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포스트모던 기독교 세계관 = A Postmodern Christian Worldvie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637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포스트모던 세계관은 다원주의적 사고, 타종교에 대한 기독교의 지배 한계, 기계기술화에 의한 세속화 촉진, 이에 따른 그리스도인의 신앙 상실, 과학주의의 문화적 지배종식, 성경언어의 일식, 탈전통과 탈권위 확산으로 특징지워진다. 포스트모던 세계관은 위기상황에 직면하면서 한계를 경험하고 그 대안을 요청한다. 여기에 개혁신학의 세계관은 그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본고는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포스트모던 세계관의 대안으로서 기독교 세계관을 제시하고자 한다 후기현대에서 개혁신학이 제시하는 기독교 세계관의 방향이란 다음같이 특징지워진다. 첫째, 하나님 절대 주권의 세계관이다. 둘째, 삼위일체론적 유일신론적 일원론의 세계관이다. 셋째, 창조론적 세계관이다. 넷째, 문화명령의 세계관이다. 다섯째, 구속사적 세계관이다. 여섯째, 변혁주의 세계관이다. 일곱째, 종말론적 세계관이다. 기독교는 영원불변하는 하나님 말씀에 근거하여 현대후기의 여러 사상과 대화하면서 성경적이고 기독교적 세계관을 후기현대를 사는 시대인들에게 제시해야 한다. 하나님 절대 주권의 세계관은 열린 유신론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삼위일체론적 유신론적 일원론의 세계관은 이슬람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창조론적 세계관은 과학기술주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문화명령의 세계관은 근본주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구속사적 세계관은 인본주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변혁주의 세계관은 운명론적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종말론적 세계관은 환생신드롬, 과정신론의 세계관, 그리고 과학기술주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이러한 7가지 세계관들은 서로 다른 세계관이 아니라 하나의 기독교 세계관의 다양한 표현들이다.
      번역하기

      포스트모던 세계관은 다원주의적 사고, 타종교에 대한 기독교의 지배 한계, 기계기술화에 의한 세속화 촉진, 이에 따른 그리스도인의 신앙 상실, 과학주의의 문화적 지배종식, 성경언어의 ...

      포스트모던 세계관은 다원주의적 사고, 타종교에 대한 기독교의 지배 한계, 기계기술화에 의한 세속화 촉진, 이에 따른 그리스도인의 신앙 상실, 과학주의의 문화적 지배종식, 성경언어의 일식, 탈전통과 탈권위 확산으로 특징지워진다. 포스트모던 세계관은 위기상황에 직면하면서 한계를 경험하고 그 대안을 요청한다. 여기에 개혁신학의 세계관은 그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본고는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포스트모던 세계관의 대안으로서 기독교 세계관을 제시하고자 한다 후기현대에서 개혁신학이 제시하는 기독교 세계관의 방향이란 다음같이 특징지워진다. 첫째, 하나님 절대 주권의 세계관이다. 둘째, 삼위일체론적 유일신론적 일원론의 세계관이다. 셋째, 창조론적 세계관이다. 넷째, 문화명령의 세계관이다. 다섯째, 구속사적 세계관이다. 여섯째, 변혁주의 세계관이다. 일곱째, 종말론적 세계관이다. 기독교는 영원불변하는 하나님 말씀에 근거하여 현대후기의 여러 사상과 대화하면서 성경적이고 기독교적 세계관을 후기현대를 사는 시대인들에게 제시해야 한다. 하나님 절대 주권의 세계관은 열린 유신론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삼위일체론적 유신론적 일원론의 세계관은 이슬람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창조론적 세계관은 과학기술주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문화명령의 세계관은 근본주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구속사적 세계관은 인본주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변혁주의 세계관은 운명론적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종말론적 세계관은 환생신드롬, 과정신론의 세계관, 그리고 과학기술주의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다. 이러한 7가지 세계관들은 서로 다른 세계관이 아니라 하나의 기독교 세계관의 다양한 표현들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ostmodern worldview is characterized as pluralistic thinking, the limit of Christian rule over the other religions, an acceleration of secularization by means of technology, the loss of faith in Christians due to it, the end of cultural rule by technology, the eclipse of Biblical language. and the expansion of de-traditionalization and de-authorization. Postmodern worldview experiences its limits, facing the crisis situation, and asks for the alternative for it. Reformed worldview can suggest the alternative. This treatise aims to suggest a Christian worldview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as an alternative for postmodern worldview. The direction of the Christian worldview the reformed theology suggests in the postmodern era is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the worldview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Secondly it is the one of trinitarian monotheistic monism. Thirdly, it is the creational worldview. Fourthly, it is the one cultural mandate. Fifthly, it is the salvation-historical worldview. Sixthly, it is the transformational worldview. Seventhly, it is the eschatological worldview. Christianity is asked to suggest a Biblical, Christian worldview to those living in the postmodern era, coming into the talk with the postmodern various thought. The worldview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is an alternative for the worldview of the open theism. The worldview of trinitarian monotheistic monism is an alternative for the Islamic worldview. The creational worldview is an alternative for a worldview of technology. The worldview of cultural mandate is an alternative for fundamentalistic worldview. The salvation-historical worldview is an alternative for anthropocentric worldview. The transformational worldview is an alternative for the fatalistic worldview. The eschatological worldview is an alternative for the syndrome of transmigration, the one of process theology and the technological worldview. These seven worldviews are not different ones from each other, but the various expression of the one Christian worldview.
      번역하기

      A postmodern worldview is characterized as pluralistic thinking, the limit of Christian rule over the other religions, an acceleration of secularization by means of technology, the loss of faith in Christians due to it, the end of cultural rule by tec...

      A postmodern worldview is characterized as pluralistic thinking, the limit of Christian rule over the other religions, an acceleration of secularization by means of technology, the loss of faith in Christians due to it, the end of cultural rule by technology, the eclipse of Biblical language. and the expansion of de-traditionalization and de-authorization. Postmodern worldview experiences its limits, facing the crisis situation, and asks for the alternative for it. Reformed worldview can suggest the alternative. This treatise aims to suggest a Christian worldview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as an alternative for postmodern worldview. The direction of the Christian worldview the reformed theology suggests in the postmodern era is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the worldview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Secondly it is the one of trinitarian monotheistic monism. Thirdly, it is the creational worldview. Fourthly, it is the one cultural mandate. Fifthly, it is the salvation-historical worldview. Sixthly, it is the transformational worldview. Seventhly, it is the eschatological worldview. Christianity is asked to suggest a Biblical, Christian worldview to those living in the postmodern era, coming into the talk with the postmodern various thought. The worldview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is an alternative for the worldview of the open theism. The worldview of trinitarian monotheistic monism is an alternative for the Islamic worldview. The creational worldview is an alternative for a worldview of technology. The worldview of cultural mandate is an alternative for fundamentalistic worldview. The salvation-historical worldview is an alternative for anthropocentric worldview. The transformational worldview is an alternative for the fatalistic worldview. The eschatological worldview is an alternative for the syndrome of transmigration, the one of process theology and the technological worldview. These seven worldviews are not different ones from each other, but the various expression of the one Christian worldview.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