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농경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al 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e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789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reative Activities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aim to promote Creativity and Personality as well as a communal spirit which are already inherent in the agricultural culture. Thus, this study developed the agricultural culture education program of Korean music and plays based on the Korean agricultural culture for Korean elementary schoolers.
      The development of this program was founded on the Creative Activities Model Program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and has chosen the contents from agricultural culture education in the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ve aspects through analyzing the curricula of music and other subjects. From the chosen contents, the educational purpose and three topics for the program have been established.
      Consequently, this study emphasizes encouraging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music for the effective Creative Activities. Moreover, this study expects Korean students to gain a Korean cultural identity from the agricultural culture Education Program pursued in music classes.
      번역하기

      Creative Activities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aim to promote Creativity and Personality as well as a communal spirit which are already inherent in the agricultural culture. Thus, this study developed the agricultural culture education program of Ko...

      Creative Activities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aim to promote Creativity and Personality as well as a communal spirit which are already inherent in the agricultural culture. Thus, this study developed the agricultural culture education program of Korean music and plays based on the Korean agricultural culture for Korean elementary schoolers.
      The development of this program was founded on the Creative Activities Model Program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and has chosen the contents from agricultural culture education in the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ve aspects through analyzing the curricula of music and other subjects. From the chosen contents, the educational purpose and three topics for the program have been established.
      Consequently, this study emphasizes encouraging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music for the effective Creative Activities. Moreover, this study expects Korean students to gain a Korean cultural identity from the agricultural culture Education Program pursued in music clas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교육과정을 이원화하여, 체계적인 교과 학습과 더불어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 인재 양성 교육을 실현하는 데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이 충실히 운영되기 위해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이추구하고자 하는 교육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다양한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풍부한 체험을 뒷받침해 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 목표인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농경문화를 바탕으로생성된 우리 음악과 놀이에 대한 체험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보고,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농경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개발한 창의적 체험활동 모델 프로그램 양식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음악과 및 타 교과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농경문화교육 요소를 인지적․행동적․정의적 측면에서 추출해 보았다. 추출한 농경문화교육 요소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3개의 주제를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농경문화 속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창의․인성 교육 및 공동체 의식의 함양과 같은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에 적합한 내용이 이미 내재되어 있으므로, 농경문화와 접목하여 개발한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우리 문화 예술에 대해 폭넓게 체험하고 내면화하고 교과 목표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표를 도달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본다. 또한 농경문화교육은 음악과에서 추구하는 문화교육의 일환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학생들은 농경문화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지닐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활용할 수 있는 우리 문화 예술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더욱 알차게 개발되어 학교 현장에 접목시킬 수 있도록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교육과정을 이원화하여, 체계적인 교과 학습과 더불어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 인재 양성 교육을 실현하는 ...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교육과정을 이원화하여, 체계적인 교과 학습과 더불어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 인재 양성 교육을 실현하는 데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이 충실히 운영되기 위해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이추구하고자 하는 교육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다양한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풍부한 체험을 뒷받침해 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 목표인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농경문화를 바탕으로생성된 우리 음악과 놀이에 대한 체험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보고,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농경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개발한 창의적 체험활동 모델 프로그램 양식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음악과 및 타 교과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농경문화교육 요소를 인지적․행동적․정의적 측면에서 추출해 보았다. 추출한 농경문화교육 요소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3개의 주제를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농경문화 속에는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창의․인성 교육 및 공동체 의식의 함양과 같은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에 적합한 내용이 이미 내재되어 있으므로, 농경문화와 접목하여 개발한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우리 문화 예술에 대해 폭넓게 체험하고 내면화하고 교과 목표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표를 도달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본다. 또한 농경문화교육은 음악과에서 추구하는 문화교육의 일환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학생들은 농경문화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지닐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에 활용할 수 있는 우리 문화 예술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더욱 알차게 개발되어 학교 현장에 접목시킬 수 있도록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

      2 최은숙, "학교교육을 통한 지역 민요 전승의 현황과 과제 in 민요 담론과 노래 문화" 보고사 358-, 2009

      3 안창균,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5 교육과학기술부,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6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7 조대훈,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 연구학교의 운영 보고서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109-122, 2012

      8 한국교육학회, "인성교육" 문음사 226-229, 1998

      9 교육과학기술부, "음악과 교육과정"

      10 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 교육과정"

      1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

      2 최은숙, "학교교육을 통한 지역 민요 전승의 현황과 과제 in 민요 담론과 노래 문화" 보고사 358-, 2009

      3 안창균,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5 교육과학기술부,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6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7 조대훈,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 연구학교의 운영 보고서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109-122, 2012

      8 한국교육학회, "인성교육" 문음사 226-229, 1998

      9 교육과학기술부, "음악과 교육과정"

      10 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 교육과정"

      11 문용린,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창의 -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5-25, 2010

      12 임재해, "민속문화의 자연친화적 성격과 속신의 생태학적 교육 기능" 비교민속학회 21 : 91-, 2001

      13 교육과학기술부, "미술과 교육과정"

      14 교육과학기술부, "도덕과 교육과정"

      15 임재해, "농촌 공동체 문화의 활성화 방향 구상과 실천 과제" 한국민속학회 33 (33): 255-295, 2008

      16 양승룡, "농업, 거의 모든 것의 역사" 교문사 13-, 2011

      17 주강현, "농민의 역사 두레" 들녘 27-, 2006

      18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과 교육과정"

      19 채성희,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풍물놀이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20 임재해, "공동체 문화로서 마을 민속문화의 공유 가치" 실천민속학회 11 : 107-163, 2008

      21 강인애, "가상박물관을 활용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수업사례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27-54, 2010

      22 金明子, "韓國歲時風俗硏究" 경희대학교 1990

      23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충청남도)], CD 12-6"

      24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강원도)], 1996, CD 8-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8 1.394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