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에서 민간기업(Private Enterprises)이나 시민사회(CSO: Civil Society Organization) 등 민간과의 협력 거버넌스는 대상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매우 중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에서 민간기업(Private Enterprises)이나 시민사회(CSO: Civil Society Organization) 등 민간과의 협력 거버넌스는 대상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매우 중시...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에서 민간기업(Private Enterprises)이나 시민사회(CSO: Civil Society Organization) 등 민간과의 협력 거버넌스는 대상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매우 중시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ODA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ODA의 활성화를 위한 민간과의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ODA에서의 민간과의 협력을 기업과 시민사회로 구분하여 국내 및 해외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의 ODA에서의 민간과의 협력은 개도국 발전에 기여하기에는 사업내용이나 예산도 부족하고, 체계적인 틀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사례에서의 시사점은 중요한 파트너로 기업과 시민사회를 인식하고 있었고, 다양한 사업과 예산지원, 정기적 대화, 전략문서 작성 등을 통해 체계적인 협력을 하고 있었다.
연구결과 ODA활성화를 위한 민간과의 협력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관과의 협력을 위한 제도적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협력전략 및 정책대화를 위한 협의체 등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민간의 참여제고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예산 배분 및 신규재원 확보가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참여주체에 대한 역량강화 및 투명성 제고 방안이 있어야 한다. 넷째, 민간협력 활성화를 위해 국민적 공감대 형성 방안이 필요하다. 다섯째, 국내는 물론 국제적인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재성, "효과적인 공공-민간 파트너십 사업 모델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2011
2 손혁상, "한국 개발 NGO 역량현황 기초 조사 및 역량강화 방안 연구"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 2011
3 서순복, "지방자치단체와 시민사회단체간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광주광역시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5 (25): 53-79, 2011
4 한세억, "정보통신부문의 공적개발원조와 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22 (22): 205-228, 2008
5 한국국제협력단, "우리나라 개발원조의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2008
6 최민경, "우리나라 개발원조의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한국국제협력단 2008
7 한승준, "신거버넌스 논의의 이론적?실제적 한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41 (41): 95-116, 2007
8 손혁상, "시민사회와 대외원조(ODA) : 일본의 개발 NGO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28 (28): 101-126, 2010
9 이태주, "선진국 국제개발 NGO의 활동과 우리나라 국제개발 NGO의 발전방향" 한국국제협력단 2004
10 한국국제협력단, "선진공여국 공공-민간 파트너십(PPP)사업" 2011
1 곽재성, "효과적인 공공-민간 파트너십 사업 모델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2011
2 손혁상, "한국 개발 NGO 역량현황 기초 조사 및 역량강화 방안 연구"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 2011
3 서순복, "지방자치단체와 시민사회단체간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광주광역시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5 (25): 53-79, 2011
4 한세억, "정보통신부문의 공적개발원조와 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22 (22): 205-228, 2008
5 한국국제협력단, "우리나라 개발원조의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2008
6 최민경, "우리나라 개발원조의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한국국제협력단 2008
7 한승준, "신거버넌스 논의의 이론적?실제적 한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41 (41): 95-116, 2007
8 손혁상, "시민사회와 대외원조(ODA) : 일본의 개발 NGO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28 (28): 101-126, 2010
9 이태주, "선진국 국제개발 NGO의 활동과 우리나라 국제개발 NGO의 발전방향" 한국국제협력단 2004
10 한국국제협력단, "선진공여국 공공-민간 파트너십(PPP)사업" 2011
11 이종수, "녹색성장과 대외협력활성화 방안: 대 몽골 ODA사례를 중심으로" 2009
12 유태규, "글로벌 의료서비스 협력관계구축방안: 몽골內 한국 의료서비스 제공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6 (26): 155-188, 2012
13 정지선, "국제사회 민간부문 개발 지원 현황과 한국의 추진과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14 김혜경, "국제개발협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In 국제개발협력" 한국국제협력단 2009
15 국제개발협력위원회, "국제개발협력 선진화 방안" 2010
16 이명석, "거버넌스의개념화:‘사회적 조정’으로서의 거버넌스" 한국행정학회 36 (36): 321-338, 2002
17 손혁상, "개발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부-시민사회 협력방안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2011
18 김혜경, "개발 NGO의 현황과 발전방안, In 세계화와 한국 NGO의 발전방안" 1997
