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韓国人学習者のための日本語教育文法モデルの開発研究 - 「副詞」のケーススタディを中心に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74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를 위한 일본어교육문법 모델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그 필요성을 제안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일본어 문법항목 중 '부사'의 경우를 일례로 들어...

      본고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를 위한 일본어교육문법 모델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그 필요성을 제안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일본어 문법항목 중 '부사'의 경우를 일례로 들어, 동연구가 목표로 삼는 일본어교육문법의 모델은 무엇인지를 부분적으로 밝힌다. 구체적으로는 1)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부사의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2)일본어와 한국어의 의미영역이 일치하지 않는 부사를 중심으로 양 언어의 부사의 의미론, 통어론, 그리고 연어(collocation)적 접근방식으로 기술하는 연구방법을 제시한다. 일본어 교육문법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일본에서 먼저 제창되어, 현재도 일본어능력시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일본 국내에서 각 언어별 학습자로부터의 시점, 즉 각 모어와의 대조연구를 바탕으로 한 일본어교육문법의 모델 개발의 필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일본의 이러한 교수법의 변화는 무엇보다 유럽의 CEFR로부터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된다. 한국의 일본어교육계에서도 이러한 일본 및 유럽의 변화에 반응하여 일본어교육 문법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동의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어떠한 문법 항목을 대상으로, 어떠한 교육 모델이 도입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후속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실제로 일본어교육문법 도입의 필요성이 주창된 지 약 20여 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것은 각 문법범주별로 일본어교육문법의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 생각된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개발 작업을 일종의 장기 연구 프로젝트로 삼아 해당 분야별 연구자와 공동 연구를 통해 수행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가 그 공동 연구 시작의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model of Japanese pedagogical grammar for Korean learners. In particular, the case of adverbs is taken as an example to demonstrate the model of such grammar.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

      The current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model of Japanese pedagogical grammar for Korean learners. In particular, the case of adverbs is taken as an example to demonstrate the model of such grammar.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use of Japanese adverbs by Korean learners, focusing on adverbs whose semantic domains do not match between Japanese and Korean, and analyzing the semantics, syntax, and collocation of adverbs in both languages. In fact, previous studies in Korean and Japan agree 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Japanese pedagogical grammar. However, there has been almost no follow-up research on what kind of educational model should be developed focusing on the learner's mother tongue. Therefore, this study partly introduces the model of developing such grammar for Korean learners through Japanese adverbs. It is hoped that this will serve as a fuse for the beginning of research on developing a model of the aforementioned grammar.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