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 상황 속 기독 대학생의 대학생활 및 신앙생활 경험 = The College and Spiritual Life Experiences of Christian Students in the Context of 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44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Christian students’ college and spiritual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COVID-19. For this purpose, 7 Christian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terviewed by one-on-one for about 1 month from July, 2021.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o delineate about each participant’s individual and unique experiences. Participants’ statements were analyzed 340 meaning units, 48 sub-elements and 16 elements, which were structuralized with 5 themes of ‘Going through everything alone in sorrow and disappointment’in the dimension of overall college life, ‘Experiencing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nline class’ in the dimension of academic experience, ‘Trying to be more courageous to make friends as it is difficult’ in the dimension of social relationship, ‘Trying to keep minds and overcoming the situation despite loneliness,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dimension of psycho-emotional dimension, and ‘Having an opportunity for the restoration and growth of faith in spite of difficulties of spiritual lif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universities and churches to support Christian college students in the context of COVID-19.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Christian students’ college and spiritual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COVID-19. For this purpose, 7 Christian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

      This study aims to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Christian students’ college and spiritual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COVID-19. For this purpose, 7 Christian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terviewed by one-on-one for about 1 month from July, 2021.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o delineate about each participant’s individual and unique experiences. Participants’ statements were analyzed 340 meaning units, 48 sub-elements and 16 elements, which were structuralized with 5 themes of ‘Going through everything alone in sorrow and disappointment’in the dimension of overall college life, ‘Experiencing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nline class’ in the dimension of academic experience, ‘Trying to be more courageous to make friends as it is difficult’ in the dimension of social relationship, ‘Trying to keep minds and overcoming the situation despite loneliness,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dimension of psycho-emotional dimension, and ‘Having an opportunity for the restoration and growth of faith in spite of difficulties of spiritual lif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universities and churches to support Christian college students in the context of COVID-19.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기독 대학생의 대학생활 및 신앙생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깊이 있게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기독 대학생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21년 7월부터 약 1개월 간 일대일 면접을 진행하였고, 이들의 고유하고 독특한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340개의 의미 단위, 48개의 하위 구성요소 및 16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는 전반적 학교생활 차원의 ‘아쉬움 속에서 홀로 모든 것을 헤쳐나감’, 학업 경험 차원의 ‘비대면(온라인) 수업의 장점과 문제점을 모두 경험함’, 사회적 관계 차원의 ‘친구를 사귀기 어려운 만큼, 더욱 용기 내고 노력함’, 심리·정서 차원의 ‘외롭고 우울하고 불안하지만, 마음을 지키고 상황을 극복하고자 노력함’, 신앙생활 차원의 ‘신앙생활에 어려움이 많지만, 오히려 신앙의 회복과 성장의 계기가 됨’의 5개 주제로 구조화되었다. 연구를 통해 파악한 기독 대학생의 대학생활 및 신앙생활 경험의 본질을 토대로 대학 및 교회의 지원방안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기독 대학생의 대학생활 및 신앙생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깊이 있게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기독 대학생 7...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기독 대학생의 대학생활 및 신앙생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깊이 있게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기독 대학생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21년 7월부터 약 1개월 간 일대일 면접을 진행하였고, 이들의 고유하고 독특한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340개의 의미 단위, 48개의 하위 구성요소 및 16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는 전반적 학교생활 차원의 ‘아쉬움 속에서 홀로 모든 것을 헤쳐나감’, 학업 경험 차원의 ‘비대면(온라인) 수업의 장점과 문제점을 모두 경험함’, 사회적 관계 차원의 ‘친구를 사귀기 어려운 만큼, 더욱 용기 내고 노력함’, 심리·정서 차원의 ‘외롭고 우울하고 불안하지만, 마음을 지키고 상황을 극복하고자 노력함’, 신앙생활 차원의 ‘신앙생활에 어려움이 많지만, 오히려 신앙의 회복과 성장의 계기가 됨’의 5개 주제로 구조화되었다. 연구를 통해 파악한 기독 대학생의 대학생활 및 신앙생활 경험의 본질을 토대로 대학 및 교회의 지원방안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분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 Giorgi, Colaizzi, Van Kaam 방법을 중심으로" 29 (29): 1208-1220, 1999

      2 이경아 ; 손경숙,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 12 (12): 239-254, 2021

      3 임정완,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영어교육과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7 (27): 109-128, 2021

      4 김건,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의 수업 방법 선호도와 비대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 전공 실습 수업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4 (34): 317-332, 2022

      5 우세린 ; 김귀현 ; 김수연, "코로나19로 변화된 교육형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비교 - 인천지역 등 경인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 한국도서(섬)학회 34 (34): 13-29, 2022

      6 김혜옥 ; 윤종식 ; 김진현 ; 조해윤, "코로나19(COVID-19) 환경 속에서 K대학 신입생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1-10, 2021

      7 권오혁, "코로나19 이후 내국인대학생과 외국인대학생간의 블렌디드 러닝(대면+비대면)수업의 학습만족도 및 학습몰입도 연구 -서울소재 H대학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대상으로" 한국미용학회 27 (27): 1053-1061, 2021

      8 이종만,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42-351, 2020

      9 김성일,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 대한 대학생 인식 조사"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7 (7): 113-139, 2021

      10 오혜정 ; 손병덕,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8 (28): 477-502, 2021

      1 김분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 Giorgi, Colaizzi, Van Kaam 방법을 중심으로" 29 (29): 1208-1220, 1999

      2 이경아 ; 손경숙,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 12 (12): 239-254, 2021

      3 임정완,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영어교육과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7 (27): 109-128, 2021

      4 김건,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의 수업 방법 선호도와 비대면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 전공 실습 수업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4 (34): 317-332, 2022

