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심론에서 ‘발견/자아확장’의 구조-이준관의 평론을 중심으로- = ‘Discovery/Self Extension Structure’ in the Child’s Mind Theory -Focus on the Lee Jun-gwan’s Critical Ess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83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new explanation method of Child’s Mind Theor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constructed in three perspectives. First, this study interpreted the meaning of ‘Child’s Mind’ through Lee Jun-gwan’s critical essays by organizing many views or theories of ‘Child’s Mind’. Second, this study figured out that Lee Jun-gwan’s principle can be explained by rehabilitation principle as ideal oriented. Child’s Mind Theories are classified to two categories. The one is rehabilitation principle as ideal oriented. Another is purity principle as growth oriented. And this study also remarked that two tendencies(ideal tendency and realism tendency) can be trapped in an ideology by obviousness. Lastly, a Child’s Mind Structure was formulated in this study, as following; “<Discovery/Self Extension>:(limited experience) → object discovery → (purity/innocence awareness and judgment) → self extens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new explanation method of Child’s Mind Theor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constructed in three perspectives. First, this study interpreted the meaning of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new explanation method of Child’s Mind Theor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constructed in three perspectives. First, this study interpreted the meaning of ‘Child’s Mind’ through Lee Jun-gwan’s critical essays by organizing many views or theories of ‘Child’s Mind’. Second, this study figured out that Lee Jun-gwan’s principle can be explained by rehabilitation principle as ideal oriented. Child’s Mind Theories are classified to two categories. The one is rehabilitation principle as ideal oriented. Another is purity principle as growth oriented. And this study also remarked that two tendencies(ideal tendency and realism tendency) can be trapped in an ideology by obviousness. Lastly, a Child’s Mind Structure was formulated in this study, as following; “<Discovery/Self Extension>:(limited experience) → object discovery → (purity/innocence awareness and judgment) → self exten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동심론과 관련하여 새로운 설명의 방식을 찾아내는데 목적을 두고 시작하였다. 먼저, 그동안의 동심의 설과 론을 정리하면서 이준관의 평론을 중심으로 ‘동심주의’라는 용어가 갖는 의미를 추적하였다. 동심론은 두 가지 계열로 유형화시킬 수 있는데, 하나는 ‘이상 지향으로서 회복의 동심주의(이상 지향의 동심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성장 지향으로서 무구(無垢)의 동심주의(성장 지향의 동심주의)’이다. 이준관의 동심론은 순문학적 경향의 것으로 “이상 지향의 동심주의” 유형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동심론의 전개에서 순문학적 경향과 리얼리즘 경향 모두, 명백성의 함정에 따른 이데올로기의 잠복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최종적으로, 동심의 틀을 <발견/자아확장>구조로 다음과 같이 도식화하였다. “(제한된 경험) → 대상 발견 → (무구한 인식과 판단) → 자아의 확장”
      번역하기

      이 글은 동심론과 관련하여 새로운 설명의 방식을 찾아내는데 목적을 두고 시작하였다. 먼저, 그동안의 동심의 설과 론을 정리하면서 이준관의 평론을 중심으로 ‘동심주의’라는 용어가 ...

      이 글은 동심론과 관련하여 새로운 설명의 방식을 찾아내는데 목적을 두고 시작하였다. 먼저, 그동안의 동심의 설과 론을 정리하면서 이준관의 평론을 중심으로 ‘동심주의’라는 용어가 갖는 의미를 추적하였다. 동심론은 두 가지 계열로 유형화시킬 수 있는데, 하나는 ‘이상 지향으로서 회복의 동심주의(이상 지향의 동심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성장 지향으로서 무구(無垢)의 동심주의(성장 지향의 동심주의)’이다. 이준관의 동심론은 순문학적 경향의 것으로 “이상 지향의 동심주의” 유형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동심론의 전개에서 순문학적 경향과 리얼리즘 경향 모두, 명백성의 함정에 따른 이데올로기의 잠복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최종적으로, 동심의 틀을 <발견/자아확장>구조로 다음과 같이 도식화하였다. “(제한된 경험) → 대상 발견 → (무구한 인식과 판단) → 자아의 확장”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학, "李贄‘童心說’의 思想的含意" 한국어중국어문학회 35 : 167-177, 2001

      2 최지훈, "한국현대아동문학론" 아동문예 1991

      3 이준관, "한국시사에서 동시의 위치와 가능성" 2 (2): 2013

      4 원종찬, "한국 아동문학의 쟁점" 창작과 비평사 2010

      5 신헌재, "한국 아동문학의 동심론(童心論) 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2) : 107-124, 2013

      6 김종헌, "한국 근대 아동문학 형성기 동심의 구성 방식" 현대문학이론학회 (33) : 57-83, 2008

      7 이준관, "짧고 簡潔한 표현 속에 담긴 自然의 意味와 아름다운 風景과 따스한 人情의 世界-유경환 동시집 마주 선 나무" 한국아 동문학연구원 28 (28): 156-161, 2003

      8 이준관, "자연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노래한 시들, 전원범 동시집 개펄에 뽕뽕뽕 게들의 집"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8 (28): 118-124, 2003

      9 최명표, "이준관 시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261-282, 2006

      10 이준관, "우리시대 시인을 찾아서-이준관 시인" 시선사 35 (35): 179-198, 2011

      1 최병학, "李贄‘童心說’의 思想的含意" 한국어중국어문학회 35 : 167-177, 2001

      2 최지훈, "한국현대아동문학론" 아동문예 1991

      3 이준관, "한국시사에서 동시의 위치와 가능성" 2 (2): 2013

      4 원종찬, "한국 아동문학의 쟁점" 창작과 비평사 2010

      5 신헌재, "한국 아동문학의 동심론(童心論) 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2) : 107-124, 2013

