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확률강우량을 초과하는 호우사상의 발생특성 분석 =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Exceeding Probability Rainfall Ev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2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paper describes applicability in practice for the design rainfall by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probability rainfall. In general, the size of hydraulic structures is determined by the rainfall suitability of the design rainfall is very important.
      To this end, in the last 50 years historical hourly rainfall data for each return period and duration of rainfall issued by more than the probability for rainfall occurrence and rainfall characteristics such as size and periodicity causes were analyzed. In addition,the annual trend of average rainfall events greater than the probability were analyzed. This study shows excess rainfall caused by the number of occurrence of rainfall return period were much more than that, the average rainfall exceeds the rainfall was growing up. Therefore, to adopt the probable rainfall as the design rainfall can not meet the flood protection as it aims.
      번역하기

      The present paper describes applicability in practice for the design rainfall by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probability rainfall. In general, the size of hydraulic structures is determined by the rainfall suitability of the design rainfall...

      The present paper describes applicability in practice for the design rainfall by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probability rainfall. In general, the size of hydraulic structures is determined by the rainfall suitability of the design rainfall is very important.
      To this end, in the last 50 years historical hourly rainfall data for each return period and duration of rainfall issued by more than the probability for rainfall occurrence and rainfall characteristics such as size and periodicity causes were analyzed. In addition,the annual trend of average rainfall events greater than the probability were analyzed. This study shows excess rainfall caused by the number of occurrence of rainfall return period were much more than that, the average rainfall exceeds the rainfall was growing up. Therefore, to adopt the probable rainfall as the design rainfall can not meet the flood protection as it ai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확률강우량의 특성분석을 통하여 실무 설계강우량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수공구조물의 크기는 강우량으로 결정되므로 설계강우량의 적합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지난 50년간의 시간강우자료에 대하여 각 재현기간 및 지속시간별로 확률강우량 보다 큰 호우사상에 대하여 발생횟수, 호우규모 등의 특성과 발생주기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확률강우량보다 큰 호우사상들의 평균값에 대한 연변화 추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확률강우량을 초과하여 발생한 호우사상의 발생도수가 재현기간을 크게 상회하였으며, 초과호우사상의 평균강우량도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의 확률강우량을 그대로 설계강우량으로 적용하는 것은 목표로 하는 홍수방재을 충족시킬 수 없음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확률강우량의 특성분석을 통하여 실무 설계강우량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수공구조물의 크기는 강우량으로 결정되므로 설계강우량의 적합성은 매우 중요한 요...

      본 연구에서는 확률강우량의 특성분석을 통하여 실무 설계강우량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수공구조물의 크기는 강우량으로 결정되므로 설계강우량의 적합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지난 50년간의 시간강우자료에 대하여 각 재현기간 및 지속시간별로 확률강우량 보다 큰 호우사상에 대하여 발생횟수, 호우규모 등의 특성과 발생주기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확률강우량보다 큰 호우사상들의 평균값에 대한 연변화 추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확률강우량을 초과하여 발생한 호우사상의 발생도수가 재현기간을 크게 상회하였으며, 초과호우사상의 평균강우량도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의 확률강우량을 그대로 설계강우량으로 적용하는 것은 목표로 하는 홍수방재을 충족시킬 수 없음을 의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영일, "호우발생 원인에 따른 자료기간별 확률강우량 산정 및 방법별 IDF곡선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301-301, 2011

      2 정만, "한국주요지점에 대한 확률강우량과 관측최대강우량의 확률분석" 한국수자원학회 14 (14): 47-54, 1981

      3 한만신, "최대강우 패턴 변화를 고려한 인천지방 확률강우강도식의 제안" 한국수자원학회 39 (39): 521-531, 2006

      4 안재현, "자료기간 증가에 따른확률강우량의 거동특성 분석" 33 (33): 569-580, 2000

      5 정종호, "수자원설계실무" 구미서관 2007

      6 안상현, "서울지역의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764-769, 2006

      7 오태석,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초과하는 시간강우사상의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9 (29): 513-526, 2009

      8 박창열, "기후변화와 도시화의 영향을 고려한 확률강우량의 예측" 대한토목학회 2809-2809, 2008

      9 강두기, "기후변화에 따른 한계강수량 분석에 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50-50, 2011

      10 소방방재청,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방재성능 목표 설정 방안 연구" 소방방재청 2010

      1 문영일, "호우발생 원인에 따른 자료기간별 확률강우량 산정 및 방법별 IDF곡선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301-301, 2011

      2 정만, "한국주요지점에 대한 확률강우량과 관측최대강우량의 확률분석" 한국수자원학회 14 (14): 47-54, 1981

      3 한만신, "최대강우 패턴 변화를 고려한 인천지방 확률강우강도식의 제안" 한국수자원학회 39 (39): 521-531, 2006

      4 안재현, "자료기간 증가에 따른확률강우량의 거동특성 분석" 33 (33): 569-580, 2000

      5 정종호, "수자원설계실무" 구미서관 2007

      6 안상현, "서울지역의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764-769, 2006

      7 오태석,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초과하는 시간강우사상의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9 (29): 513-526, 2009

      8 박창열, "기후변화와 도시화의 영향을 고려한 확률강우량의 예측" 대한토목학회 2809-2809, 2008

      9 강두기, "기후변화에 따른 한계강수량 분석에 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50-50, 2011

      10 소방방재청,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방재성능 목표 설정 방안 연구" 소방방재청 2010

      11 권영문, "강우량의 증가 경향성을 고려한 목표년도 확률강우량 산정" 대한토목학회 29 (29): 131-139, 2009

      12 오제승, "강우 자료의 변동 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1602-1607, 2007

      13 Karl, T.R., "Secular trends of precipitation amount, frequency, and intensity in the USA" AMS 79 (79): 231-241, 1998

      14 Yue, S., "Long term trends of annual and monthly precipitation in japan" 39 : 587-596, 2003

      15 Iwashima, T.,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xtreme events : Long-term trned of heavy daily precipitation" 71 (71): 637-640,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