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아도르노와 반지성주의에 관한 성찰 = 민주주의와 지성의 상관성 물음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447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진리와 비진리가 구분되지 않는 오늘날의 ‘탈-사실’과 ‘페이크 뉴스’의 시대, 과연 어떠한 지성과 계몽의 역할이 필요한지, 이를 통해 어떠한 민주주의적 정치공동체와 대중...

      본 논문은 진리와 비진리가 구분되지 않는 오늘날의 ‘탈-사실’과 ‘페이크 뉴스’의 시대, 과연 어떠한 지성과 계몽의 역할이 필요한지, 이를 통해 어떠한 민주주의적 정치공동체와 대중지성의 상관성이 필요한지를 논하기 위해아도르노의 반지성주의 비판을 분석한다. 이 글은 근대적 계몽 기획이 어째서 반지성주의라는 역설적 귀결로 전도되었는가를 고찰하며, 이러한 반지성주의가 어째서 민주주의의 위협이 되는가, 대중지성의 창출을 위한 지식인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검토한다. 지식인의 역할은 민주적 정치공동체의 창출조건인 사회의 지성화, 그리고 대중의 주권자로서 주체화 과정을 위한 ‘사라지는 매개자’가 되는 일이다. 이 글은 반지성주의 비판이 바로 그러한 대중지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민주주의의 성장을 위해 이 매개자로서의 지식인이 수행해야 할 역할이라고 주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quires into which role of the enlightenment is needed in the epoch of the ‘post-truth’ and ‘fake news’. From this effo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cratic political community and the public intellect will be discussed. Fo...

      This article inquires into which role of the enlightenment is needed in the epoch of the ‘post-truth’ and ‘fake news’. From this effo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cratic political community and the public intellect will be discussed. For this discussion, it will be analysed why the modern project of the enlightenment was inverted to the paradoxical result of the anti-intellectualism, by adopting Adorno’s critique of it. From this view, it will be insisted that the critique of the anti-intellectualism is one of the important roles which the intellectuals as ‘vanishing mediators’ should implement for the collective intellect and the development of the democracy which relies on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들어가며: 오늘날의 반지성주의
      • 2. 총체화된 계몽: 지식과 권력의 결합
      • 3. 반지성주의와 순응주의: 비판의 기능상실
      • 4. 민주적 계몽과 대중지성
      • 【요약문】
      • 1. 들어가며: 오늘날의 반지성주의
      • 2. 총체화된 계몽: 지식과 권력의 결합
      • 3. 반지성주의와 순응주의: 비판의 기능상실
      • 4. 민주적 계몽과 대중지성
      • 5. 최후의 시민: 지식인의 사회적 역할
      • 6. 나가며: 사회의 민주적 지성화를 위하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 폴 사르트르, "지식인을 위한 변명" 보성출판사 2003

      2 김누리, "아데나워 국가에서 아도르노 국가로- 프랑크푸르트학파와 서독의 국가 정체성"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1 (61): 307-337, 2014

      3 미셸 푸코, "비판이란 무엇인가/자기수양" 동녘 2016

      4 우치다 다츠루, "반지성주의를 말하다" 이마 2016

      5 리처드 호프스태터, "미국의 반지성주의" 교유서가 2017

      6 한상원, "‘아니오’라고 말하기 위한 용기: 아도르노와 칸트 계몽 이념의 급진화" 철학연구회 (114) : 81-104, 2016

      7 Adorno, Theodor, W., "Zur Bekämpfung des Antisemitismus heute. GS 20.1" 2003

      8 Kant, Immanuel, "Werkausgabe XI" 1977

      9 Adorno, Theodor, W., "Was bedeutet: Aufarbeitung der Vergangenheit. GS 10.2" 2003

      10 Adorno, Theodor, W., "Resignation GS 10.2" 2003

      1 장 폴 사르트르, "지식인을 위한 변명" 보성출판사 2003

      2 김누리, "아데나워 국가에서 아도르노 국가로- 프랑크푸르트학파와 서독의 국가 정체성"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1 (61): 307-337, 2014

      3 미셸 푸코, "비판이란 무엇인가/자기수양" 동녘 2016

      4 우치다 다츠루, "반지성주의를 말하다" 이마 2016

      5 리처드 호프스태터, "미국의 반지성주의" 교유서가 2017

      6 한상원, "‘아니오’라고 말하기 위한 용기: 아도르노와 칸트 계몽 이념의 급진화" 철학연구회 (114) : 81-104, 2016

      7 Adorno, Theodor, W., "Zur Bekämpfung des Antisemitismus heute. GS 20.1" 2003

      8 Kant, Immanuel, "Werkausgabe XI" 1977

      9 Adorno, Theodor, W., "Was bedeutet: Aufarbeitung der Vergangenheit. GS 10.2" 2003

      10 Adorno, Theodor, W., "Resignation GS 10.2" 2003

      11 Adorno, Theodor, W., "Probleme der Moralphilosophie. Nachgelassene Schriften IV.10" 2010

      12 Adorno, Theodor, W., "Negative Dialektik. GS 6" 1966

      13 Adorno, Theodor, W., "Minima Moralia. Reflexionen aus dem beschädigten Leben. Gesammelte Schriften (GS) Bd.4" 2003

      14 Adorno, Theodor, W., "Meinung Wahn Gesellschaft. GS 10.2" 2003

      15 Marx, Karl, "Marx-Engels-Werke Bd.1" 1976

      16 Adorno, Theodor, W., "Marginalien zu Theorie und Praxis. GS 10.2" 2003

      17 Adorno, Theodor, W., "Kritik. GS 10.2" 2003

      18 Adorno, Theodor, W., "Erziehung zur Mündigkeit. Vorträge und Gespräche mit Hellmut Becker 1959-1969" 1971

      19 Adorno, Theodor, W., "Erziehung nach Auschwitz. GS 10.2" 2003

      20 Wiggershaus, Rolf, "Die Frankfurter Schule. Geschichte, theoretische Entwicklung, politische Bedeutung" 2001

      21 Adorno, Theodor, W., "Dialektik der Aufklärung. Philosophische Fragmente. GS 3" 2003

      22 Demirović, Alex, "Der nonkonformistische Intellektuelle. Die Entwicklung der Kritischen Theorie zur Frankfurter Schule" 1999

      23 Adorno, Theodor, W., "Democratic Leadership and Mass Manipulation. GS 20.1" 2003

      24 Adorno, Theodor, W., "Anmerkung zum philosophischen Denken. GS 10.2"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기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PSOPHY -> CHEOLHAK: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6 학술지등록 한글명 : 철학
      외국어명 : PHILPSOPH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1.181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