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과거 사회주의시대에 꾸준한 투자를 통해 이루어온 몽골의 사회간접자본의 현황과 몽골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사회간접자본 개선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과거 사회주의시대에 꾸준한 투자를 통해 이루어온 몽골의 사회간접자본의 현황과 몽골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사회간접자본 개선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
본고에서는 과거 사회주의시대에 꾸준한 투자를 통해 이루어온 몽골의 사회간접자본의 현황과 몽골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사회간접자본 개선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한 국가의 경제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사회간접자본의 중요성을 간략하게 다루었다. 그러나 몽골의 사회간접자본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과거 사회주의 국가들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공통적으로 겪는 어려움이겠지만 공식적으로 발표된 자료가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통계자료의 어려움 때문에 일본 등 제 3국의 연구기관에서 연구 조사한 자료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지정학적으로 볼 때 내륙에 위치한 몽골은 대양으로의 연계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가 UNDP주도하에 추진하고 있는 두만강지역개발계획에 몽골이 처음부터 참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들어 김대중 대통령의 베를린발언 그리고 남북 정상회담 등에서 우리가 알 수 있듯이 북한의 사회간접자본개발이 큰 관심을 갖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마지막으로 이러한 북한의 사회간접자본 개발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동북아지역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 예상되면서도 상당기간동안 논의가 중단되어온 두만강지역개발계획에 대해서 논해보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