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브라보 캡슐 pH 검사의 증상-역류의 연관성 분석을 이용한 위식도 역류 질환 진단의 부가적 역할 = The Additional Role of Symptom-Reflux Association Analysis of Diagnosi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Using Bravo Capsule pH T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739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위식도 역류 질환의 진단을 위한 이동성 식도 pH 카테터 검사가 시작된 이후로 여러 가지 진단 기준이 소개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24시간 pH catheter monitoring의 지금까지 알려진 자...

      목적: 위식도 역류 질환의 진단을 위한 이동성 식도 pH 카테터 검사가 시작된 이후로 여러 가지 진단 기준이 소개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24시간 pH catheter monitoring의 지금까지 알려진 자료에 비해서 Bravo 캡슐 pH 검사의 진단적 효능을 확인하고, 측정되는 pH 4 미만의 시간 비율(%), DeMeester 점수, 증상-역류 연관 인자 등 여러 인자들의 진단적 효능과 그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0월부터 2015년 5월까지 고신대학교복음병원에서 Bravo 캡슐 pH 검사를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산 역류 척도 및 증상 역류 연관 인자에 대해서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pH가 4 미만인 전체 시간의 비율(%) 중앙값은 2.90%였으며 DeMeester 점수는 11.10이었다. 또한 pH 4 미만의 시간 비율(%) (r<sup>2</sup>=0.72)과 DeMeester 점수(r<sup>2</sup>=0.54)에 대한 일일 변동을 분석하였을 때, 첫째 날과 둘째 날 사이에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DeMeester 값에 따른 Bravo 캡슐 pH 검사 양성은 총 27명(39.7%)이었다. 전체 검사자 중 30명만 검사 기간 동안 증상 발생을 경험하였으나 증상 유무에 따른 Bravo 검사 값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증상군에서 7명(23.3%)은 DeMeester 검사에서 음성이었지만 증상 역류 연관 인자에서 이상 소견을 보였다. 검사로 인한 합병증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Bravo 캡슐 pH 검사 결과의 해석에서 pH 4 미만의 시간 비율이나 DeMeester 점수 등의 전통적인 지표와 더불어 증상-역류 연관 분석 및 일일 변동을 고려한 분석을 추가하였을 때, 역류 과민성 환자를 포함한 위식도 역류 질환의 진단을 높일 수 있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Since the development of ambulatory esophageal pH monitoring test to diagnose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several parameters have been introduc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whether using the symptom index (SI), s...

      Background/Aims: Since the development of ambulatory esophageal pH monitoring test to diagnose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several parameters have been introduc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whether using the symptom index (SI), symptom sensitivity index (SSI), and symptom association probability (SAP), in addition to the DeMeester score (DS), would be useful for interpreting the Bravo pH monitoring test.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hich included 68 patients with reflux symptoms refractory to proton pump inhibitor (PPI) therapy who underwent a Bravo capsule pH test between October 2006 and May 2015, was carried out. Acid reflux parameters and symptom reflux association parameters were analyzed.
      Results: The median percent time of total pH<4 and DS were 2.90% (interquartile range [IQR] 1.13-6.03%) and 11.10 (IQR 4.90-22.8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ay-to-day variation in percent time of total pH<4 (r=0.724) and DS (r=0.537),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ay 1 and Day 2. The positive rate of Bravo test according to DS was 27 (39.7%). Although thirty patients experienced symptoms during the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reflux parameters compared with other patients. In the symptom group, 7 patients (23.3%) were identified as having negative DS and an abnormal symptom-related index. There were no significant test-related complications.
      Conclusions: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traditional acid parameters of the Bravo capsule pH test, diagnosis of GERD, including reflux hypersensitivity, can be improved by performing an analysis of the symptom-reflux association and of the day-to-day varia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17;70:169-17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유경, "한국인 환자에서 Bravo 식도 pH 검사의 시행과 안전성" 대한소화기 기능성질환∙운동학회 13 (13): 111-117, 2007

