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시민운동 위기론의 실제와 허구  :  언론보도 내용을 중심으로 = The Reality and Fiction of Crisis Discourse in the Korean Civic Activ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483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에서 시민운동 위기론이 2000년 총선시민연대의 활동 이후 본격화된 이래, 오늘날 시민운동의 위기론이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위기론은 시민운동을 이끌어가는 시민단체의 내부보다는 언론에서 활발하게 제기되었다. 이 글은 언론에 보도된 한국 시민운동 위기론이 실제로 무엇을 담고 있고 그 안에 어떤 허구가 내장되어 있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위기라는 개념이 갖는 특성에 주목하여 시민운동의 위기에 대한 개념틀을 조직운영적 관점에서 구성한 다음, 1994년 1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약 14년 동안 2만여 건의 신문보도 중에서 기사 및 사설 제목에 시민운동 위기와 관련된 230여 건의 기사를 추출하였다. 이 중에서 시민운동 위기에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고 판단되는 38건의 보도기사를 추출하고 복수로 보도된 내용을 포함하여 52건의 의미 있는 위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부는 시민운동의 위기와 관련하여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대부분 정확하게 위기를 보도하고 있지
      않거나 위기라고 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다. 따라서 주로 언론보도를 통해 확산된 한국 시민운동의 위기론은 최소한 조직운영적 관점에서는 신문의 과장보도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한국사회에서 시민운동 위기론이 2000년 총선시민연대의 활동 이후 본격화된 이래, 오늘날 시민운동의 위기론이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위기론은 시민운동을 이끌어가는 ...

      한국사회에서 시민운동 위기론이 2000년 총선시민연대의 활동 이후 본격화된 이래, 오늘날 시민운동의 위기론이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위기론은 시민운동을 이끌어가는 시민단체의 내부보다는 언론에서 활발하게 제기되었다. 이 글은 언론에 보도된 한국 시민운동 위기론이 실제로 무엇을 담고 있고 그 안에 어떤 허구가 내장되어 있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위기라는 개념이 갖는 특성에 주목하여 시민운동의 위기에 대한 개념틀을 조직운영적 관점에서 구성한 다음, 1994년 1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약 14년 동안 2만여 건의 신문보도 중에서 기사 및 사설 제목에 시민운동 위기와 관련된 230여 건의 기사를 추출하였다. 이 중에서 시민운동 위기에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고 판단되는 38건의 보도기사를 추출하고 복수로 보도된 내용을 포함하여 52건의 의미 있는 위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부는 시민운동의 위기와 관련하여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대부분 정확하게 위기를 보도하고 있지
      않거나 위기라고 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다. 따라서 주로 언론보도를 통해 확산된 한국 시민운동의 위기론은 최소한 조직운영적 관점에서는 신문의 과장보도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the crisis discourse of civic activism is widespread in Korea, which has increased after the CAGE(Civil Actions for General Election) in 2000. It is peculiar in Korea that the crisis discourse of civic activism is presented by the press, especially the newspaper, rather than NGOs(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which lead civic activism.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ty and fiction of the crisis discourse of civic activism presented by the newspaper in Korea. To attain this research purpose, a conceptual framework of civic activism crisis was constructed in a viewpoint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bout 230 articles were extracted, which were expressed as civic activism crisis in the newspaper title, from 1994 to February 2008. Of 230 articles, 38 articles were related to the civic activism crisis on a prescribed scale. A qualitative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52 contents which were classified plurally from the 38 articles.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a part of the contents wa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civic activism crisis, but a great part of them did not reach the crisis either in accuracy or in level. Therefore, the crisis discourse of civic activism spread by the press in Korea was exaggerated at least in the viewpoint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This instructs us that the newspaper can build a frame of civic activism crisis cognition by producing discourse of a special ideology over a long period.
      번역하기

      Today, the crisis discourse of civic activism is widespread in Korea, which has increased after the CAGE(Civil Actions for General Election) in 2000. It is peculiar in Korea that the crisis discourse of civic activism is presented by the press, especi...

      Today, the crisis discourse of civic activism is widespread in Korea, which has increased after the CAGE(Civil Actions for General Election) in 2000. It is peculiar in Korea that the crisis discourse of civic activism is presented by the press, especially the newspaper, rather than NGOs(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which lead civic activism.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ty and fiction of the crisis discourse of civic activism presented by the newspaper in Korea. To attain this research purpose, a conceptual framework of civic activism crisis was constructed in a viewpoint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bout 230 articles were extracted, which were expressed as civic activism crisis in the newspaper title, from 1994 to February 2008. Of 230 articles, 38 articles were related to the civic activism crisis on a prescribed scale. A qualitative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52 contents which were classified plurally from the 38 articles.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a part of the contents wa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civic activism crisis, but a great part of them did not reach the crisis either in accuracy or in level. Therefore, the crisis discourse of civic activism spread by the press in Korea was exaggerated at least in the viewpoint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This instructs us that the newspaper can build a frame of civic activism crisis cognition by producing discourse of a special ideology over a long peri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머리말
      • II. 한국 시민운동의 위기론
      • III. 한국 시민운동 위기론의 본질
      • IV. 맺음말
      • 초록
      • I. 머리말
      • II. 한국 시민운동의 위기론
      • III. 한국 시민운동 위기론의 본질
      • IV. 맺음말
      • 초록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