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제주도 한림 재암천굴과 도로 교차구간의 CaveBIM 구축 =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of Caves (CaveBIM) in Jeju Island at a Specific Site below a Road at Jaeamcheon Lava Tube and at a Broader Scale for Hallim Tow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58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하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지중구조물, 지반, 암반 등 다양한 구성 요소 중에 지질공학적 측면을 포함한 모든 정보에 대한 모델 구축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과정이며, 현재 진행형인 분야이...

      지하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지중구조물, 지반, 암반 등 다양한 구성 요소 중에 지질공학적 측면을 포함한 모든 정보에 대한 모델 구축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과정이며, 현재 진행형인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질공학적인 정보모델 구축 과정이 비교적 쉬운 상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제주도 일부 지역 대상의 3차원 지질정보모델, 동굴형상정보모델, 도로 주변 현황 정보모델까지 한 번에 디지털화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제주도에 존재하는 수많은 자연동굴 중에 도로와 교차하는 위치 중 제주도 한림 재암천굴을 대상으로CaveBIM 기반의 디지털 트윈 구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3D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한 동굴 형상 정보모델링, 지질 정보및 지구물리탐사 자료를 활용한 3D 지질 모델링, 드론을 활용한 재암천굴 상부 도로 주변 현황 정보모델링 등의 개별 데이터 구축과 통합을 통해서 디지털화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림-제주 지역에 대한 전역모델(GSM) 및 재암천굴에 대한 국부모델(LSM)을 구축하였다. 또한 재암천굴에 대한 LSM 구축 시 교차검증을 수행하여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종현 ; 안준상 ; 최재웅 ; 백용, "지하공간건설정보모델링(GeoBIM) 기반의 디지털 트윈 구축사례에 관한 연구 - 제주도 재암천굴, 정구수굴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BIM학회 11 (11): 20-30, 2021

      2 김한샘 ; 김정준 ; 정충기, "수치지도를 활용한 탄성파탐사 자료와 시추조사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통합 분석" 한국지반환경공학회 15 (15): 65-74, 2014

      3 황정래 ; 강태욱 ; 홍창희, "건설데이터와 GIS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IFC와 CityGML 간의 연관성 분석 연구" 대한공간정보학회 20 (20): 49-56, 2012

      4 Chandler, R. J., "The role of geotechnical data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18-, 2012

      5 Tawelian, L. R., "The implementation of geotechnical data into the BIM process" 143 : 734-741, 2016

      6 Zhang, J., "The BIM-enabled geotechnical information management of a construction project" 100 (100): 47-63, 2018

      7 Zobl, F., "Subsurface geo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GeoBIM" 8 (8): 40-43, 2008

      8 Zou, L., "Simulation and prediction of geologic hazards and the impacts on homestay buildings in scenery spots through BIM" e0238864-, 2020

      9 Obergriesser, M., "Infrastructural BIM standards-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delivery manual for the geotechnical infra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process, eWork and eBusiness in Architecture" 581-587, 2012

      10 Raspa, G., "Geotechnical characterization of the upper Pleistocene - Holocene alluvial deposits of Roma (Italy) by means of multivariate geostatistics: Cross-validation results" 101 (101): 251-268, 2008

      1 이종현 ; 안준상 ; 최재웅 ; 백용, "지하공간건설정보모델링(GeoBIM) 기반의 디지털 트윈 구축사례에 관한 연구 - 제주도 재암천굴, 정구수굴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BIM학회 11 (11): 20-30, 2021

      2 김한샘 ; 김정준 ; 정충기, "수치지도를 활용한 탄성파탐사 자료와 시추조사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통합 분석" 한국지반환경공학회 15 (15): 65-74, 2014

      3 황정래 ; 강태욱 ; 홍창희, "건설데이터와 GIS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IFC와 CityGML 간의 연관성 분석 연구" 대한공간정보학회 20 (20): 49-56, 2012

      4 Chandler, R. J., "The role of geotechnical data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18-, 2012

      5 Tawelian, L. R., "The implementation of geotechnical data into the BIM process" 143 : 734-741, 2016

      6 Zhang, J., "The BIM-enabled geotechnical information management of a construction project" 100 (100): 47-63, 2018

      7 Zobl, F., "Subsurface geo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GeoBIM" 8 (8): 40-43, 2008

      8 Zou, L., "Simulation and prediction of geologic hazards and the impacts on homestay buildings in scenery spots through BIM" e0238864-, 2020

      9 Obergriesser, M., "Infrastructural BIM standards-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delivery manual for the geotechnical infra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process, eWork and eBusiness in Architecture" 581-587, 2012

      10 Raspa, G., "Geotechnical characterization of the upper Pleistocene - Holocene alluvial deposits of Roma (Italy) by means of multivariate geostatistics: Cross-validation results" 101 (101): 251-268, 2008

      11 Rafiee, A., "From BIM to geo-analysis : view coverage and shadow analysis by BIM/GIS integration" 22 : 397-402, 2014

      12 Kang, T., "Development of a conceptual mapping standard to link building and geospatial information" 7 (7): 162-, 2018

      13 Stone, M., "Cross-validatory choice and assessment of statistical predictions" 36 (36): 111-133, 1974

      14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Big data open platform"

      15 De Laat, R., "Advances in 3D Geo-Information Sciences" Springer 211-225, 2011

      16 An, J. 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aveBIM at the intersected area of road and natural cave in Jeju lsland" 67-, 2022

      17 Juda, P., "A framework for the cross-validation of categorical geostatistical simulations" 7 (7):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