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를 향한 성인 발화는 성인을 향한 성인발화와 비교해서 특별한 언어학적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엄마들은 유아를 향해 발화할 때 더 높은 음조, 더 다양한 음조변화, 더 긴 쉼, 더 짧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41335
2018
-
유아를 향한 발화(IDS) ; 어른을 향한 발화(ADS) ; 언어의 보편화 ; 음운변화 ; 개인적인 환경 ; 문화차이
740
학술저널
39-50(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유아를 향한 성인 발화는 성인을 향한 성인발화와 비교해서 특별한 언어학적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엄마들은 유아를 향해 발화할 때 더 높은 음조, 더 다양한 음조변화, 더 긴 쉼, 더 짧은...
유아를 향한 성인 발화는 성인을 향한 성인발화와 비교해서 특별한 언어학적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엄마들은 유아를 향해 발화할 때 더 높은 음조, 더 다양한 음조변화, 더 긴 쉼, 더 짧은 발화, 그리고 음성학적 반복이 나타난다. 선행연구(Fernald, 1989)에 따르면, 엄마들의 발화의 음운 변화는 언어마다 다르다. 게다가 그 연구들은 이탈리아, 영국, 프랑스인들의 엄마들 위주로 연구되어져 있다(Camaioni, L., Luigia and Longobardi, E.,2001;Goldman, 2007;Shute, B., and Wheldall, K.,1989). 하지만,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모든 언어의 보편화(universal)의 측면과 한국어가 모국어인 엄마의 발화를 중심으로 한 연구들의 희귀성을 기반으로 한국어에서 엄마 발화의 음운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참여자들은 자녀가 있는 3명의 한국어를 모국어로 발화하는 한국인엄마들이다. 그들의 자녀 나이는 9개월, 12개월, 그리고 18개월이다. 모국어가 한국어인 3명의 발화자들의 녹음은 그들의 집에서 이루어졌다. 그 데이터는 참여자들이 유아자녀에게 이야기책을 큰소리로 읽어 줄때와 다른 한국인 어른에게 이야기책을 큰소리로 읽어 줄때의 발화과정을 녹음한 것이다. 각각의 이야기 발화 시간은 30분정도였다. 그 발화샘플들은 프랏과 R과 같은 음성학적인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어 졌다.
이 연구의 목표는 두 가지 측면이다. 첫째, 유아를 향한 한국어가 모국어인 엄마의 발화와 어른들을 향한 한국어가 모국어인 엄마의 발화 사이에 음높이 변화와 발화속도에 초점을 두어 연구한다. 둘째, 참여자들의 개인적인 환경의 영향력이 있는지도 살펴본다. 그 결과 유아를 향한 엄마의 발화는 더 높은 음높이와 더 느린 발화속도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한명이상의 자녀를 가진 엄마 발화자가 개인적인 환경 때문에 음운적 변화가 더 발생하는 것 같다.
마지막으로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한국인 엄마의 한국어 발화 역시 언어의 보편화 측면에서 다른 언어들과도 유사한 결과가 밝혀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가장 푸른 눈(The Bluest Eye)의 주제 연구
오픽(OPIc)말하기를 위한 교재 연구 자신에 관한 영어말하기를 위한 내용 구성과 작문연습 중심으로
J. D. Salinger의 The Catcher in the Rye- ‘순수’를 지켜내는 ‘경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