      2 Grigolon A, "Wireless pH monitoring:better tolerability and lower impact on daily habits" 39 : 720-724, 2007

      3 Roman S, "Wireless pH capsule--yield in clinical practice" 44 : 270-276, 2012

      4 Ang D, "Wireless oesophageal pH monitoring:establishing values in a multiracial cohort of asymptomatic Asian subjects" 45 : 371-376, 2013

      5 Wenner J, "Wireless esophageal pH monitoring is better tolerated than the catheter-based technique:results from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102 : 239-245, 2007

      6 Ang D, "To Bravo or not? A comparison of wireless esophageal pH monitoring and conventional pH catheter to evaluate non-erosive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n a multiracial Asian cohort" 11 : 19-27, 2010

      7 Eckardt VF, "The impact of open access 24-h pH-metry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esophageal reflux disease" 94 : 616-621, 1999

      8 Lacy BE, "The diagnosi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123 : 583-592, 2010

      9 de Hoyos A, "Technical problems produced by the bravo pH test in nonerosive reflux disease patients" 16 : 3183-3186, 2010

      10 Bredenoord AJ, "Symptom association analysis in ambulatory gastro-oesophageal reflux monitoring" 54 : 1810-1817, 2005

      1 조유경, "한국인 환자에서 Bravo 식도 pH 검사의 시행과 안전성" 대한소화기 기능성질환∙운동학회 13 (13): 111-117, 2007

      2 Grigolon A, "Wireless pH monitoring:better tolerability and lower impact on daily habits" 39 : 720-724, 2007

      3 Roman S, "Wireless pH capsule--yield in clinical practice" 44 : 270-276, 2012

      4 Ang D, "Wireless oesophageal pH monitoring:establishing values in a multiracial cohort of asymptomatic Asian subjects" 45 : 371-376, 2013

      5 Wenner J, "Wireless esophageal pH monitoring is better tolerated than the catheter-based technique:results from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102 : 239-245, 2007

      6 Ang D, "To Bravo or not? A comparison of wireless esophageal pH monitoring and conventional pH catheter to evaluate non-erosive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n a multiracial Asian cohort" 11 : 19-27, 2010

      7 Eckardt VF, "The impact of open access 24-h pH-metry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esophageal reflux disease" 94 : 616-621, 1999

      8 Lacy BE, "The diagnosi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123 : 583-592, 2010

      9 de Hoyos A, "Technical problems produced by the bravo pH test in nonerosive reflux disease patients" 16 : 3183-3186, 2010

      10 Bredenoord AJ, "Symptom association analysis in ambulatory gastro-oesophageal reflux monitoring" 54 : 1810-1817, 2005

      11 Vaezi MF, "Reproducibility of proximal probe pH parameters in 24-hour ambulatory esophageal pH monitoring" 92 : 825-829, 1997

      12 Sweis R, "Prolonged, wireless pH-studies have a high diagnostic yield in patients with reflux symptoms and negative 24-h catheter-based pH-studies" 23 : 419-426, 2011

      13 Wang WH, "Is proton pump inhibitor testing an effective approach to diagnose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n patients with noncardiac chest pain?: a metaanalysis" 165 : 1222-1228, 2005

      14 Aziz Q, "Functional esophageal disorders" 2016

      15 Netzer P, "Five-year audit of ambulatory 24-hour esophageal pH-manometry in clinical practice" 34 : 676-682, 1999

      16 Rona Marie A Lawenko, "Evalua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Using the Bravo Capsule pH System" 대한소화기 기능성질환∙운동학회 22 (22): 25-30, 2016

      17 Mainie I, "Comparison between the combined analysis and the DeMeester Score to predict response to PPI therapy" 40 : 602-605, 2006

      18 Jamieson JR, "Ambulatory 24-h esophageal pH monitoring: normal values, optimal thresholds, specificity, sensitivity, and reproducibility" 87 : 1102-1111, 1992

      19 Hirano I, "ACG practice guidelines:esophageal reflux testing" 102 : 668-685, 2007

      20 Chander B, "24 versus 48-hour bravo pH monitoring" 46 : 197-200,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2 0.315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