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초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의 불평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155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지역 불평등을 분석하여 불평등을 완화 또는 해소하기 위한 대책마련에 활용될 수 있는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8년에서 2016년의 기초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을 대상으로 일원분산분석을 활용하여 시 · 군 · 구 간 격차를 분석하였고, Beta 수렴과 Sigma 수렴을 활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회복지지출 불평등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첫째, 일원분산분석 결과는 모든 연도에서 군, 시, 구의 순으로 사회복지지출의 수준이 높고, 구 · 시와 군의 격차는 2013년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Beta 수렴 분석결과는 사회복지지출의 평균성장률과 2008년의 사회복지지출 수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를 나타내 분석대상 기간에 Beta 수렴이 발생했다는 것을 증명한다. 셋째, Theil 지수의 분해결과, 광역 내 불평등이 전체 광역별 불평등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계열 도표와 회귀분석을 이용한 Sigma 수렴의 분석결과는 전국, 광역, 광역 간, 광역 내 수준 모두에서 변이계수, Gini 계수, Theil 지수가 감소하여 사회복지지출의 불평등이 완화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구·시와 군의 격차 해소를 위해 중앙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하고, 광역자치단체 내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조정교부금과 재정보전금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지역 불평등을 분석하여 불평등을 완화 또는 해소하기 위한 대책마련에 활용될 수 있는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8년...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지역 불평등을 분석하여 불평등을 완화 또는 해소하기 위한 대책마련에 활용될 수 있는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8년에서 2016년의 기초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을 대상으로 일원분산분석을 활용하여 시 · 군 · 구 간 격차를 분석하였고, Beta 수렴과 Sigma 수렴을 활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회복지지출 불평등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첫째, 일원분산분석 결과는 모든 연도에서 군, 시, 구의 순으로 사회복지지출의 수준이 높고, 구 · 시와 군의 격차는 2013년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Beta 수렴 분석결과는 사회복지지출의 평균성장률과 2008년의 사회복지지출 수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를 나타내 분석대상 기간에 Beta 수렴이 발생했다는 것을 증명한다. 셋째, Theil 지수의 분해결과, 광역 내 불평등이 전체 광역별 불평등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계열 도표와 회귀분석을 이용한 Sigma 수렴의 분석결과는 전국, 광역, 광역 간, 광역 내 수준 모두에서 변이계수, Gini 계수, Theil 지수가 감소하여 사회복지지출의 불평등이 완화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구·시와 군의 격차 해소를 위해 중앙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하고, 광역자치단체 내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조정교부금과 재정보전금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문제의 제기
      • Ⅱ. 사회복지 지역 불평등에 대한 논의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결과
      • 논문요약
      • Ⅰ. 문제의 제기
      • Ⅱ. 사회복지 지역 불평등에 대한 논의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창현, "한부모 여성의 건강불평등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30 (30): 297-319, 2016

      2 이훈희, "한국 건강불평등의 구조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30 (30): 85-110, 2016

      3 김병규, "지방정부의 정치적 특성이 복지비지출에 미치는 영향분석*-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1 (21): 129-146, 2009

      4 진재문,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 연구: 1995~2003년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 5-30, 2006

      5 진재문, "지방정부 간 사회복지예산 격차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6 (26): 413-432, 2010

      6 이석환, "지방재정과 사회복지 확대" 62 (62): 12-15, 2013

      7 김수완, "지방자치제는 지방정부의 복지예산을 증가시켰는가?" 4 : 75-110, 1998

      8 이승종, "지방자치와 지방정부의 정책정향-복지서비스 기능을 중심으로" 26 (26): 573-589, 1992

      9 이승종, "지방자치와 지방정부의 복지정책정향" 한국행정학회 34 (34): 197-215, 2000

      10 강윤호, "지방자치와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정향: 시・군・자치구간 비교분석" 34 (34): 213-227, 2000

      1 강창현, "한부모 여성의 건강불평등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30 (30): 297-319, 2016

      2 이훈희, "한국 건강불평등의 구조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30 (30): 85-110, 2016

      3 김병규, "지방정부의 정치적 특성이 복지비지출에 미치는 영향분석*-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1 (21): 129-146, 2009

      4 진재문,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 연구: 1995~2003년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 5-30, 2006

      5 진재문, "지방정부 간 사회복지예산 격차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6 (26): 413-432, 2010

      6 이석환, "지방재정과 사회복지 확대" 62 (62): 12-15, 2013

      7 김수완, "지방자치제는 지방정부의 복지예산을 증가시켰는가?" 4 : 75-110, 1998

      8 이승종, "지방자치와 지방정부의 정책정향-복지서비스 기능을 중심으로" 26 (26): 573-589, 1992

      9 이승종, "지방자치와 지방정부의 복지정책정향" 한국행정학회 34 (34): 197-215, 2000

      10 강윤호, "지방자치와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정책정향: 시・군・자치구간 비교분석" 34 (34): 213-227, 2000