      6 김종헌, "한국 근대 아동문학 형성기 동심의 구성 방식" 현대문학이론학회 (33) : 57-83, 2008

      7 이준관, "짧고 簡潔한 표현 속에 담긴 自然의 意味와 아름다운 風景과 따스한 人情의 世界-유경환 동시집 마주 선 나무" 한국아 동문학연구원 28 (28): 156-161, 2003

      8 이준관, "자연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노래한 시들, 전원범 동시집 개펄에 뽕뽕뽕 게들의 집"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8 (28): 118-124, 2003

      9 최명표, "이준관 시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261-282, 2006

      10 이준관, "우리시대 시인을 찾아서-이준관 시인" 시선사 35 (35): 179-198, 2011

      11 이준관, "오늘의 동시가 궁금하다" 창작과비평사 151-181, 2005

      12 이준관, "예술성, 대중성, 그리고 감동성"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2 (22): 105-185, 1997

      13 Nodelman,Perry,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 1․2" 시공주니어 2005

      14 최경숙, "아동발달심리학" 교문사 2007

      15 조희숙,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 교문사 2009

      16 김만석, "아동문학연구-중국조선족 아동문학사 및 평론" 시와사람 2000

      17 이지호, "아동문학교육론-동심(童心)의 문제를 중심으로" 문학과교육연구회 8 : 156-170, 1999

      18 임원재, "아동문학교육론-창작 이론과 실제" 신원문화사 2002

      19 박영기, "아동문학 프리즘" 청동거울 2011

      20 윤삼현, "아동문학 창작론" 시와사람 2005

      21 이오덕, "시정신과 유희정신" 창작과비평사 222-223, 1981

      22 김상욱, "숲에서 어린이에게 길을 묻다" 창작과비평사 2002

      23 이준관, "순수동시와 현실 반영의 동시" 한국아동문학연구원 13 (13): 116-121, 1988

      24 이준관, "생각의 새로움 그리고 선명한 묘사 속에 녹아 있는 교훈성-오은영동시집 넌 그럴 때 없니?"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7 (27): 159-166, 2002

      25 원종찬, "배반의 동심,동심의 배반, In 창비어린이 2-2" 창작과비평사 2004

      26 이준관, "맑고 아름다운 시로 승화시킨 산골 아이들의 이야기-임길택 동시집 산골 아이"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8 (28): 102-108, 2003

      27 박지은, "동심주의문학 연구 : 첨부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9

      28 橫須賀薰, "동심주의 와 아동문학, In 창비어린이 2-3(가을호)" 창작과비평사 231-244, 2004

      29 橫須賀薰, "동심주의 와 아동문학, In 창비어린이 2-2(여름호)" 창작과비평사 182-203, 2004

      30 채찬석, "동심, 그 본질과 특성 2" 한국아동문학연구원 13 (13): 97-105, 1988

      31 채찬석, "동심, 그 본질과 특성" 13 (13): 45-49, 1988

      32 박목월, "동시교실" 서정시학 2009

      33 이준관, "동시 쓰기" 랜덤하우스 2007

      34 이준관, "나의 문학 이야기-문학아, 아이들아, 고맙다!" 33 : 251-260, 2005

      35 Hawkes,T., "구조주의와 기호학" 신아사 1988

      36 이준관, "가을 하늘처럼 맑고 고운 童心을 表現한 詩-윤이현 동시집 내 마음 속의 가을 하늘"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8 (28): 118-125, 2003

      37 이준관, "讀者中心의 詩쓰기와 참되고 아름답게 사는 길을 깨우쳐 주는 詩-한명순 동시집 만약에 내일이 없다면 얼마나 신날까"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7 (27): 76-82, 2002

      38 손예철, "論李卓吾的童心說" 한국중국어문학회 58 : 25-50, 2009

      39 이준관, "童詩쓰는 사람과 어린이들이 꼭 읽어야 할 童詩創作法-朴木月의동시 교실 과 동시의 세계" 한국아동문학연구원 34 (34): 191-199, 2009

      40 이준관, "童心과 詩가 잘 어울리는 童詩-최윤정의 동시집 우리 반 김민수, 이혜용의 동시집 그땐 나도 우주를 헤엄칠 거야"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9 (29): 125-130, 2004

      41 이준관, "生活속의 작고 些少한 事物에서 건져 올린 따스한 童心의 世界-이상교 동시집 살아난다, 살아난다"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9 (29): 112-127, 2004

      42 이준관, "物活論的思考와 童話的發想,그리고 다양한 素材와 우리 것에 대한 愛情物活論的思考와 童話的發想,그리고 다양한 素材와 우리 것에 대한 愛情-신현득 동시집 자장면 대통령"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9 (29): 118-124, 2004

      43 이준관, "日常性과 작은 것들에 대한 관심, 그리고 새로운 比喩와 가벼움-초록손가락 동인 동시집 붕어빵 아저씨 결석하다"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7 (27): 179-185, 2002

      44 이준관, "審査評/童詩-童心的생각과 詩的表現이 조화를 이룬 작품"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3 (23): 230-, 2004

      45 이준관, "審査評/童詩-斬新한 발상과 뛰어난 言語구사력" 한국아동문학연구원 27 (27): 195-,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