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생교육법」 개정에 따른 장애인평생교육과 직업재활 연계방안 = Exploratory Research on the Linkage betwee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under the Lifelong Education Act Revis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125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tried to understand role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mong revised lifelong education act and to search how rehabilitation counselor attend to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nnect. And this article reviewed literatures on significance of act revision and carried out FGI with seven experts. The result was as follows as.
      First, responsibility of nation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emphasized after act revision and was extended. Second, the roles of national lifelong educational promotion cent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reinforced and extended possibility of attendance and connection.
      Third, the result of deep interview between experts appeared as necessity of reestablishment about concept. lifelong education support necessity by disability area, restructure and support of work and methods exploration for coexistence. In conclusion, the methods for coexistence are need because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essential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번역하기

      This article tried to understand role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mong revised lifelong education act and to search how rehabilitation counselor attend to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nnect...

      This article tried to understand role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mong revised lifelong education act and to search how rehabilitation counselor attend to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nnect. And this article reviewed literatures on significance of act revision and carried out FGI with seven experts. The result was as follows as.
      First, responsibility of nation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emphasized after act revision and was extended. Second, the roles of national lifelong educational promotion cent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reinforced and extended possibility of attendance and connection.
      Third, the result of deep interview between experts appeared as necessity of reestablishment about concept. lifelong education support necessity by disability area, restructure and support of work and methods exploration for coexistence. In conclusion, the methods for coexistence are need because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essential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법」개정에 따라 확대된 장애인평생교육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장애인 재활상담사의 역할과 직무영역을 살펴봄으로서 장애인 재활상담사가 장애인평생교육 분야에 어떻게 참여하고 또 연계해 갈 것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법개정의 의의에 대한 문헌고찰과함께 장애인평생교육 및 직업재활 전문가 7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법 개정이후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국가의 책무성이 강조되었고 이에 따라 장애인평생교육의 역할이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법개정으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역할이 강화되었고 전문인력제공이란 측면에서 직업재활영역과 연계할 때 교육적 성과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셋째, 전문가 간 심층면담을 통해 나타난 연계방안은 개념에 대한 재정립의 필요성, 장애영역별 평생교육지원 요구, 업무의 재구성과 지원의 필요, 상생하기 위한 방안 찾기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애인평생교육과 직업재활은 장애인의 성인기 삶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인력배치문제나운영측면에서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개념재정립과 함께 서로의 영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토대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법」개정에 따라 확대된 장애인평생교육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장애인 재활상담사의 역할과 직무영역을 살펴봄으로서 장애인 재활상담사가 장애인평생교육...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법」개정에 따라 확대된 장애인평생교육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장애인 재활상담사의 역할과 직무영역을 살펴봄으로서 장애인 재활상담사가 장애인평생교육 분야에 어떻게 참여하고 또 연계해 갈 것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법개정의 의의에 대한 문헌고찰과함께 장애인평생교육 및 직업재활 전문가 7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법 개정이후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국가의 책무성이 강조되었고 이에 따라 장애인평생교육의 역할이 강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법개정으로 국가장애인평생교육진흥센터의 역할이 강화되었고 전문인력제공이란 측면에서 직업재활영역과 연계할 때 교육적 성과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셋째, 전문가 간 심층면담을 통해 나타난 연계방안은 개념에 대한 재정립의 필요성, 장애영역별 평생교육지원 요구, 업무의 재구성과 지원의 필요, 상생하기 위한 방안 찾기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애인평생교육과 직업재활은 장애인의 성인기 삶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인력배치문제나운영측면에서 장애인평생교육에 대한 개념재정립과 함께 서로의 영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토대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순, "직업재활사 직무특성에 따른 보수교육의 참여와 만족도 결정요인" 한국직업재활학회 27 (27): 21-41, 2017

      2 김성진, "직업재활 전문성과 직무특성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장애인복지관 관리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20 (20): 1-19, 2010

      3 정연수, "전환서비스 기반 발달장애성인평생교육 운영경험 연구: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28 (28): 1-27, 2018

      4 조인수, "전환교육서비스 실행 기초형성 철학적 배경 함의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75-208, 2014

      5 나운환, "장애인재활상담사 자격제도 도입방안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7 (27): 107-132, 2017

      6 김두영,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7 강순원, "장애성인 평생교육: 배제에서 포용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55-84, 2013

      8 Kim, J. Y., "Understand of lifelong education and basic course of program operation: Understand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and related laws"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1-27, 2018

      9 Na, W. H., "Job analysis resul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question standard of national examination" 11-31, 2017

      10 Kang, W. Y., "Introdu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Nanumuijip Publisher 2009

      1 박경순, "직업재활사 직무특성에 따른 보수교육의 참여와 만족도 결정요인" 한국직업재활학회 27 (27): 21-41, 2017

      2 김성진, "직업재활 전문성과 직무특성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장애인복지관 관리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20 (20): 1-19, 2010

      3 정연수, "전환서비스 기반 발달장애성인평생교육 운영경험 연구: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28 (28): 1-27, 2018

      4 조인수, "전환교육서비스 실행 기초형성 철학적 배경 함의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75-208, 2014

      5 나운환, "장애인재활상담사 자격제도 도입방안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7 (27): 107-132, 2017

      6 김두영,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7 강순원, "장애성인 평생교육: 배제에서 포용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55-84, 2013

      8 Kim, J. Y., "Understand of lifelong education and basic course of program operation: Understand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and related laws"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1-27, 2018

      9 Na, W. H., "Job analysis resul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question standard of national examination" 11-31, 2017

      10 Kang, W. Y., "Introdu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Nanumuijip Publisher 2009

      11 Han, J. S., "Homo-Eruditio" Hakjisa 2002

      12 이승욱, "DACUM법을 이용한 산재장애인 재활상담사 직무분석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8 (18): 137-158, 2008

      13 Lee, S. J., "Consideration for activation of revised lifelong educationa act and lifelong education operation of disabled welfare center" 4 (4): 31-64, 2017

      14 Lengrand, P., "An introduction to lifelong education" The UNESCO Press 1970

      15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 study on the status for improvement of lifelong education right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016

      16 National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National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9-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Rehabilitation of Persons Disabilies ->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with RI Korea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Mycobiology -> 재활복지
      외국어명 : Mycobiology ->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7 1.53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