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유교 가족주의의 이중성 = 파벌과 권위주의의 유가(儒家)적 기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447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가전통(儒家傳統)과 유가정치사상(儒家政治思想)은 한국정치 후진성의 원인으로 줄곧 지목된다. 이 통념에서 주로 지적되는 폐단은 유가적 정치원리가 가족적 질서를 국가 영역으로 확�...

      유가전통(儒家傳統)과 유가정치사상(儒家政治思想)은 한국정치 후진성의 원인으로 줄곧 지목된다. 이 통념에서 주로 지적되는 폐단은 유가적 정치원리가 가족적 질서를 국가 영역으로 확대·적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공공 영역 확립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이는 소위 “유교 가족주의”의 폐단이다. 본고는 이 폐단이 나올 수밖에 없는 그 사상 내적인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특히 그 문제점이 파벌과 권위주의의 중첩에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유교 가족주의의 이중성”이라고 편의상 명명한다. 본고가 주목하는 요인은 유가정치사상의 특징 중 하나인 “의제(擬制)적 확대”이다. 이 기제가 유가전통의 두 중핵인 인(仁)과 의(義)에 연관되어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봄으로써, 파벌과 권위주의의 유교 내적 원인에 좀 더 체계적으로 접근한다. 이를 바탕으로 그 폐단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유가정치사상에 이미 내재하는지, 그리고 만일 내재한다면 어떤 한계를 노정하는지도 또한 고찰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fucian tradition and Confucian political thought have constantly been criticized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political backwardnes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is widely shared opinion, the Confucian political principle has ...

      The Confucian tradition and Confucian political thought have constantly been criticized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political backwardnes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is widely shared opinion, the Confucian political principle has disturbed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domain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s well as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by expanding and applying the family order to the national realm.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nal mechanism of Confucian political thought that inevitably causes such negative effects.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whether any internal mechanism that enables Confucian political thought to overcome its own problem is already inherent in the thought, and, if there is any such internal mechanism, what limitations it is originally exposed to. In particular, this paper understands the main problem caused by Confucian familism in terms of the overlapping of factionalism and authoritarianism. This will be called “the duplicity of Confucian familism,” for convenience. This paper attempts to argue that the overlapping of factionalism and authoritarianism is caused by the ill-function of “fictitious extension” in relation to the two core principles of Confucian political thought, namely ren (仁) and yi (義).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도입: 전근대성의 온상, 유교전통
      • 2. 유교 가족주의의 메커니즘: 의제(擬制)적 확대
      • 3. 의제적 확대의 두 문제적 양상: 파벌과 권위주의적 지배체제의 확장
      • 4. 유가(儒家)의 두 원칙, 인(仁)과 의(義)
      • 【요약문】
      • 1. 도입: 전근대성의 온상, 유교전통
      • 2. 유교 가족주의의 메커니즘: 의제(擬制)적 확대
      • 3. 의제적 확대의 두 문제적 양상: 파벌과 권위주의적 지배체제의 확장
      • 4. 유가(儒家)의 두 원칙, 인(仁)과 의(義)
      • 5. 의(義), 의제적 확대, 그리고 권위주의적 지배체제의 확장
      • 6. 인(仁), 의제적 확대, 그리고 파벌
      • 7. 유교 가족주의의 이중성과 그 내재적 극복의 기제
      • 8. 나오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정희, "한국정치문화에 나타난 유교적 요소" 21 (21): 2000

      2 김부태, "한국 학력ㆍ학벌 연구의 사적 고찰: 1980~2007"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77-109, 2014

      3 이황직, "한국 사회의 가족주의: 개념 설정 및 개념사 연구" 한국사회이론학회 22 : 11-, 2002

      4 장현섭, "한국 근현대 가족의 재조명" 문학과 지성사 1993

      5 권용혁, "한국 가족, 철학으로 바라보다" 이학사 2012

      6 최홍기, "한국 가족 및 친족제도의 이해-전통과 현대의 변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7 이승환, "한국 ‘家族主義’의 의미와 기원, 그리고 변화가능성" 한국유교학회 (20) : 45-66, 2004

