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육문법에서의 종결어미 기술에 대한 한 제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80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rk Naree. 2004. 10. 30. A Suggestion for the Description of the Sentence Ending Forms in Korean Grammar for Foreign Learners -focusing on the pragmatic meanings of ‘-eo', ‘-ne', ‘-chi', ‘-da', ‘-kuna', -danda'. Bilingual Research 26. 91-116. When we learn some words including grammatical items like endings(eo-mi) or particles(cho-sa) in a foreign language, we generally study its primary lexical meanings at first, and then the learning of some pragmatic meanings which are fulfilled in a real specific context follows.Nevertheless, as far as sentence ending forms(chong-geul eomi) are concerned, its pragmatic meanings have been often overlooked. Both textbooks and dictionaries for foreign learners do not deal clearly with this aspect considering language system itself. This may consequently be related to commonly observed learners' error in choosing correct sentence ending forms.This study stresses pragmatic meanings related to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towards a certain situation. An approach that uses comparisons between pairs to help clarify differences in meaning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Based on these precepts, this study explores the grammatical meaning of each sentencing ending form (formal, informal) with their associated correspondents (‘-eo/-da', ‘-ne/-kuna', ‘-chi/danda') especially in declarative sentences as a representative sample as the first step, and suggests an approach to offer Korean learners a description regarding Korean sentence ending forms that would enable them to make a more facilitated decision regarding the most appropriate sentence ending.
      번역하기

      Park Naree. 2004. 10. 30. A Suggestion for the Description of the Sentence Ending Forms in Korean Grammar for Foreign Learners -focusing on the pragmatic meanings of ‘-eo', ‘-ne', ‘-chi', ‘-da', ‘-kuna', -danda'. Bilingual Research 26. 91-11...

      Park Naree. 2004. 10. 30. A Suggestion for the Description of the Sentence Ending Forms in Korean Grammar for Foreign Learners -focusing on the pragmatic meanings of ‘-eo', ‘-ne', ‘-chi', ‘-da', ‘-kuna', -danda'. Bilingual Research 26. 91-116. When we learn some words including grammatical items like endings(eo-mi) or particles(cho-sa) in a foreign language, we generally study its primary lexical meanings at first, and then the learning of some pragmatic meanings which are fulfilled in a real specific context follows.Nevertheless, as far as sentence ending forms(chong-geul eomi) are concerned, its pragmatic meanings have been often overlooked. Both textbooks and dictionaries for foreign learners do not deal clearly with this aspect considering language system itself. This may consequently be related to commonly observed learners' error in choosing correct sentence ending forms.This study stresses pragmatic meanings related to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towards a certain situation. An approach that uses comparisons between pairs to help clarify differences in meaning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Based on these precepts, this study explores the grammatical meaning of each sentencing ending form (formal, informal) with their associated correspondents (‘-eo/-da', ‘-ne/-kuna', ‘-chi/danda') especially in declarative sentences as a representative sample as the first step, and suggests an approach to offer Korean learners a description regarding Korean sentence ending forms that would enable them to make a more facilitated decision regarding the most appropriate sentence end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형태론적 구성으로 인식되는 복합문에 대하여." 1986195쪽∼215쪽.

      2 "현대국어의 문체법에 대한 연구. 어학연구" 서울대 대학원 국문학과 12-1, 1976

      3 "현대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서울: 집문당 1999

      4 "현대국어 문법론"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원 1996

      5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특성."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6 "한국어의 주격, 목적격 조사의 습득(Patricia M. Clancy):인간은 언어를 어떻게 습득하는가" 서울: 아카넷 2000

      7 "한국어의 감탄문" 서울: 국학자료원 1997

      8 "인용구문 융합의 특성.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서울" 1991

      9 "우리말의 인지론적 분석" 서울: 도서출판 역락 2001

      1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방법과 실제"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9

      1 "형태론적 구성으로 인식되는 복합문에 대하여." 1986195쪽∼215쪽.

      2 "현대국어의 문체법에 대한 연구. 어학연구" 서울대 대학원 국문학과 12-1, 1976

      3 "현대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서울: 집문당 1999

      4 "현대국어 문법론"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원 1996

      5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특성."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6 "한국어의 주격, 목적격 조사의 습득(Patricia M. Clancy):인간은 언어를 어떻게 습득하는가" 서울: 아카넷 2000

      7 "한국어의 감탄문" 서울: 국학자료원 1997

      8 "인용구문 융합의 특성.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서울" 1991

      9 "우리말의 인지론적 분석" 서울: 도서출판 역락 2001

      1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방법과 실제"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9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1

      12 "왜 구성주의인가: 정보화시대와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서울: 문음사 1997

      13 "서강 한국어 2"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0

      14 "비환원적 ‘단다’ 구문 연구" 1998

      15 "국어청자대우법에서의 힘 과 유대" 24-, 1994

      16 "국어의 입말과 글말" 서울: 국학자료원 1996

      17 "국어의 과거시제와 양태소 습득:인간은 언어를 어떻게 습득하는가" 서울: 아카넷 2000

      18 "구성주의 학습원리와 적용; 조교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공학학회 11 (11): 25-45, 1995

      19 "http://kr.encycl.yahoo.com/enc/info.html(야후전자사전)"

      20 "http://clid.yonsei.ac.kr(연세대학교 한국어 전자사전)"

      21 "How children talk about what happened. Journal of child language 3-2. 167쪽∼190쪽." 1976

      22 ". 화용과 문법. 서울" 탑출판사. 1993

      23 ".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서울" 탑출판사. 1985

      24 ". 현대국어 대우법 연구. 서울" 1985

      25 ". 한국어 구조론 연구 3. 서울" 1964

      26 ". 존대법의 연구. 서울" 한신문화사. 1989

      27 ". 제주방언의 양태와 법. 서울" 한신문화사. 1993

      28 ". 국어종결어미 연구. 춘천" 강원대학교 출판부. 1991

      29 ". 국어의 인용구문 연구. 서울" 탑출판사.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 1.56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