      11 정원식, "지방자치시대의 도시간 지역격차의 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13 (13): 141-160, 2001

      12 박완규, "지방자치단체의 경제력 격차에 대한 분석 -GRDP 대리변수를 이용하여-" 한국지역학회 26 (26): 75-101, 2010

      13 이재완,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 수준의결정요인 분석 : 1995-2005"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1) : 105-124, 2007

      14 김흥주, "지방자치단체 복지서비스의 지역 간 격차에 관한 연구: 권역별 정부재정 보조의 불평등 완화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8 (18): 99-129, 2014

      15 함영진, "지방자치단체 복지사업 특징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2012

      16 박기묵, "지방자치가 지역개발과 사회복지에 미치는 영향-경상북도 시 자치단체중심으로" 14 (14): 14-12, 2003

      17 김태일, "지방의회 구성과 단체장 선출이 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 규모에 미친 영향" 35 (35): 69-89, 2001

      18 진재문, "지방선거와 광역자치단체 정책정향의 관계 연구 : 복지정향 대 개발정향" 한국지방재정학회 10 (10): 5-26, 2005

      19 홍준현, "지방분권화와 지역격차의 상관관계" 13 (13): 161-178, 2001

      20 김태희, "재정분권화가 지방정부 사회복지지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학회 21 (21): 397-420, 2012

      21 최영, "재정분권과 사회복지서비스의 지역 간 불평등"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55) : 31-59, 2015

      22 장인수, "인구 집단 측면의 복지 수요는 사회복지 예산 비중 증가를 견인하였는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365-395, 2018

      23 진재문, "시·군·구 지역의 사회복지예산 불평등에 관한 연구 : 2000~2010년의 1인당 사회복지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8 (28): 205-227, 2012

      24 임석회,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서비스의 지역차에 관한 연구 - 시설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1-14, 2009

      25 이관률, "수도권 집중과 지역격차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5 (15): 373-390, 2011

      26 김병민, "서울특별시 자치구의 사회복지예산 변화 영향요인에 관한 유형화: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사회과학연구원 41 (41): 1-25, 2015

      27 안영진, "사회복지정책의 분권화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재원 개선방안" 한국비교공법학회 15 (15): 53-83, 2014

      28 여유진, "빈곤과 불평등의 동향 및 요인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29 진재문, "부산시 구ㆍ군별 사회복지예산 격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9 (29): 143-167, 2013

      30 김승희, "복지수준의 지역간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 정책적 접근 -" 한국주거환경학회 13 (13): 165-180, 2015

      31 이성철, "로컬 거버넌스와 지역성장의 관계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69-91, 2017

      32 유재원, "단체장 민선이후 자치단체의 정책변화: Peterson의 도시한계론 검증" 8 (8): 79-98, 1999

      33 "다음 국어사전"

      34 강주희, "노인복지 수요와 자원의 지역별 비교분석" 한국농촌사회학회 18 (18): 161-187, 2008

      35 임승빈, "기초지방자치단체 간(間) 지역격차와 성과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20 (20): 5-23, 2008

      36 김진욱, "기초자치단체의 영역별 사회복지지출 수준 및 결정요인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34 : 243-271, 2013

      37 이석환, "기초자치단체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93-122, 2017

      38 조은영, "기초자치단체 갈등해소 전략: 금천구 주민참여연구단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43-68, 2017

      39 Janssen, F., "Sigma and Beta Convergence in Regional Mortality: A Case Study of the Netherlands" 35 (35): 81-116, 2016

      40 Lall, S. V., "Regional Economic Convergence: Do Policy Instruments Make a Difference?" 35 : 153-166, 2001

      41 Sala-i-Martin, X., "Regional Cohesion: Evidence and Theories of Regional Growth and Convergence" 40 : 1325-1352, 1996

      42 Rapacki, R., "Real Beta and Sigma Convergence in 27 Transition Countries, 1990–2005" 21 (21): 307-326, 2009

      43 Quah, D., "Galton’s Fallacy and Tests of the Convergence Hypothesis" 95 (95): 427-443, 1993

      44 Barro, R. J., "Economic Growth in a Cross Section of Countries" 106 (106): 407-443, 1991

      45 Friedman, M., "Do Old Fallacies Ever Die?" 30 (30): 2129-2132, 1992

      46 Barro, R. J., "Convergence" 100 (100): 223-251, 1992

      47 Solow, R. M., "A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 70 (70): 65-94, 1956

      48 Mankiw, N. G., "A Contribution to the Empirics of Economic Growth" 107 (107): 407-437,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행정학회 -> 한국공공관리학회
      영문명 : Chung-Ang Academy Of Public Administr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3 1.25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