      8 김상봉, "학벌사회" 한길사 2004

      9 안외순, "중화주의 형성원리와 특성" (11) : 2004

      10 박병석, "중국 고대 유가의 ‘민’ 관념: 정치의 주체인가 대상인가?"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3 (13): 1-80, 2014

      1 전정희, "한국정치문화에 나타난 유교적 요소" 21 (21): 2000

      2 김부태, "한국 학력ㆍ학벌 연구의 사적 고찰: 1980~2007"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77-109, 2014

      3 이황직, "한국 사회의 가족주의: 개념 설정 및 개념사 연구" 한국사회이론학회 22 : 11-, 2002

      4 장현섭, "한국 근현대 가족의 재조명" 문학과 지성사 1993

      5 권용혁, "한국 가족, 철학으로 바라보다" 이학사 2012

      6 최홍기, "한국 가족 및 친족제도의 이해-전통과 현대의 변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7 이승환, "한국 ‘家族主義’의 의미와 기원, 그리고 변화가능성" 한국유교학회 (20) : 45-66, 2004

      8 김상봉, "학벌사회" 한길사 2004

      9 안외순, "중화주의 형성원리와 특성" (11) : 2004

      10 박병석, "중국 고대 유가의 ‘민’ 관념: 정치의 주체인가 대상인가?"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3 (13): 1-80, 2014

      11 강광식, "조선조 붕당정치문화의 구조와 기능" 13 (13): 1990

      12 박현모, "조선왕조의 장기지속성 요인연구1: 공론정치를 중심으로" 30 (30): 1-, 2004

      13 최봉영, "조선시대 유교 문화" 사계절 1997

      14 이봉규, "인륜 : 쟁탈성 해소를 위한 유교적 구성" 태동고전연구소 31 : 109-153, 2013

      15 막스 베버, "유교와 도교" 문예출판사 1990

      16 김도일, "유가(儒家)의 존(尊)과 사양(辭讓) : 『순자(荀子)』를 중심으로" 한국동양철학회 (38) : 1-24, 2012

      17 장경섭, "열린가족, 공공 가족" 열화당 (5) : 2000

      18 김도일, "순자(荀子)에서의 의(義), 리(理), 그리고 존(尊)" 한국동양철학회 (35) : 203-231, 2011

      19 강광식, "붕당정치와 조선조 유교정치체제의지배구조 변동양상 : 지배연합의 변동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4 (24): 101-136, 2009

      20 박성환, "막스 베버의 한국사회론: 유교적 가산제 비판" 울산대 출판부 1999

      21 "논어(論語)"

      22 이봉규, "규범의 근거로서 혈연적 연대와, 신분의 구분에 대한 古代儒家의 인식" 10 : 10-, 1993

      23 전 목(錢穆), "국사대강(國史大綱)" 대만상무인서관 1960

      24 신정근, "공자의 인문주의 국가" 44 : 2001

      25 김희강, "공공성, 사회집단, 그리고 심의민주주의" 한국정치학회 44 (44): 5-27, 2010

      26 로타 본 팔켄하우젠, "고고학 증거로 본 공자시대 중국사회" 세창출판사 2011

      27 장경섭, "가족이념의 우발적 다원성: 압축적 근대성과 한국가족" 24 (24): 2001

      28 우에노 치즈코,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녹두 1994

      29 李滌生, "荀子集釋" 대만학생서국 1979

      30 김철운, "孟子의 用夏變夷說" 한국중국학회 (72) : 293-310, 2015

      31 楊伯峻, "孟子譯註" 중화서국 1996

      32 윤무학, "先秦 儒家의 君臣倫理와 “忠” 觀念" 동양철학연구회 (48) : 251-279, 2006

      33 김도일, "先秦 儒家의 仁의 확장과 그 혈연적 기초에 대하여" 한국중국학회 (73) : 447-462, 2015

      34 오가타 이사무(尾形勇)., "中国古代的 “家”与国家" 길림문사출판사 1992

      35 김도일, "Four Types of Moral Extension in Mencius" 유교문화연구소 (29) : 1-19, 2018

      36 배병삼, "(우리에게)유교란 무엇인가" 녹색평론사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기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PSOPHY -> CHEOLHAK: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6 학술지등록 한글명 : 철학
      외국어명 : PHILPSOPH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1.181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