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생활 균형의 철학과 가치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 The Philosophy and Value of Work-Life Bal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022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 관련 정책의 내용을 통해 그것의 함의와 한계를 고찰해 보고 진정 한 의미의 성평등한 일·생활균형을 위해서 어떠한 철학과 가치설정이 필요한지를 모색해 보기 위한 시론 격의 글이다. 일·생활균형의 철학과 가치는 일·생활 불균형을 발생시킨 지배적인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검토로부터 모색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먼저 일·가정양립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의 필요성에 대한 담론의 등장배 경과 성격을 살펴보고, 현재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 관련 정책의 내용을 통해 그 방향성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담론은 직장여성의 고용환경 및 고용구조의 개선을 위해서라기보다 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출현하였으며,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기담론의 핵심 은 생산인구의 감소, 부양인구의 증가로 인한 국가경쟁력 약화였다. 정부의 일·가정 양립정책과 가족친화환경조성제도는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양 육의 사회적 분담과 지원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그 내용과 방향성이 직장/가정, 공/사, 생산/재생산의 이분 법적 구도에서 후자를 고려하는 것 같지만 전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후자의 위기로 나타난 사회적 문제를 전자에 포섭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제도와 정책들이 여성의 고용불안정, 여성의 빈곤화, 성별분업구조를 해결하지 못한 채 일자리 창출, 양육 책임 일부의 사회화 형태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 정책은 생산중심, 남성중심의 패러다임에 기반해 있 다고 볼 수 있다. 고용불안정, 빈곤의 여성화,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의 성별분업적인 가족구조가 여전히 작동하는 한 일· 생활 균형은 요원한 일이며 남녀 모두 일 중심의 생활패턴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 일·생활불균형은 생산 및 남성중심적 패러다임으로 인한 재생산의 위기 및 여성의 전통적 성역할 및 지배패러다임의 거부로 발 생한 현상이다. 따라서 일·생활 균형을 실현하고 생산 및 남성중심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폄 하되어 있는 재생산의 가치 및 여성의 입장을 반영한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 관련 정책의 내용을 통해 그것의 함의와 한계를 고찰해 보고 진정 한 의미의 성평등한 일·생활균형을 위해서 어떠한 철학과 가치설정이 필요한지를 모�...

