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내러티브적 접근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방식을 탐구하고자 한다. 학교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지만 제대로 된 교육과정 운영이 미흡한 시점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39908
2021
-
370
KCI등재
학술저널
29-53(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내러티브적 접근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방식을 탐구하고자 한다. 학교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지만 제대로 된 교육과정 운영이 미흡한 시점이다. ...
본 연구는 내러티브적 접근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방식을 탐구하고자 한다. 학교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지만 제대로 된 교육과정 운영이 미흡한 시점이다. 민주시민교육은 현재 다양한 개념이 공존하고 있으며 접근방법의 혼란 또한 존재한다. 교육과정의 연계성과 함께 민주적 생활과 경험이 실종된 민주시민교육에서 새로운 대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다양한 개념과 접근 방법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연계성, 민주시민교육에서 내러티브 접근을 통해 새로운 대안을 밝혔다. 그리고 내러티브를 인식론, 방법, 경험의 생성 도구의 측면에서 민주시민교육과 연계되는 사례를 초점으로 접근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민주시민교육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해 내러티브 접근을 새로운 탐구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었다. 그리고 민주적 생활과 경험이 실종된 민주시민교육에서 내러티브를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새로운 탐구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new wa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a narrative approach. The necess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is being discuss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various concepts and confu...
This study explores the new wa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a narrative approach. The necess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is being discuss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various concepts and confusion of approach. It explores new alternative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ere curriculum articulation, democratic life, and experience are miss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analysis and previous research analysis were conducted. First, through analyzing various concepts and approaches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new alternatives were revealed through the linkage of curriculum and narrative approach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addition, narratives were approached in terms of recognition, method, and tool of creation of experience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narrative approach can be used as a new inquiry method for effective settle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exploring narratives in a new approach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ere democratic life and experience are miss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현석, "현대 교육과정 탐구" 학지사 2011
2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3 박상영,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 : 보수·진보 진영의 학교 민주시민교육 정책 분석(2003-2020)"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1-33, 2020
4 권진욱,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흐름과 방향" 한국사회적질학회 2 (2): 25-46, 2018
5 장의선, "학교 수준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6 정상우,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교육법적 관점에서" 대한교육법학회 31 (31): 95-123, 2019
7 정문성,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8
8 김성수, "학교 내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한양대학교 국가전략연구소 2015
9 곽혜송, "초등학교 민주시민교육 실천 유형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4 (24): 11-30, 2017
10 이쌍철, "초·중등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9
1 강현석, "현대 교육과정 탐구" 학지사 2011
2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3 박상영,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 : 보수·진보 진영의 학교 민주시민교육 정책 분석(2003-2020)"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1-33, 2020
4 권진욱,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흐름과 방향" 한국사회적질학회 2 (2): 25-46, 2018
5 장의선, "학교 수준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6 정상우,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교육법적 관점에서" 대한교육법학회 31 (31): 95-123, 2019
7 정문성,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8
8 김성수, "학교 내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한양대학교 국가전략연구소 2015
9 곽혜송, "초등학교 민주시민교육 실천 유형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4 (24): 11-30, 2017
10 이쌍철, "초·중등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9
11 강현석, "지식 구조론 이후 Bruner 의 교육과정이론 탐구" 16 (16): 105-128, 1998
12 강현석,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연구방법론 : 내러티브학 탐구" 한국문화사 2016
13 박영하, "울산시의회, ‘학교 민주시민교육 조례안’ 진통 끝 가결"
14 교육부, "사회과교육과정" 교육부 2015
15 조인숙,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의 특징과 시사점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1 (1): 5-24, 2013
16 김수영, "백워드 설계와 내러티브 통합 방안" 2021
17 이지은, "백워드 설계에서 내러티브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4 (4): 77-98, 2016
18 허영식, "민주시민교육의 제도적 체계화를 위한 교수학습원칙과 실천방안"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35-58, 2020
19 장준호, "민주시민교육의 재발견–개념과 근거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40 (40): 135-156, 2020
20 허영식, "민주시민교육의 원칙에 관한 연구동향과 함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 (1): 91-112, 2019
21 김상범, "민주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본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61-78, 2019
22 윤세병,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역사과 교육과정의 제언" 한국역사교육학회 (35) : 153-193, 2019
23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교육부 민주시민교육과 2018
24 김원석, "민주시민교육 내용 규정 및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관계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42) : 210-254, 2020
25 전호재, "민주시민 교육과정의 새로운 접근: 내러티브 교육" 267-278, 2020
26 조인숙, "내러티브의 두 가지 이론과 교육에의 시사점 탐구" 한국교육철학회 (60) : 165-191, 2016
27 이흔정, "내러티브의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안암교육학회 10 (10): 151-170, 2004
28 박민정, "내러티브와 교육학의 만남"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1 (1): 25-50, 2013
29 강현석,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과정 설계 원리 탐구" 한국교육철학회 (48) : 183-215, 2012
30 박민정,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이야기 만들기, 의미구성, 커뮤니케이션의 해석학적 순환" 교육연구소 7 (7): 27-47, 2006
31 고요한, "내러티브, 인성, 교육의 인간학적 전일성 연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6 (6): 61-89, 2018
32 도홍찬, "내러티브(narrative)의 도덕 교육적 함의" 서울대학교 아시아 태평양 교육발전연구단 2002
33 허영식, "내러티브 지향 민주시민교육의 가능성 탐색"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9 (9): 27-50, 2021
34 이지은, "내러티브 기반의 과정중심평가 적용 가능성 탐색-초등학교 4개교의 수행평가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6 (6): 89-109, 2018
35 강현석, "내러티브 기반 지식 융합의 전략 방향 탐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51-261, 2016
36 강현석, "내러티브 가치와 학문 통합에서의 시사점 탐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491-498, 2016
37 강현석, "교과교육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과별 PCK(내용교수지식) 심화 모형 개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9 (59): 643-695, 2011
38 장혜정, "고등학교 인성교육 및 민주시민교육의 발전 방향" 97-102, 2017
39 한반도전략문제연구소, "경기도 민주시민교육 종합계획 수립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경기대학교 한반도전략문제연구소 2016
40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경기도 민주시민교육 종합 수립 연구" 2019
41 염지숙, "Narrative Inquiry: A Trend, Issues and Possibilities" 한국교육인류학회 9 (9): 99-122, 2006
42 강현석, "In Search of the Educational Meanings of Bruner's Narrative Theory"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125-149, 2017
43 강현석, "Bruner의 내러티브 의미의 다층성과 교육이론 형성에의 시사점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213-255, 2020
44 강현석, "Bruner의 내러티브 논의에 기초한 교육문화학의 장르에 관한 학제적 연구" 한국교육철학회 (36) : 1-40, 2008
45 Bruner, J. S., "Actual Minds, Possible Worlds" Harvard Univ. Press 1986
관계적 내러티브 탐구자-되기 : 내러티브 탐구과정에서의 긴장과 협상을 중심으로
[Book Review] IB Education is Coming!: Two Narratives About IB Between Japan and Korea
교육에서의 내러티브 전환 : 리사 로버츠(Lisa C. Roberts)의 박물관 교육의 변화를 중심으로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에 대한 내러티브 비판 : 2022 개정의 역량교육에서 질 높은 지식교육으로의 전환적 통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2-09-0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Narrative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Narrative Education: KSN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788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