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수처리장 혐기 소화 상징액과 돈사폐수를 이용한 장기간에 걸친 실험실 규모 아질산화 반응 연구 = Long Term Operation of Laboratory Nitritation Reactor Using Anaerobic Digester Supernatant of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Piggery Wastewa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22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laboratory scale reactor was operated for high strength ammonium nitrogen in anaerobic digestion supernatant and piggery wastewater through nitritation that is an innovative process of nitrogen removal. From the laboratory scale reactor for about 970 days, a stable nitritation was induced, and the operation factor of induced was analysed nitritation. As a result, a stable nitritation could be successfully induced from anaerobic digestion supernatant and piggery wastewaters. It appeared that nitritation wasn't affected seriously within the range of pH, Alkalinity and COD in influent. In case of SRT, it found that nitrite conversion rate was changed according to SRT condition change, so it showed that SRT had effected on nitritation. In addition,compared to ammonium nitrogen removal, it clearly revealed that nitrite conversion rates more sensitive to SRT. The conclusion in this study, it could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when applying nitritation to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MWTPs).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laboratory scale reactor was operated for high strength ammonium nitrogen in anaerobic digestion supernatant and piggery wastewater through nitritation that is an innovative process of nitrogen removal. From the laboratory scale rea...

      In this study, the laboratory scale reactor was operated for high strength ammonium nitrogen in anaerobic digestion supernatant and piggery wastewater through nitritation that is an innovative process of nitrogen removal. From the laboratory scale reactor for about 970 days, a stable nitritation was induced, and the operation factor of induced was analysed nitritation. As a result, a stable nitritation could be successfully induced from anaerobic digestion supernatant and piggery wastewaters. It appeared that nitritation wasn't affected seriously within the range of pH, Alkalinity and COD in influent. In case of SRT, it found that nitrite conversion rate was changed according to SRT condition change, so it showed that SRT had effected on nitritation. In addition,compared to ammonium nitrogen removal, it clearly revealed that nitrite conversion rates more sensitive to SRT. The conclusion in this study, it could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when applying nitritation to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MWT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혁신적인 질소 제거 방법인 아질산화 반응을 통해 혐기 소화 상징액 및 돈사폐수에 함유된 고농도의 질소를제거하기 위한 실험실 규모 아질산화 반응조를 운전하였다. 약 970일의 장기간에 걸친 반응조 운전을 통하여 안정적인 아질산화 반응을 유도하고, 아질산화 반응의 유도 인자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혐기 소화 상징액 및 돈사폐수 모두 안정적인 아질산화 반응을 유도 할 수 있었다. 유입수의 pH, Alkalinity, COD 범위 내에서 아질산화 반응은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반면 SRT의 경우 그 변화에 따라 아질산화율이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SRT는 아질산화 반응에 큰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질산화 반응은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반응에 비해 SRT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하수처리장에 아질산화 반응을 적용 시킬 시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혁신적인 질소 제거 방법인 아질산화 반응을 통해 혐기 소화 상징액 및 돈사폐수에 함유된 고농도의 질소를제거하기 위한 실험실 규모 아질산화 반응조를 운전하였다. 약 970...

      본 연구에서는 혁신적인 질소 제거 방법인 아질산화 반응을 통해 혐기 소화 상징액 및 돈사폐수에 함유된 고농도의 질소를제거하기 위한 실험실 규모 아질산화 반응조를 운전하였다. 약 970일의 장기간에 걸친 반응조 운전을 통하여 안정적인 아질산화 반응을 유도하고, 아질산화 반응의 유도 인자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혐기 소화 상징액 및 돈사폐수 모두 안정적인 아질산화 반응을 유도 할 수 있었다. 유입수의 pH, Alkalinity, COD 범위 내에서 아질산화 반응은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반면 SRT의 경우 그 변화에 따라 아질산화율이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SRT는 아질산화 반응에 큰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질산화 반응은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반응에 비해 SRT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하수처리장에 아질산화 반응을 적용 시킬 시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길경익, "하수처리장 혐기성 소화조 상징액의 아질산화 반응 연구" 한국물환경학회 22 (22): 540-545, 2006

      2 정현철, "액상부식법에서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유지관리에 관한연구"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3 한동준, "생물학적 영양염류 제거를 위한 돈사폐수의 반응특성" 20 (20): 371-385, 1998

      4 최지형, "생물학적 아질산화-아탈질을 이용한 슬러지 처리공정 반류수 내 고농도 질소 제거" 23 (23): 371-381, 2001

      5 최영균, "미생물 호흡률분석에 의한 하수의 유기물 분료" 17 (17): 503-509, 2003

      6 길경익, "동절기 하수처리장에서 효율적인 질소제거를 위한 최적 HRT조합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8 (8): 165-169, 2008

      7 황인수, "돈사폐수의 혐기성 질소제거에 있어서 온도의 영향 : 낮은 현장 온도범위에서의 활성" 한국물환경학회 22 (22): 258-263, 2006

      8 서인석, "교대연속유입식 SBR 공정을 이용한 하수중의 질소 및 인 제거" 한국물환경학회 22 (22): 203-208, 2006

      9 김재호, "가축 분뇨 자원화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2008

      10 Dircks, K., "Yield determination by respirometry-the possible influence of storage under aerobic conditions in activated sludge" 25 (25): 69-74, 1999

      1 길경익, "하수처리장 혐기성 소화조 상징액의 아질산화 반응 연구" 한국물환경학회 22 (22): 540-545, 2006

      2 정현철, "액상부식법에서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유지관리에 관한연구"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3 한동준, "생물학적 영양염류 제거를 위한 돈사폐수의 반응특성" 20 (20): 371-385, 1998

      4 최지형, "생물학적 아질산화-아탈질을 이용한 슬러지 처리공정 반류수 내 고농도 질소 제거" 23 (23): 371-381, 2001

      5 최영균, "미생물 호흡률분석에 의한 하수의 유기물 분료" 17 (17): 503-509, 2003

      6 길경익, "동절기 하수처리장에서 효율적인 질소제거를 위한 최적 HRT조합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8 (8): 165-169, 2008

      7 황인수, "돈사폐수의 혐기성 질소제거에 있어서 온도의 영향 : 낮은 현장 온도범위에서의 활성" 한국물환경학회 22 (22): 258-263, 2006

      8 서인석, "교대연속유입식 SBR 공정을 이용한 하수중의 질소 및 인 제거" 한국물환경학회 22 (22): 203-208, 2006

      9 김재호, "가축 분뇨 자원화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2008

      10 Dircks, K., "Yield determination by respirometry-the possible influence of storage under aerobic conditions in activated sludge" 25 (25): 69-74, 1999

      11 Hellinga, C., "The sharon process : An innovative method for nitrogen removal from ammunium-rich waste water" 37 (37): 135-142, 1998

      12 APHA, "Standard method for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ition"

      13 정은호, "SMBR system에서 SRT 변화에 따른 유기물 제거특성 및 질소 반응속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6

      14 Gali, A., "SBR technology for high ammonium loading rates" 58 (58): 467-472, 2008

      15 Siegrist, H., "Nitrogen removal from digester supernatant: comparison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34 : 399-406, 1996

      16 Anthonisen, A. C., "Inhibition of nitrification by ammonia and nitrous acid" 48 (48): 835-852,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