      5 우세린 ; 김귀현 ; 김수연, "코로나19로 변화된 교육형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비교 - 인천지역 등 경인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 한국도서(섬)학회 34 (34): 13-29, 2022

      6 김혜옥 ; 윤종식 ; 김진현 ; 조해윤, "코로나19(COVID-19) 환경 속에서 K대학 신입생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1-10, 2021

      7 권오혁, "코로나19 이후 내국인대학생과 외국인대학생간의 블렌디드 러닝(대면+비대면)수업의 학습만족도 및 학습몰입도 연구 -서울소재 H대학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대상으로" 한국미용학회 27 (27): 1053-1061, 2021

      8 이종만,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42-351, 2020

      9 김성일,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 대한 대학생 인식 조사"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7 (7): 113-139, 2021

      10 오혜정 ; 손병덕,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8 (28): 477-502, 2021

      11 인효연 ; 이정신 ; 김수정, "코로나19 상황에서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경험" 한국청소년학회 28 (28): 141-173, 2021

      12 윤일현,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생 자기주도학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 학습몰입, 삶의 만족도 병렬 삼중매개효과분석" 한국취업진로학회 11 (11): 119-142, 2021

      13 이승현 ; 함승환, "코로나19 상황 속 대학생의 강의만족도 재분석: 온라인 학습참여의 장소의존성 역설" 한국열린교육학회 29 (29): 71-91, 2021

      14 교육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유·초·중·고 추가 개학 연기 및 후속 지원방안"

      15 문화진,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대학 생활에서 나타나는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33-247, 2021

      16 김영신, "코로나 시대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 만족도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125-136, 2021

      17 조혜정, "코로나 19시대에 기독 대학생의 신앙성숙이 교회 헌신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7) : 249-276, 2020

      18 유경철 ; 안도희, "코로나 19시기의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대학생의 대학적응: 기본심리욕구, 우울 및 스마트폰 의존과의 구조적 관계" Human Engagement Institute 17 (17): 173-207, 2022

      19 양혜진, "코로나 19상황에서 대학신입생들의 자아탄력성 정도에 따른 우울감과 심리적 정서의 차이"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75-82, 2020

      20 황요한 ; 김창수,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강의 인식 조사: 대학생의 만족도와 불안도를 중심으로" 대한언어학회 29 (29): 71-91, 2021

      21 권진숙,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 속의 불안한 사람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 한국실천신학회 (74) : 413-447, 2021

      22 김연정, "코로나 19 시대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121-134, 2022

      23 김용성, "코로나 19 바이러스 이후 교회 공동체 회복을 위한 제언"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3 (53): 277-302, 2021

      24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25 임경수 ; 손은령, "재수 후 입학한 코로나 학번 학생들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교육발전연구소 31 (31): 249-275, 2021

      26 교육부, "오미크론 대응 2022학년도 1학기 방역 및 학사 운영방안 발표"

      27 송수연 ; 김한경, "언택트 시대의 대학교육: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강의 만족도와 수강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1099-1126, 2020

      28 김영환, "성인대학생의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학습경험 탐색" 22 (22): 443-462, 2021

      29 김남일, "비대면 원격수업 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 -K대학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1 (11): 1145-1158, 2020

      30 유지은,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강좌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7) : 277-298, 2020

      31 이은승, "비대면 수업에 대한 대학생 인식도 조사연구 - 충남 소재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6 (26): 181-199, 2022

      32 백상현, "대학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분석" 인문사회 21 12 (12): 2543-2556, 2021

      33 조혜정, "대학생의 자기계발프로그램이 대학생활 적응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과학회 21 (21): 407-421, 2012

      34 오대영, "대학생의 실시간 원격수업 만족도와 지속수강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영재교육연구소 10 (10): 79-107, 2020

      35 이헌수,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학교수학회 23 (23): 377-395, 2020

      36 전보라 ; 윤소정, "대학 신입생, 그들의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 : 대학생활적응 경험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731-742, 2017

      37 송민선 ; 정헌식, "대학 1학년들의 대학생활적응과 진로탐색행동간의 관계" 인문사회 21 12 (12): 327-340, 2021

      38 조윤옥, "기독대학생의 영적안녕과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48) : 207-236, 2016

      39 홍세훈, "간호대학생의 코로나(COVID-19)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고립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301-310, 2021

      40 교육부, "‘2021년 학사 및 교육과정 운영 지원방안’ 발표"

      41 Fruehwirth, J. C., "The Covid-19 pandemic and mental health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Examining the effect of Covid-19 stressors using longitudinal data" 16 (16): e0247999-, 2021

      42 Milojevich, H. M., "Sleep and mental health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generally health sleep habits" 11 (11): e0156372-, 2016

      43 장기덕, "G 대학교 대학생들의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2 (2): 61-75, 2021

      44 Baker, R. W., "Expectation and reality in freshman adjustment to college" 32 : 94-103, 1984

      45 Toquero, C. M., "Emergency remote education experiment amid COVID-19 pandemic" 15 : 162-176, 2021

      46 박진우, "COVID-19 이후의 기독교 예배참여자의 비대면 예배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74) : 85-115, 2021

      47 한송이 ; 조성범, "COVID-19 이후 달라진 대학생활에 대한 경험" 한국인격교육학회 15 (15): 147-164, 2021

      48 허숙 ; 정인주, "COVID-19 상황의 간호학과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 경험" 다문화건강학회 12 (12): 71-83, 2022

      49 김병희 ; 정미애 ; 김언진, "COVID-19 상황을 맞은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767-780, 2021

      50 윤진헌 ; 박영순, "COVID - ­19 대응에 따른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인식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57) : 5-28, 2021

      51 Arkoff, A., "An under graduate course in higher education" 8 : 643-648,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9 0.65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