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외교포 대상 솔리언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재미교포 청소년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the Solian Peer Counseling Program for Korean Youth Living Abroa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3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olian Peer Counseling program for Korean youth living abroad' based on the model of 'Solian Peer Counseling Program for Korean students' to reduce cultural stresses of Korean youth living abroad, and increase their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skills. Precedent studies performed in and outside Korea on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issues of Korean youth living abroad, and other peer counseling programs were examined. In addition, focus-group interviews and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rofessionals who have experiences of working with Korean youth living abroad.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precedent researches and interview analyses, the program has divided into three parts which include the three roles of peer counselors - Friendship, Counselorship, and Leadership.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t was implemented to 20 adolescents, and the assessment tool was given to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measure interpersonal skills, bi-cultural self-efficacy, and multi-cultural ability. After its test operation, participant evaluation was also conduct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and it was reported that scores for all three areas - interpersonal skills, self-efficacy and multi-cultural identity - have increased. For program evaluation, 75% of participants showed general satisfaction and more than 90% answered that they would recommend the program to others. At last,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program, and proposes for further researc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olian Peer Counseling program for Korean youth living abroad' based on the model of 'Solian Peer Counseling Program for Korean students' to reduce cultural stresses of Korean youth living abroad, and inc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olian Peer Counseling program for Korean youth living abroad' based on the model of 'Solian Peer Counseling Program for Korean students' to reduce cultural stresses of Korean youth living abroad, and increase their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skills. Precedent studies performed in and outside Korea on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issues of Korean youth living abroad, and other peer counseling programs were examined. In addition, focus-group interviews and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rofessionals who have experiences of working with Korean youth living abroad.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precedent researches and interview analyses, the program has divided into three parts which include the three roles of peer counselors - Friendship, Counselorship, and Leadership.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t was implemented to 20 adolescents, and the assessment tool was given to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measure interpersonal skills, bi-cultural self-efficacy, and multi-cultural ability. After its test operation, participant evaluation was also conduct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and it was reported that scores for all three areas - interpersonal skills, self-efficacy and multi-cultural identity - have increased. For program evaluation, 75% of participants showed general satisfaction and more than 90% answered that they would recommend the program to others. At last,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program, and proposes for further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교포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를 돕기 위해 이들의 문화적응 스트 레스를 줄이고, 다문화적 역량을 키우기 위한 또래상담 역할모형에 기반을 둔 해외교포 대상 솔리언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교포 청소년의 특성 및 심리적 문제, 또래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고, 해외교포 청소년 및 이들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GI)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및 인터뷰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구성요 소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총 '다가가는 친구되기(Friendship)', '대화하는 친구되기 (Fellowship)', '도와주는 친구되기(Leadership)'의 3단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 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미국에 거주 중인 해외교포 청소년 2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을 시범운영하였다. 시범운영 실시 전후로 참여 청소년과 통제집단에 포함된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능력, 자기효능감, 다문화 정체성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프로그램 참 여 청소년들에게는 참여자 관점 평가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 다. 수집한 자료를 독립표본 t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 프로그 램에 참여한 청소년의 대인관계 능력, 자기효능감, 다문화 정체성 점수가 프로그램운영 이전보다 이후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참여자 관점 평가 분석에서도 참여자들의 75% 이상이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며, 90% 이상이 다른 청소년들에게 추천하고 싶다고 밝혀져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프로그램의 의의와 한 계점을 논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교포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를 돕기 위해 이들의 문화적응 스트 레스를 줄이고, 다문화적 역량을 키우기 위한 또래상담 역할모형에 기반을 둔 해외교포 대상 솔리언...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교포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를 돕기 위해 이들의 문화적응 스트 레스를 줄이고, 다문화적 역량을 키우기 위한 또래상담 역할모형에 기반을 둔 해외교포 대상 솔리언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교포 청소년의 특성 및 심리적 문제, 또래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고, 해외교포 청소년 및 이들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GI)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및 인터뷰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구성요 소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총 '다가가는 친구되기(Friendship)', '대화하는 친구되기 (Fellowship)', '도와주는 친구되기(Leadership)'의 3단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 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미국에 거주 중인 해외교포 청소년 2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을 시범운영하였다. 시범운영 실시 전후로 참여 청소년과 통제집단에 포함된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능력, 자기효능감, 다문화 정체성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프로그램 참 여 청소년들에게는 참여자 관점 평가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 다. 수집한 자료를 독립표본 t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 프로그 램에 참여한 청소년의 대인관계 능력, 자기효능감, 다문화 정체성 점수가 프로그램운영 이전보다 이후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참여자 관점 평가 분석에서도 참여자들의 75% 이상이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며, 90% 이상이 다른 청소년들에게 추천하고 싶다고 밝혀져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프로그램의 의의와 한 계점을 논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