      이 글은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 관련 정책의 내용을 통해 그것의 함의와 한계를 고찰해 보고 진정 한 의미의 성평등한 일·생활균형을 위해서 어떠한 철학과 가치설정이 필요한지를 모색해 보기 위한 시론 격의 글이다. 일·생활균형의 철학과 가치는 일·생활 불균형을 발생시킨 지배적인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검토로부터 모색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먼저 일·가정양립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의 필요성에 대한 담론의 등장배 경과 성격을 살펴보고, 현재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 관련 정책의 내용을 통해 그 방향성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담론은 직장여성의 고용환경 및 고용구조의 개선을 위해서라기보다 는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출현하였으며,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기담론의 핵심 은 생산인구의 감소, 부양인구의 증가로 인한 국가경쟁력 약화였다. 정부의 일·가정 양립정책과 가족친화환경조성제도는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양 육의 사회적 분담과 지원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그 내용과 방향성이 직장/가정, 공/사, 생산/재생산의 이분 법적 구도에서 후자를 고려하는 것 같지만 전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후자의 위기로 나타난 사회적 문제를 전자에 포섭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제도와 정책들이 여성의 고용불안정, 여성의 빈곤화, 성별분업구조를 해결하지 못한 채 일자리 창출, 양육 책임 일부의 사회화 형태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일·가정 양립 및 가족친화 정책은 생산중심, 남성중심의 패러다임에 기반해 있 다고 볼 수 있다. 고용불안정, 빈곤의 여성화,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의 성별분업적인 가족구조가 여전히 작동하는 한 일· 생활 균형은 요원한 일이며 남녀 모두 일 중심의 생활패턴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 일·생활불균형은 생산 및 남성중심적 패러다임으로 인한 재생산의 위기 및 여성의 전통적 성역할 및 지배패러다임의 거부로 발 생한 현상이다. 따라서 일·생활 균형을 실현하고 생산 및 남성중심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폄 하되어 있는 재생산의 가치 및 여성의 입장을 반영한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n essay to examine what philosophy and value selection are required for a true equal gender tasks and balanced life while discuss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d family friendly policies. The philosophy and value of the work and life balance maintained the perspective that a critical review on the dominant paradigm that created the work and home imbalance needs to be sought first and this essay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cussion on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d the necessity of family friendly environment and also reviewed the direction and issues through the contents of current work and home dichotomy and family friendly policies.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 family friendly environment establishment discussion emerged as a response to the social crisis with the low birth rate and high elderly population, rather than as an improvement of the hiring conditions or hiring structures for the working women and the key of the crisis discussion in the low birth rate and high elderly population society was the reduction of producing population and increase of the dependent population, which may lead to the weakening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work and home dichotomy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the family friendly environment system promote the social distribution of childcare and support as a part of low birth rate remedy, which may seem as if they consider the latter in the dichotomy of work/home, public/private, and production/reproduction but rather focus on the former and continue to include the social issues from the latter crisis in the former. Such systems and policies are not able to resolve the instable employment of women, women in poverty, and unfair gender treatment and lead to the partial socialization of employment increase and childcare responsibility. In this perspective,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d the family friendly policy is based on the production-focused, masculine paradigm. As long as the instable employment, women in poverty and men as the breadwinner family structure continue to function, the balanced life is hard to achieve and both men and women need to maintain a work-focused life pattern. The work and life imbalance is a phenomenon that arose from the crisis in reproduction from production and male focused paradigm and the refusal of the traditional sex roles of women and dominant paradigm. Therefore, to realize the work and life balance and overcome the production and male centered trends, a switch to a paradigm that reflects the value of reproduction and the situation of the women that are relatively repressed.
      번역하기

      This is an essay to examine what philosophy and value selection are required for a true equal gender tasks and balanced life while discuss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d family friendly policies. The philosophy ...

      This is an essay to examine what philosophy and value selection are required for a true equal gender tasks and balanced life while discuss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d family friendly policies. The philosophy and value of the work and life balance maintained the perspective that a critical review on the dominant paradigm that created the work and home imbalance needs to be sought first and this essay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cussion on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d the necessity of family friendly environment and also reviewed the direction and issues through the contents of current work and home dichotomy and family friendly policies.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 family friendly environment establishment discussion emerged as a response to the social crisis with the low birth rate and high elderly population, rather than as an improvement of the hiring conditions or hiring structures for the working women and the key of the crisis discussion in the low birth rate and high elderly population society was the reduction of producing population and increase of the dependent population, which may lead to the weakening of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work and home dichotomy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the family friendly environment system promote the social distribution of childcare and support as a part of low birth rate remedy, which may seem as if they consider the latter in the dichotomy of work/home, public/private, and production/reproduction but rather focus on the former and continue to include the social issues from the latter crisis in the former. Such systems and policies are not able to resolve the instable employment of women, women in poverty, and unfair gender treatment and lead to the partial socialization of employment increase and childcare responsibility. In this perspective, the work and home dichotomy and the family friendly policy is based on the production-focused, masculine paradigm. As long as the instable employment, women in poverty and men as the breadwinner family structure continue to function, the balanced life is hard to achieve and both men and women need to maintain a work-focused life pattern. The work and life imbalance is a phenomenon that arose from the crisis in reproduction from production and male focused paradigm and the refusal of the traditional sex roles of women and dominant paradigm. Therefore, to realize the work and life balance and overcome the production and male centered trends, a switch to a paradigm that reflects the value of reproduction and the situation of the women that are relatively repress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