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자체 공유재산의 유효활용 개발 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공공 및 민간 참여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Case Studies of Local Governments’ Public Property Development and Policy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Public and Private Participation Approach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executed, the need for efficient use of state and public property has also been increased. This study analyzes the local governments’ public property development cases through each public and private participation approach, and examines the main characteristic, issue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ublic property developments.
      The main results based on the ca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public entrusted development, it is the most necessary to provide clear rules on appropriate cost recovery for public trustee. Second, under the reliant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developer, the private participation development through sale or leasehold of LGP can also be an execution alternative for vest expenses policy projects. In this case, local governments’ clear visions and goals for public property use direction are the fundamental conditions. The various supports for private developments’ performance are also required. And the last, in both approache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rational and reasonable development plan based on pre-demand diagnostics and strategies attracting tenants for cost-recovery risks minimization.
      번역하기

      Whi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executed, the need for efficient use of state and public property has also been increased. This study analyzes the local governments’ public property development cases through each public and private parti...

      Whi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executed, the need for efficient use of state and public property has also been increased. This study analyzes the local governments’ public property development cases through each public and private participation approach, and examines the main characteristic, issue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ublic property developments.
      The main results based on the ca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public entrusted development, it is the most necessary to provide clear rules on appropriate cost recovery for public trustee. Second, under the reliant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developer, the private participation development through sale or leasehold of LGP can also be an execution alternative for vest expenses policy projects. In this case, local governments’ clear visions and goals for public property use direction are the fundamental conditions. The various supports for private developments’ performance are also required. And the last, in both approache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rational and reasonable development plan based on pre-demand diagnostics and strategies attracting tenants for cost-recovery risks minim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재생사업과 같은 정책사업이 추진되면서 공유재산의 유효활용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공공 수탁기관 및 민간시행자가 각각 참여한 공유재산 개발 사례를 분석하여 유효활용 개발 촉진을 위한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탁개발기관의 적기 개발비용 회수를 위한 명확한 규정의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지자체와민간시행자 간의 신뢰할 만한 협업이 전제된다면, 공유재산의 매각이나 임대를 통한 민간참여 개발방식은 대규모 비용의 정책사업 실행을 위한 대안이 될수 있다. 이 경우 공유재산 활용방향에 대한 지자체의 명확한 비전과 목표가 전제되어야 한다. 민간시행자의 사업 실행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지원도 필요하다. 끝으로 두 가지 접근방식 모두 비용회수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 수요 진단 및 키 테넌트 유치 전략을 토대로 합리적이고 타당한 개발계획 수립이 중요하다.
      번역하기

      도시재생사업과 같은 정책사업이 추진되면서 공유재산의 유효활용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공공 수탁기관 및 민간시행자가 각각 참여한 공유재산 개발 사례를 분석하여 유효활...

      도시재생사업과 같은 정책사업이 추진되면서 공유재산의 유효활용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공공 수탁기관 및 민간시행자가 각각 참여한 공유재산 개발 사례를 분석하여 유효활용 개발 촉진을 위한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탁개발기관의 적기 개발비용 회수를 위한 명확한 규정의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지자체와민간시행자 간의 신뢰할 만한 협업이 전제된다면, 공유재산의 매각이나 임대를 통한 민간참여 개발방식은 대규모 비용의 정책사업 실행을 위한 대안이 될수 있다. 이 경우 공유재산 활용방향에 대한 지자체의 명확한 비전과 목표가 전제되어야 한다. 민간시행자의 사업 실행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지원도 필요하다. 끝으로 두 가지 접근방식 모두 비용회수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 수요 진단 및 키 테넌트 유치 전략을 토대로 합리적이고 타당한 개발계획 수립이 중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준우, "장기토지임대방식을 통한 국유지 활용 증진방안" 1 (1): 5-22, 2015

      2 김윤중, "시유지 개발사업의 민간자본 활용방안연구" SH공사 도시연구소 2014

      3 김주진, "도시재생사업의 공유지 활용 개발방식 유형별특성과 시사점" 19-41, 2015

      4 지대식, "국・공유재산 관리체계의 효율화 방안 연구" 감사원・재정경제부 2004

      5 서수정, "국유지 개발 활성화 방안 연구" 기획재정부 2014

      6 최순영, "국유재산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활용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13

      7 이준우, "국유재산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기획재정부 2009

      8 김진, "국공유지 필지 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36-145, 2015

      9 이준우, "국공유지 신탁법제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6

      10 장재일, "국공유지 무상양도를 활용한 재개발사업의 공공지원 방안"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8 (18): 83-106, 2012

      1 전준우, "장기토지임대방식을 통한 국유지 활용 증진방안" 1 (1): 5-22, 2015

      2 김윤중, "시유지 개발사업의 민간자본 활용방안연구" SH공사 도시연구소 2014

      3 김주진, "도시재생사업의 공유지 활용 개발방식 유형별특성과 시사점" 19-41, 2015

      4 지대식, "국・공유재산 관리체계의 효율화 방안 연구" 감사원・재정경제부 2004

      5 서수정, "국유지 개발 활성화 방안 연구" 기획재정부 2014

      6 최순영, "국유재산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활용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13

      7 이준우, "국유재산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기획재정부 2009

      8 김진, "국공유지 필지 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36-145, 2015

      9 이준우, "국공유지 신탁법제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6

      10 장재일, "국공유지 무상양도를 활용한 재개발사업의 공공지원 방안"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8 (18): 83-106, 2012

      11 김주진, "공유지를 활용한 LH 도시재생 추진 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2016

      12 안전행정부, "공유재산 업무편람" 안전행정부 2014

      13 서울특별시, "공공토지자원의 체계적 관리 및 활용방안" 서울특별시 2013

      14 오준걸, "공공주체에 의한 국내 유휴공간의 공공적 재생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자산관리공사의 국유지 위탁 시범 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3005-3012, 2013

      15 배병일, "경상북도 공유재산 관리의 합리화 방안" 경상북도・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6-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토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5 1.2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