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숙성 조건에 따른 흑생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g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during the aging pro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84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흑생강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흑생강의 제조공정을 숙성 조건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하여 각 제조 단계에서 얻은 흑생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원료 생강과 비...

      흑생강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흑생강의 제조공정을 숙성 조건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하여 각 제조 단계에서 얻은 흑생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원료 생강과 비교하였다. 흑생강의 갈색도와 적색도(a값)는 숙성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원료 생강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명도(L값)와 황색도(b값)는 유의적으로 감소된 경향이었다. 총당은 숙성 2단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나, 숙성 3단계 이후부터는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흑생강에서 숙성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gingerol 함량은 감소되었으나, 6-shogaol 함량은 17.7-34.1배 증가되었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숙성 2단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그 이후에는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흑생강의 라디칼 소거활성과 환원력은 각각 숙성 2단계 및 3단계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에는 점차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숙성단계별 흑생강의 항산화 활성은 갈색도, 6-shogaol, 총당 및 총 페놀의 함량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2-3단계 숙성이 항산화 활성 증대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g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were investigated every four days during the twenty days of aging process and compared with fresh ginger. Browning intensity and redness value were 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g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were investigated every four days during the twenty days of aging process and compared with fresh ginger. Browning intensity and redness valu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fresh ginger; however, lightness and yellow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tal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during the second step and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third step. The content of gingerol decreased with aging whereas 6-shogaol increased from 17.7 to 34.1 times the baselin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during the second step and decreased in the subsequent steps.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were the highest during the second and third steps, respectively, and then they gradually decreas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ged ginger during the aging proces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browning intensity, 6-shogaol, total sugar, and total phenolic content. Therefore, our study suggested that aging during the second and third steps were effective in optimizing antioxidant activ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유호, "흑토란의 식품재료화를 위한 숙성 조건에 따른 토란의 특성 및 관능 최적화" 한국식품과학회 48 (48): 133-141, 2016

      2 반영주, "흑생강 제조 공정 최적화 및 기능성 흑생강 음료 제조"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4 (14): 112-117, 2010

      3 김효진, "흑삼 제조과정 중 증포 횟수에 따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56-162, 2011

      4 신정혜, "흑마늘 가공 중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 한국생명과학회 18 (18): 1123-1131, 2008

      5 이수진, "흑도라지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5 (45): 422-427, 2013

      6 강민정, "홍마늘의 숙성 단계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898-906, 2011

      7 송석보, "팥 품종별 볶음시간에 따른 팥과 팥차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45 (45): 317-324, 2013

      8 성기천, "천연 생강 추출물의 약리학적 특성 및 분석 연구"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7 (27): 266-272, 2010

      9 이금양, "증건 횟수에 따른 우엉의 이화학적 변화 및 관능적 특성 연구" 한국식품과학회 47 (47): 336-344, 2015

      10 조만현, "조직배양생강과 한국재래종 생강의 유효성분 비교"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404-412, 2011

      1 전유호, "흑토란의 식품재료화를 위한 숙성 조건에 따른 토란의 특성 및 관능 최적화" 한국식품과학회 48 (48): 133-141, 2016

      2 반영주, "흑생강 제조 공정 최적화 및 기능성 흑생강 음료 제조"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4 (14): 112-117, 2010

      3 김효진, "흑삼 제조과정 중 증포 횟수에 따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56-162, 2011

      4 신정혜, "흑마늘 가공 중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 한국생명과학회 18 (18): 1123-1131, 2008

      5 이수진, "흑도라지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5 (45): 422-427, 2013

      6 강민정, "홍마늘의 숙성 단계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898-906, 2011

      7 송석보, "팥 품종별 볶음시간에 따른 팥과 팥차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45 (45): 317-324, 2013

      8 성기천, "천연 생강 추출물의 약리학적 특성 및 분석 연구"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7 (27): 266-272, 2010

      9 이금양, "증건 횟수에 따른 우엉의 이화학적 변화 및 관능적 특성 연구" 한국식품과학회 47 (47): 336-344, 2015

      10 조만현, "조직배양생강과 한국재래종 생강의 유효성분 비교"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404-412, 2011

      11 김훈환, "열풍 및 동결건조에 따른 숙성 흑생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8 (28): 153-161, 2018

      12 이상훈, "숙성온도와 기간에 따른 도라지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405-1411, 2013

      13 이봉수, "생강으로부터 6-Gingerol의 분리 및 항산화 활성" 한국생물공학회 21 (21): 484-488, 2006

      14 이명희,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숙성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479-486, 2012

      15 이혜련,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369-1379, 2014

      16 서영호, "발효숙성 생강추출물을 이용한 대용차 개발" 한국차학회 24 (24): 63-69, 2018

      17 홍주연, "발효 흑대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907-908, 2012

      18 임태수,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생강의 추출효율 및 기능성에 대한 모니터링"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348-354, 2007

      19 양아여, "갈변반응을 이용한 흑양파의 제조 및 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310-318, 2011

      20 박호영, "가압조건에서 생강 유래 6-shogaol 변환을 위한 가열 조건 최적화" 한국식품과학회 46 (46): 588-592, 2014

      21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n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31 : 426-428, 1959

      22 Benzie IFF,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FRAP)as a measure of"antioxidant power" : the FRAP assay" 239 : 70-76, 1996

      23 Connell DW, "The chemistry of the essential oil and oleoresin of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1 : 677-693, 1970

      24 Cheng XL, "Steamed ginger (Zingiber : Changed chemical profile and increased anticancer potential" 129 : 1785-1792, 2011

      25 배수경, "Sodium metabisulfite와 adipic acid가 마늘 농축액의 저장 중 갈변현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8 (18): 73-80, 2002

      26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58 : 966-968, 1981

      27 양병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petitive Heat-treated Ginger and Its Quantitative Conversion of Gingerol to Shogaol"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1 (21): 22-28, 2017

      28 Chandra R, "Melanoidins as major colorant in sugarcane molasses based distillery effluent and its degradation" 99 : 4648-4660, 2008

      29 Babsky NE, "Influence of storage on the composition of clarified apple juice concentrate" 51 : 564-567, 1986

      30 Kang KH, "Food Analysis" Sung Kyun Kwan University Academic Press 387-394, 2002

      31 Peleg H, "Distribution of bound and free phenolic acids in oranges(Citrus sinensis)and grapefruit(Citrus paradisi)" 57 : 417-426, 1991

      32 Moreno MIN,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s regions of Argentina" 71 : 109-114, 2000

      33 Dugasani S, "Comparati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gingerol, -gingerol, -gingerol and-shogaol" 127 : 515-520, 2010

      34 Dubois M,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 28 : 350-356, 1956

      35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1200, 1958

      36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37 Aeschbach R, "Antioxidant actions of thymol carbacrol 6-gingerol zingerone and hydroxytyrosol" 32 : 31-36, 1994

      38 Connell DW, "A re-examination of gingerol shogaol and zingerone pungent principles of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22 : 1033-1043, 1969

      39 Wu H, "6-Shogaol is more effective than 6-gingerol and curcumin in inhibiting 12-O-tetradecanoylphorbol 13-acetate induced tumor promotion in mice" 54 : 1296-130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