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정폭력 노출 아동에 대한 가족지원개입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Family Support Intervention for Child Exposed to Family Viol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08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develop family support intervention for child exposed to family violence. The child who has been exposed to violence showe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family support in this study focuses on recovery of family function, eventually, to enhance school adjustment for child. The Family support service includes home visiting service, family therapy program, parental education, emotional support service, Family-community resource lin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amily func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 was improved through the integrated family support intervention. The study has shown that family support is clinically effective for child exposed to family violence. An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ecialists who support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should cooperate and intervene with their family syst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develop family support intervention for child exposed to family violence. The child who has been exposed to violence showe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family support in this study focuses on recovery o...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develop family support intervention for child exposed to family violence. The child who has been exposed to violence showe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family support in this study focuses on recovery of family function, eventually, to enhance school adjustment for child. The Family support service includes home visiting service, family therapy program, parental education, emotional support service, Family-community resource lin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amily func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child was improved through the integrated family support intervention. The study has shown that family support is clinically effective for child exposed to family violence. An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ecialists who support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should cooperate and intervene with their family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일보 (2008. 10. 29). 매 맞는 아내 http://news.hankooki.com에서 2008년 10월 29일 인출"

      2 이창호, "폭력가정의 아이들 실태조사. 청소년상담문제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상담원 29-50, 2002

      3 장희숙, "폭력가정 청소년들의 특성과 개입방안. 청소년상담문제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상담원 7-26, 2002

      4 김정진, "정신장애인 가족의 자원유형 및 지지정도와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가족지원모델 실천을 위한 기초연구" 720-742, 2004

      5 이제화,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분석" 23 (23): 29-52, 2007

      6 엄명용, "아동학대와 청소년 비행간의 관계: 가족내 부모지지 및 감독의 완충효과 검증" 8 : 149-178, 2001

      7 강란혜, "아동학대 전문상담" 시그마프레스 2004

      8 고미선, "아동기 가정폭력의 경험이 부부간의 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9 조흥식, "아동권리와 가족지원" (7) : 9-33, 1998

      10 양혜원, "아내구타 노출 아동을 위한 통합적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14 (14): 105-136, 2002

      1 "한국일보 (2008. 10. 29). 매 맞는 아내 http://news.hankooki.com에서 2008년 10월 29일 인출"

      2 이창호, "폭력가정의 아이들 실태조사. 청소년상담문제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상담원 29-50, 2002

      3 장희숙, "폭력가정 청소년들의 특성과 개입방안. 청소년상담문제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상담원 7-26, 2002

      4 김정진, "정신장애인 가족의 자원유형 및 지지정도와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가족지원모델 실천을 위한 기초연구" 720-742, 2004

      5 이제화,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분석" 23 (23): 29-52, 2007

      6 엄명용, "아동학대와 청소년 비행간의 관계: 가족내 부모지지 및 감독의 완충효과 검증" 8 : 149-178, 2001

      7 강란혜, "아동학대 전문상담" 시그마프레스 2004

      8 고미선, "아동기 가정폭력의 경험이 부부간의 폭력에 대한 태도와 행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9 조흥식, "아동권리와 가족지원" (7) : 9-33, 1998

      10 양혜원, "아내구타 노출 아동을 위한 통합적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14 (14): 105-136, 2002

      11 Kemp,A, "가족학대 가족폭력" 나남출판사 2001

      12 김유숙, "가족평가 핸드북" 학지사 2003

      13 조흥식, "가족복지학" 학지사 2006

      14 김혜경, "가족복지론" 공동체출판사 2006

      15 김연옥, "가족복지론" 나남출판사 2005

      16 김경신, "가족기능이 자녀의 가정폭력노출에 미치는 영향" 13 (13): 691-699, 2004

      17 Walsh,F, "가족과 레질리언스" 나남출판사 1998

      18 최순옥, "가정폭력피해가족을 위한 가족치료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11 (11): 5-21, 2006

      19 김연옥, "가정폭력의 유형별 관련성과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5 : 103-127, 2000

      20 김재엽, "가정폭력에 노출된 아동의 문제와 개입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55 : 27-54, 2003

      21 김정란, "가정폭력노출 실태분석을 통한 피해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력 향상방안 연구" 8 (8): 1-23, 2003

      22 이신옥,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3 이상준,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탄력성과 보호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24 박형원, "가정폭력 노출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13 : 103-130, 2004

      25 김재엽·김희수·양혜원, "가정폭력 노출 아동 문제의 심각성 및 이에 대한 복지적 대책" 20 (20): 83-119, 2006

      26 Mclntosh,J.E, "Thought in the face of violence:A child's need.Child Abuse and" 26 : 229-241, 2002

      27 Markward,M.J, "The impact of domestic violence on children. Family in?Socity" 78 (78): 66-70, 1997

      28 Dunst,C, "Supporting and Strengthening Family Functioning: Toward a Congruence Between Principles and Practice" 9 (9): 19-43, 1991

      29 Brandon,M, "Significant harm and children's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22 (22): 33-42, 1996

      30 Osofsky,J.D, "Prevalence of children's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on child maltreatment" 6 (6): 161-170, 2003

      31 Shonk,S.M, "Maltreatment, competency deficits, and risk for academic and behavioral maladjustment" 22 (22): 206-219, 2001

      32 Martin,S.G, "Children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Psychological considerations for health care practitioners" 16 (16): 7-15, 2002

      33 Levendosky,A.A, "Adolescent peer relationships and mental health functioning in families with domestic violence" 31 (31): 206-218,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51 2.51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4 2.89 3.162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