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대구시 산단지역 대기 중 SPM과 유해중금속성분의 농도 = Concentrations of SPM and Ambient Hazardous Heavy Metals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548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regional and seasonal concentrations of ambient hazardous heavy metals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Methods: A total of 64 SPM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amples were collected in non-industrial and industrial areas during 2014 and were analyzed for hazardous heavy metals elements (As, Cd, Mn, Ni, Pb) with ICP after acid extraction. Results: SPM and hazardous heavy metals concentrations showed regional (industrial complex area>non-industrial complex area) and seasonal (spring, winter>fall, summer) variations. All of the hazardous heavy metals were influenced by anthropogenic sources. The pollution index of hazardous heavy metals was very low, showing roughly one-quarter of the level of the air quality guidelines of WHO.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SPM and hazardous heavy metals indicated that components of non-industrial complex areas were more related to each other than those of industrial complex areas, and the correlation in the winter was higher than in other season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trol air pollution sources and establish related policy because hazardous heavy metals from industrial areas can influence residential areas.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regional and seasonal concentrations of ambient hazardous heavy metals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Methods: A total of 64 SPM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amples were collected in non-industrial...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regional and seasonal concentrations of ambient hazardous heavy metals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Methods: A total of 64 SPM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amples were collected in non-industrial and industrial areas during 2014 and were analyzed for hazardous heavy metals elements (As, Cd, Mn, Ni, Pb) with ICP after acid extraction. Results: SPM and hazardous heavy metals concentrations showed regional (industrial complex area>non-industrial complex area) and seasonal (spring, winter>fall, summer) variations. All of the hazardous heavy metals were influenced by anthropogenic sources. The pollution index of hazardous heavy metals was very low, showing roughly one-quarter of the level of the air quality guidelines of WHO.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SPM and hazardous heavy metals indicated that components of non-industrial complex areas were more related to each other than those of industrial complex areas, and the correlation in the winter was higher than in other season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trol air pollution sources and establish related policy because hazardous heavy metals from industrial areas can influence residential area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희봉, "대형유통업소주차장의 축적먼지 중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4 (34): 168-176, 2012

      2 송희봉, "대구지역 학교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29 (29): 1390-1399, 2007

      3 송희봉, "대구지역 축적먼지 중 미량원소성분의 시설별 및 지역별 농도분포" 대한환경공학회 32 (32): 287-295, 2010

      4 이찬형, "대구지역 총 부유분진증 중금속" 한국환경보건학회 29 (29): 67-73, 2003

      5 도화석, "대구지역 지하철역사 공기여과필터 포집먼지에 함유된 중금속성분의 특성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1 (31): 42-50, 2009

      6 도화석, "대구지역 일반주택의 축적먼지 중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2 (32): 69-78, 2010

      7 송희봉, "대구지역 도로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과 오염원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29 (29): 793-800, 2007

      8 김은경, "대구시 산단지역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 대한환경공학회 36 (36): 498-505, 2014

      9 배건호, "공동주택 주차장의 축적먼지 중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3 (33): 756-766, 2011

      10 "WEST DAEGU INDUSTRIAL COMPLEX ASSOCIATION"

      1 송희봉, "대형유통업소주차장의 축적먼지 중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4 (34): 168-176, 2012

      2 송희봉, "대구지역 학교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29 (29): 1390-1399, 2007

      3 송희봉, "대구지역 축적먼지 중 미량원소성분의 시설별 및 지역별 농도분포" 대한환경공학회 32 (32): 287-295, 2010

      4 이찬형, "대구지역 총 부유분진증 중금속" 한국환경보건학회 29 (29): 67-73, 2003

      5 도화석, "대구지역 지하철역사 공기여과필터 포집먼지에 함유된 중금속성분의 특성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1 (31): 42-50, 2009

      6 도화석, "대구지역 일반주택의 축적먼지 중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2 (32): 69-78, 2010

      7 송희봉, "대구지역 도로먼지에 함유된 미량원소성분과 오염원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29 (29): 793-800, 2007

      8 김은경, "대구시 산단지역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 대한환경공학회 36 (36): 498-505, 2014

      9 배건호, "공동주택 주차장의 축적먼지 중 미량원소성분 분석과 오염원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33 (33): 756-766, 2011

      10 "WEST DAEGU INDUSTRIAL COMPLEX ASSOCIATION"

      11 Watson JG., "Transections receptor models in air resources management" 491-, 1988

      12 Taylor SR,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Sci 46-47, 1985

      13 Rahn KA., "Sources of trace elements in aerosols-an approach to clean air" University of Michigan 1971

      14 Choi SW, "Sourc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trace metals in Daegu area" 16 (16): 469-476, 2000

      15 Han Y, "Multivariate analysi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urban dusts of Xi'an, Central Ch" 355 : 176-186, 2006

      16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17 "Maeil Newspaper"

      18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19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Home page"

      20 "DAEGU DYEING INDUSTRIAL CENTER"

      21 "DAEGU 3RD INDUSTRIAL COMPLEX"

      22 WHO., "Air Quality Guidelines for Europe"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KCI등재
      2005-06-02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위생학회 -> 한국환경보건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 0.60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