19 World Bank, "World Bank-Civil Society Engagement: Review of Fiscal Years 2007 to 2009"
20 Catherine Agg, "Trends in Government Support fo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s the"Golden Age" of the NGO Behind Us" UNRISD 2006
21 Penny Davies,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Context of Aid Effectiveness" OECD 2011
22 Penny Davies,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in the Context of Aid Effectiveness" OECD 2011
23 Jane Nelson, "The Private Sector and Aid Effectiveness: Toward New Models of Engagement"
24 Tim Harford, "The Future of Aid 2: The Big Push" (285) : 2005
25 Tim Harford, "The Future of Aid 1: The Rise of the Undergrowth" (284) : 2005
26 Ian Smile, "Stakeholders: Government-NGO Partnership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OECD 1999
27 Francis Fukuyama, "Social capital, civil society and development" 22 (22): 7-21, 2001
28 UNDP, "Social Enterprise: A New Model for Poverty Reduction and Employment Generation" UNDP Regional Bureau 2008
29 David Lewis, "Routes of funding, roots of trust? Northern NGOs, Southern NGOs, donors, and the rise of direct funding" 9 (9): 117-129, 1999
30 H. Akuoko-Frimpong, "Rebalancing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Developing Countries: The Case of GHANA" OECD Development Center 1990
31 Mark Dutz, "Public-Private Partnership Units: What are They, and What do They do" (311) : 2006
32 Ken Lee, "Public Private Partnerships for Development" 2012
33 Ronelle Burger, "Promoting Transparency in the NGO Sector: Examining the Availability and Reliability of Self-Reported Data" 38 (38): 1263-1277, 2010
34 OECD, "Promoting Pro-Poor Growth Private Sector Development"
35 OECD, "Promoting Private Investment for Development: The Role of ODA" 2006
36 ADB, "Private Sector Development: A Revised Strategic Framework"
37 ADB, "Private Sector Development Strategy"
38 Derick W. Brinkerhoff, "Partnerships Between International Donors and Non-Governmental Development Organizations: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70 (70): 2004
39 김채형, "OECD 회원국의 NGO 활동: 개발원조를 중심으로" 한국국제협력단 1992
40 노한균, "ODA 분야에서의 민관 협력 발전방향 모색: 기업의 해외 사회공헌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41 정창구, "MDB 투자 및 개발차관 활용을 위한 연구" 국토해양부 2010
42 조광걸, "KOICA의 민관파트너십(PPP) 개발협력사업 도입방안" 한국국제협력단 (3) : 97-119, 2009
43 IFC, "International Finance Institutions and Development Through the Private Sector"
44 David Mckenzie, "Impact Assessments in Finance and Private Sector Development" Policy Research 2009
45 OECD, "How DAC Members work with Civil Society Organization: An Overview" 2011
46 David Lewis, "Development NGOs and the Challenge of Partnership: Changing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32 (32): 501-512, 1998
47 William Elbers, "Decision Making in Partnership for Development: Explaining the Influence of Local Partners" 40 (40): 795-812, 2010
48 OECD, "DAC orientation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 Support of Private Sector Development"
49 OECD, "Civil Society and the OECD"
50 Brian Pratt, "Civil Society and Development: Challenges from European Governments" INTRAC 2009
51 Jude Howell, "Civil Society and Development: A Critical Exploration" Lynne Rienner Publishers 2001
52 Janice Giffen, "Civil Society Policy and Practice in Donor Agencies: An Overview report commissioned by DFID" INTRAC 2010
53 OECD, "Accelerating Pro-Poor Growth through Support for Private Sector Development: An Analytical Framework"
54 ADB, "ADB Cooperation with Civil Society" 2011
55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2011 한국국제개발협력 CSO 편람"
Performance Management and Government Innovation
정부기관의 책무성 관점에서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의 실효성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중앙행정학회 -> 한국공공관리학회영문명 : Chung-Ang Academy Of Public Administr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7 | 0.77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1 | 1.13 | 1.252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