22.4 cfu로 러버댐을 사용하지 않고 진료하는 경우보다 박테리아 군집의 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3. 핸드피스 물 공급원으보 관주용액을 사용한 경우와 증류수를 사용한 경우를 비교 시 관주용액을 사용한 경우 cfu는 22.4 cfu, 증류수의 경우 17.0 cfu로 측정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핸드피스를 사용해 진료하는 경우, 0.5m와 1.5m 거리에서 측정 시 97.4 cfu와 22.0 cfu로 0.5m 거리에서 박테리아 군집의 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O.01). 또한 원거리에서도 핸드피스 분무에 의해 박테리아가 검출되었다.
      5. 박테리아균을 분류한 결과 그램양성 구균의 수가 73.9%로 가장 많은 비중을 보였고, 그램음성 구균, 그램음성 간균, 그램양성 간균의 순이었다.
      번역하기

      최근 치과계에는 교차감염의 문제가 점차 대두되고 있으며, 그 감염경로에는 혈액이나 구강 분비물을 통한 직접접촉과 진료실 장비 등에 의한 간접접촉이 있다. 또한 병원 등 한정된 공간 ...

      최근 치과계에는 교차감염의 문제가 점차 대두되고 있으며, 그 감염경로에는 혈액이나 구강 분비물을 통한 직접접촉과 진료실 장비 등에 의한 간접접촉이 있다. 또한 병원 등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인원이 수용된 환경에서는 공기 중을 떠다니는 오 염물질에 의한 공기 감염에 보다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치과 진료실에서는 고속회전 핸드피스에서 발생하는 분무에 의한 감염이 가장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치과 진료실 내 핸드피스 분무에 의한 공기 중 세균 감염 위험성을 파악하고 실제 진료 시, 감염 방지 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핸드피스를 사용해 진료한 군 97.4 cfu, 핸드피스를 사용하지 않고 진료한 군 5.6 cfu로 핸드피스를 사용해서 진료한 군에서 박테리아 군집의 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2. 핸드피스 사용 시 러버댐을 같이 사용한 진료는 22.4 cfu로 러버댐을 사용하지 않고 진료하는 경우보다 박테리아 군집의 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3. 핸드피스 물 공급원으보 관주용액을 사용한 경우와 증류수를 사용한 경우를 비교 시 관주용액을 사용한 경우 cfu는 22.4 cfu, 증류수의 경우 17.0 cfu로 측정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핸드피스를 사용해 진료하는 경우, 0.5m와 1.5m 거리에서 측정 시 97.4 cfu와 22.0 cfu로 0.5m 거리에서 박테리아 군집의 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O.01). 또한 원거리에서도 핸드피스 분무에 의해 박테리아가 검출되었다.
      5. 박테리아균을 분류한 결과 그램양성 구균의 수가 73.9%로 가장 많은 비중을 보였고, 그램음성 구균, 그램음성 간균, 그램양성 간균의 순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years, cross-contamination has become one of the noticeable issues in dental clinic. Two major routes of contamination are the direct-contamination through blood and oral secretion and the indirect-contamination through dental office equipments. Especially, air-contamination through air-floating pollutant in a confined space like hospital, and also contamination through aerosol ejected from high-speed handpiece in a dental office was inter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risk of bacterial infection through aerosol from handpiece in a dental office, which will help the practitioner with prevention of contamination during dental treatmen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a comparative test, the group using handpiece has higher bacterial number than the group not using handpiece with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P<0.01).
      2. The group using handpiece with rubber dam has lower bacterial number than the group using handpiece without rubber dam with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P<0.01).
      3. Comparing the group using drainage water with the group using distilled water as a handpiece water source results in 22.4 cfu and 17.0 cfu respectively but the differenc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4. Measuring cfu at O.5m and 1.5m distance, O.5m distance showed higher bacterial numbe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1).
      5. Classification of bacterial types showed the largest bacterial number came from gram-positive micrococcus(73.9%), and gram-negative micrococcus, gram-negative bacillus, and gram-positive bacillus follow in descending order.
      번역하기

      In recent years, cross-contamination has become one of the noticeable issues in dental clinic. Two major routes of contamination are the direct-contamination through blood and oral secretion and the indirect-contamination through dental office equipme...

      In recent years, cross-contamination has become one of the noticeable issues in dental clinic. Two major routes of contamination are the direct-contamination through blood and oral secretion and the indirect-contamination through dental office equipments. Especially, air-contamination through air-floating pollutant in a confined space like hospital, and also contamination through aerosol ejected from high-speed handpiece in a dental office was inter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risk of bacterial infection through aerosol from handpiece in a dental office, which will help the practitioner with prevention of contamination during dental treatmen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a comparative test, the group using handpiece has higher bacterial number than the group not using handpiece with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P<0.01).
      2. The group using handpiece with rubber dam has lower bacterial number than the group using handpiece without rubber dam with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P<0.01).
      3. Comparing the group using drainage water with the group using distilled water as a handpiece water source results in 22.4 cfu and 17.0 cfu respectively but the differenc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4. Measuring cfu at O.5m and 1.5m distance, O.5m distance showed higher bacterial numbe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1).
      5. Classification of bacterial types showed the largest bacterial number came from gram-positive micrococcus(73.9%), and gram-negative micrococcus, gram-negative bacillus, and gram-positive bacillus follow in descending orde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